Monday, November 22, 2010

Smartphone App surprise star of the market 'kakaohtok'

트위터미투데이delicious

스마트폰 앱 시장의 깜짝스타 ‘카카오톡’

조동진 기자  필자의 다른 기사보기
  • 기사목록
  • 이메일보내기
  • 프린트하기
  • 글자 작게 하기
  • 글자 크게 하기
8개월 만에 가입자 300만명, 스마트폰 사용자 60%가 가입, 무료앱으로 수익모델 과제
‘선물교환권’ 판매 추진 ‘오픈 플랫폼’이 최종 목표
▲ / photo 한준호 영상미디어 기자
Smartphone App surprise star of the market 'kakaohtok' 
 Jodongjin reporter 
Subscribers, 3 million people in eight months, up 60% of smartphone users, the revenue model issues for free apps 
'Gift Vouchers' Sales Promotion 'open platform' final goal 

▲ / photo hanjunho video media news 
Launched last March 17 showed the world what a half after seven months, only 2.9 million people up (based on 3 November) is a service brought us together. Currently about 500 million subscribers in six of ten Smartphone users should use this service. Smartphone users app (application) smartphone users can simply download and install the free IM services available between the mobile app (application), 'kakaohtok's story. Up more than 37,000 people per day, and a growing number of subscribers to one million people in about 27 days should not take literally among smartphone subscribers 'explosive popularity' has become. 
    
   Which service subscribers' loyalty is stronger than the power of the kakaohtok craze is spreading. Last October the fourth week of cacao flick, only with one week of the trip exceeded 2.3 million people. This is equivalent to 89% of subscribers at the time. Moreover, messages sent from users kakaohtok this period the number of the gun has reached a whopping 100,007,800. Flick cacao subscribers per day using one message to someone who spent 10 suggests a story. 
    
   Seven Pangyo, Seongnam, Gyeonggi Venture Valley All employees 22 people settled in small ventures 'cacao (kakao)' Mobile App Market in the stars 'kakaohtok' birth to yijebeom (33) met representatives. 
    
    
   Small venture company ilnaetda 
    
   Flick of the Cacao representative yijebeom even for such a big hit, "unexpected results," he said. 
    
   "Cacao, the cacao naenoteun Flick is the first mobile product. Some users too, did not expect any reaction may seem. I was nervous watching the subscriber growth rate in the spirit of the Web (Web), or as fast as the other big things is nothing compared aepgwaneun also surprised us. " 
    
   Flick the cacao cacao original name of the service 'ahyiwiraep', respectively. But even his surprisingly explosive reaction at all in the name of the company last September 'cacao' was changed to. Mobile App Market in 2010 and entered the cocoa in the world until an AppleTalk only took two months. 
    
   "We are a company that was the original Internet, Web services. Then late last year it launched the iPhone as a mobile content company in the direction of the company has completely switched. Manpower planning and development of more than 20 teams, divided into several different teams to put into service planning and development. I was going to build teams that made the messenger of the Freechal yisanghyeok CSO (Best Service Officer), the smart phone was a proposal to Messenger. Internally, through brainstorming and strategy sessions last January in mid-four people, including yisanghyeok CSO team initiated the development of packed two months Connell universal service started in March. " 
    
    
   Mobile entered into a group chat 
    
   Smartphones allow users what AppleTalk cacao thumping the keyboard at? Represented by the 'differentiation of chat' was the first to mention. 
    
   "Other mobile messenger chat service, whereas cocoa app 1:01 Flick became the first smartphones to IM and group chat service has attempted to differentiate. In the group chat on your desktop just able to do to mobile. In terms of group chat, desktop environment, and ease of use and common sense that different, but fun to give. Desktop IM to chat in the group as a mutual exchange of the identity of a particular group have agreed to connect to Messenger Messenger personnel Log (log-in), it is possible to maintain state only. If you are not logged Messenger can not participate in group chats. Group chat inside of a person to get a little tough, but the group's overall sackbut. But the mobile phone kyeojyeoman mesinjeoin cacao flick if a separate login or a connection agreement, although no charges 24 hours a day connected to the messenger, anytime, anywhere with the whole group as you can chat. 1:01 chats or other mobile access in a group chat on your desktop could not be differentiated did not elicit responses from users. " 
    
   He extended social networks and provide reliable service 'Why can not forget the two factors he said. "100 people and 10 people are using services that use the service a short time when the phone user to communicate with more people, 100 people flock to the service user's hearing. In this sense, the number stored on smart phones automatically connect to the Messenger's gross, to other users on the network easy to attract to my network, 'Like' Flick of the Cacao scale attracted the attention of a lot of people did. Loaded on the phone to the iPhone craze spread here and opened up about the same time that the service factor s also one of the network expansion. Than the first flick came out a month or two cacao 'wacheuaep' What have the odd foreign mobile messenger. However, domestic users are unfamiliar with American-style interface is optimized for cacao Flick service fee to the Watts jechigie app or two month difference was negligible. " 
    
    
   Oppression of privacy issues 
    
   "I stutter, can be written without error led to trust the stability of the user," he said. 
    
   "Flick the ahyiwiraep service early cacao (cacao previous company) was ready, only one of the service. Service that started last March 17 when a server or operating personnel if the user has been tailored to 100,000 people. July second iPhone subscribers was 800,000 people of which over 600,000 people told kakaohtok subscribers. I tried to modify strategies for more than reaction. That's the one I wanted. From this time the company has committed to all personnel in the cacao Flick. More than three million people over two million people will use to enable even a reliable service, did not. " 
    
   Flick the cacao industry in the past about the web's best through the internet such as Cyworld, Nateon service surpasses chusera said. But there are worries. There was rapid growth as the crisis came suddenly. Up from last September when the existing service users unprecedented value-added services, blindness, social security number required for the event entries, address, email address, and you need a credit card and cell phone carriers and credit card payment, bank information with regard to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changes Terms of notice that the problem was not. There was no notice to existing subscribers, for that was repulsed. Represented by the "misunderstood the whole problem was in," he said. 
    
   "For Apple, these changes will take about a month. But before the end of this period, people bring up misleading information known Connell jimyeo. Android phone operating system through a consent process that can change the contents. Change, but the 'consent' is added to a user only changed information, particularly financial information, etc. will not be collected. Did not notice it's part and we have never had a premature. That apology was posted, the user also has the time to understand the situation. " 
    
    
   December second experiment the first revenue model 
    
   Revenue model also is one of the problems of cacao. App service 100% free advertising, affiliate, sponsorship is also managing director. Another hideout of cacao and cacao services (mobile cafe) and cacao Talks (mobile blog) is also a revenue model muryoseobiseuda. Most importantly, companies 'profit' is. Free apps are familiar, considering the propensity of domestic subscribers pay transition is not easy. 
    
   A representative, too, "'profit' may seem worried all the time," said, "This December will roll out second to first revenue model," he said. 
    
   "'Gift' services are thinking. Flick to chat with friends while cacao 'I want to drink the cup of coffee,''I want to eat cake' or 'doll I want to have a' just friends when the conversation flows back and forth to the coffee cake, stuffed gipeutikon (online, mobile, used in gift vouchers) to give the mobile just that simple. Are due to meet the Christmas season. " 
    
   Represented by the ultimate revenue model of the cacao cacao Flick's 'open platform' said. Cacao and other ventures that they released a platform for mobile applications using their own means that they are to make. 
    

▲ kakaohtok screen 

   "For example, a venture that mobile greeting cards made with cacao and services of the platform, the venture if the user can send a card, greeting cards but cocoa aepeseodo Flick driving while using a separate app that does not in kakaohtok Congratulations It's a concept that allows you to send cards. Use our platform, a mobile venture with a social network in the Flick cacao separate public relations and advertising can be secured without the user and the root of a variety of cacao also able to get the revenue opportunity is there for. " 
    
    
   Naver Founders 'Kim Bum Soo' was followed by 
    
   Represented by the "November to target the Japanese and English-speaking countries of the first international service to start cacao Flick," said "will enter next year as China," he said. 
    
   "The world of 6.8 billion people use the PC to the Internet population is only about 1.6 billion people. However, using mobile phones that are 4.1 billion people inguman. We can not compare. Smartphones of mobile phone users at the time when the transition is complete SNS hard to imagine now, as the demand on the explosive growth will bring. At this point it more important to ensure users are forced to jeonryakil. In this sense, get more users, as well as a free service for the overseas expansion would be done. " 
    
   Flick cacao are the main sources of revenue service, a letter carrier, one of these kinds of large domestic existence is only too good. Free live chat service based on cocoa Flick undermine them, no wonder because of the revenue. For this reason, the early service, "Join us" or a large carrier, and interest of businesses had a lot of smart devices. 
    
   "The iPhone would have come if not this service. Eventually the mobile carrier networks based on use of mobile services have to do things. Carriers do not want to share their networks would not have been. But the iPhone has changed a lot. To be matched up the popularity of the App Store, where anyone with the service can bring your dream to own haeteunikkayo. In other words the mobile world as it did in the past the world's Internet venture is a land of opportunity for a new one will have. " 
    
   Cacao with cacao Flick received a lot of attention is another reason. That 'Kim Bum Soo' because the character's presence. As the founder of a game in Korea and Naver Internet · IT industry, one of the biggest titans Kim Bum Soo (44) daepyoda. Kim Bum Soo is such a representative as chairman of the board of the current cocoa empowers a representative will yijebeom. 
    
    
   Instead of working for start-challenged young CEO 
    
   Kim Bum Soo NHN representatives to leave the business when it comes to that I've done all the possessions of people like him, "what is really a dream," the water has never been. At the time he succeeded in his venture as CEO 100 people would have to produce. Now if you think the word is eventually represent yijebeom Representative Kim Bum Soo fairytale dream world is the work of the first show. Kim Bum Soo grew up watching the myth of the Naver yijebeom representatives also did not deny it. 
    
   "From an early age as a successful businessman looking to create some kind of business was my dream," the representative yijebeom employment after graduation in Industrial Engineer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ook place business. 2004 was the year. 
    
   "College senior and the other with a bridging web and mobile Internet venture founded Document Solutions. Did two years together. Then, in 2006 in Hong Kong, the road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of Industrial Engineering bakjongheon 'Kim Bum Soo young friends who want to work with the people working to find the lump to see whether I' got off the phone. Kim Bum Soo, I have the time, representatives of Industrial Engineering, 11 years senior to know that no one else could. However, through other people, Industrial Engineering, Kim said representatives had been found me. Did not worry much. That some more thought, a chance to see it. Catherine had been with the work I did for all my shares 'ahyiwiraep' had to join as a member of. What is my relationship to cocoa. " 
    
   'Dark Ages venture called' in 2010, growing at a furious pace in the cocoa from the new venture, a model experiment has been made. And pushing the experiment on the desktop Internet to occupy that position of the mobile Internet era is that the faster accelerating.




지난 3월 17일 세상에 첫선을 보인 지 일곱 달 반 만에 가입자만 290만명(11월 3일 기준)을 끌어 모은 서비스가 있다. 현재 가입자 수 약 500만명의 스마트폰 사용자 열 중 여섯이 이 서비스를 이용한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앱(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기만 하면 스마트폰 사용자 간 무료로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앱(애플리케이션), ‘카카오톡’의 이야기다. 하루 평균 3만7000명이 넘게 가입하고, 가입자 수 100만명이 늘어나는 데 27일밖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스마트폰 가입자들 사이에서 말 그대로 ‘폭발적 인기’를 끌고 있다.
   
   어느 서비스보다 강한 가입자들의 충성도는 카카오톡 열풍 확산의 동력이다. 카카오톡은 지난 10월 넷째 주, 한 주 동안의 순방문자만 230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당시 가입자의 89%에 해당한다. 더욱이 이 기간 카카오톡 사용자들이 보낸 메시지 발송 건수가 무려 1억7800건을 넘었다. 가입자 한 명이 하루 평균 카카오톡을 이용해 10건의 메시지를 누군가에게 보냈다는 이야기다.
   
   경기도 성남시 판교 세븐벤처밸리에 자리 잡은 전체 직원 22명의 작은 벤처 ‘카카오(kakao)’에서 모바일 앱 시장의 스타 ‘카카오톡’을 탄생시킨 이제범(33) 대표를 만났다.
   
   
   작은 벤처기업이 일냈다
   
   이제범 대표마저 카카오톡의 이 같은 대박에 대해 “예상 밖의 결과”라고 했다.
   
   “카카오톡은 카카오가 내놓은 첫 모바일 상품입니다. 저도 어떤 사용자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예상치 못했습니다. 긴장하는 마음으로 지켜보고 있었는데 가입자 증가 속도가 웹(Web)이나 다른 앱과는 비교도 안될 만큼 빠르고 큰 것에 저희도 놀랐습니다.”
   
   카카오톡을 서비스하는 카카오의 원래 이름은 ‘아이위랩’이었다. 하지만 자신들도 놀랄 만큼 폭발적인 반응에 지난 9월 아예 회사이름을 ‘카카오’로 바꿨다. 2010년 모바일 앱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카카오톡이 세상에 나오기까지는 불과 두 달밖에 걸리지 않았다.
   
   “저희는 원래 인터넷 웹 서비스를 하던 회사였어요. 그러던 것이 지난해 말 아이폰이 출시되면서 회사 방향을 모바일 콘텐츠 기업으로 완전히 전환했습니다. 20여명의 기획과 개발 인력이 여러 개의 팀으로 나뉘어 팀 단위로 다양한 서비스 기획과 개발에 들어갔습니다. 그렇게 개발을 진행하던 팀들 중 프리챌에서 메신저를 만들었던 이상혁 CSO(최고서비스책임자)가 스마트폰용 메신저를 만들자는 제안을 했어요. 내부적으로 브레인스토밍과 전략회의를 거쳐 지난 1월 중순, 이상혁 CSO를 포함한 4명이 팀을 꾸려 개발을 시작한 지 두 달 만인 3월에 서비스를 시작한 거지요.”
   
   
   모바일 속으로 들어온 그룹채팅
   
   무엇이 스마트폰 사용자들로 하여금 카카오톡의 자판을 두드리게 하는 것일까? 이 대표는 ‘채팅의 차별화’를 가장 먼저 언급했다.
   
   “다른 모바일 메신저 앱은 1:1 채팅서비스인 데 반해 카카오톡은 스마트폰 메신저로는 최초로 그룹 채팅 서비스를 하며 차별화를 시도했습니다. 데스크톱에서 했던 그룹 채팅을 모바일에서 그대로 할 수 있게 한 거지요. 그룹 채팅이라는 면에서 데스크톱과 공통점이 있지만 사용 환경이나 편의성 면에선 전혀 다른 재미를 주지요. 데스크톱 메신저에서 그룹 채팅을 하기 위해서는 아이디 교환처럼 상호 메신저 연결에 동의한 특정 그룹의 인원들이 메신저의 로그인(log-in)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만 가능하지요. 메신저 로그인 상태가 아니라면 그룹 채팅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그룹 채팅이라곤 하지만 그룹의 전체 인원이 모이기 힘든 환경이지요. 하지만 모바일 메신저인 카카오톡은 전화기가 켜져만 있으면 별도의 로그인이나 연결 동의가 없더라도, 이용료 없이 24시간 항상 메신저로 연결돼 그룹 전체가 언제 어디서든 함께 있는 것처럼 채팅을 할 수 있습니다. 여타 모바일의 1:1채팅이나 데스크톱의 그룹 채팅에서 접할 수 없었던 차별화가 사용자들의 호응을 이끌어낸 것이지요.”
   
   그는 ‘소셜네트워크의 확장과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라는 두 요인도 빼놓을 수 없는 이유라고 했다. “100명이 사용하는 서비스와 10명이 사용하는 서비스가 있을 때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짧은 시간 더 많은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100명의 사용자가 있는 서비스로 몰려드는 심리가 있어요. 이런 의미에서 스마트폰에 저장된 번호로 메신저가 자동 연결된다거나,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이용자를 나의 네트워크로 끌어들이기 쉬운 ‘추천’ 같은 카카오톡의 확장성은 많은 사람들의 눈길을 끌었지요. 여기에 스마트폰 열풍을 불러온 아이폰 보급과 거의 같은 시기에 서비스를 내놓았던 것 역시 네트워크 확장의 한 요인이지요. 카카오톡보다 한두 달 먼저 나왔던 ‘와츠앱’이란 외국 모바일 메신저가 있기는 하지요. 하지만 국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카카오톡이 생소한 미국식 인터페이스에 유료로 서비스되는 와츠앱을 제치기에 한두 달의 시차는 크지 않았습니다.”
   
   
   개인정보 유출 문제로 곤욕
   
   그는 “끊김, 오류 없이 쓸 수 있는 안정성이 사용자의 신뢰로 이어졌다”고 했다.
   
   “서비스 초기 카카오톡은 아이위랩(카카오 이전 회사명)이 준비했던 서비스 중 하나일 뿐이었습니다. 사실 지난 3월 17일 서비스 시작 때만 해도 서버나 운용인력이 사용자 10만명에 맞춰져 있었습니다. 7월 초 아이폰 가입자가 80만명이었는데 이 중 카카오톡 가입자가 60만명을 넘어서더군요. 생각 이상의 반응에 전략을 수정했어요. 이거다 싶었습니다. 이때부턴 회사 모든 인원을 카카오톡에 투입했습니다. 200만명을 넘어 300만명 이상이 사용한다 해도 안정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지요.”
   
   업계에서는 카카오톡에 대해 과거 싸이월드·네이트온 등 인터넷 웹상의 초대박 서비스를 능가하는 추세라 말하고 있다. 하지만 고민도 있다. 빠른 성장만큼 갑자기 찾아온 위기도 있었다. 지난 9월 기존 서비스 이용자들의 가입 시에는 없던 부가 서비스, 이벤트 응모 시 필요한 실명·주민등록번호·주소·이메일 주소, 또 신용카드와 휴대폰 결제 시 필요한 통신사·신용카드·은행 정보 등 개인정보수집과 관련해 변경된 내용의 약관을 사전 고지하지 않은 것이 문제가 됐다. 기존 가입자들이 사전 고지가 없었다는 점을 들어 반발했다. 이 대표는 “오해에서 온 문제였다”고 했다.
   
   “애플의 경우 이런 내용 변경에 한 달 정도가 소요됩니다. 그런데 이 기간이 지나기 전에 사람들에게 내용이 알려지며 오해를 불러온 거지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전화기는 동의 절차를 거쳐 바로 내용의 변경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변경에 ‘동의’한 사용자들만 변경된 정보가 추가되고, 특히 금융정보 등은 수집되지 않습니다. 사전고지를 하지 못했던 건 저희가 미숙했던 부분이지요. 바로 사과문을 게시했고, 사용자들 역시 당시 상황을 이해해주고 있습니다.”
   
   
   12월 초 첫 수익모델 실험
   
   수익 모델 역시 카카오의 고민 중 하나다. 100% 무료 앱 서비스에 광고, 제휴, 협찬 역시 전무하다. 카카오의 또 다른 서비스 카카오아지트(모바일 카페)와 카카오수다(모바일 블로그) 역시 수익 모델이 없는 무료서비스다. 기업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수익 창출’이다. 무료 앱에 익숙한 국내 가입자들의 성향을 고려하면 유료 전환도 쉽지 않다.
   
   이 대표 역시 “‘수익 창출’은 늘 고민스러운 것” 이라며 “올 12월 초 첫 수익모델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했다.
   
   “‘선물하기’ 서비스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친구들과 카카오톡으로 채팅을 하다가 ‘커피 한 잔이 마시고 싶다’‘케이크가 먹고 싶다’ 혹은 ‘인형 하나 갖고 싶다’는 대화가 오갈 때 바로 친구에게 커피나 케이크, 인형 기프티콘(온라인, 모바일에서 사용되는 선물교환권)을 모바일로 간편하게 줄 수 있도록 하는 거지요. 크리스마스 시즌에 맞춰 내놓을 예정입니다.”
   
   이 대표는 카카오의 궁극적인 수익모델로 카카오톡의 ‘오픈 플랫폼’을 말했다. 다른 벤처들이 카카오가 공개한 플랫폼을 이용해 자신들의 모바일용 애플리케이션을 만들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 카카오톡 화면

   “예를 들어 한 벤처가 모바일용 축하 카드를 카카오의 플랫폼을 이용해 만들어 서비스한다면 사용자는 그 벤처의 카드 앱에서도 축하카드를 보낼 수 있지만 카카오톡을 이용하면서 별도의 앱을 구동하지 않아도 바로 카카오톡 안에서 축하카드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지요. 우리 플랫폼을 이용하는 모바일 벤처는 카카오톡의 소셜네트워크를 이용해 별도의 홍보나 광고 없이 사용자 확보가 가능하고, 카카오 역시 다양한 루트의 수익창출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거지요.”
   
   
   네이버 창업자 ‘김범수’가 뒤에 있었다
   
   이 대표는 “11월 중 일본과 영어권 국가를 대상으로 카카오톡의 첫 해외 서비스를 시작할 것”이라며 “내년에는 중국으로도 진출할 예정”이라고 했다.
   
   “세계 68억 인구 중 PC를 이용하는 인터넷 인구는 약 16억명에 불과합니다. 그런데 휴대전화는 그 이용 인구만 41억명입니다. 비교할 수 없지요. 휴대전화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전환이 완료되는 시점이 되면 SNS의 수요는 지금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게 될 것입니다. 지금 시점에선 보다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전략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보다 많은 사용자 확보를 위해 해외 진출 역시 무료 서비스로 이루어질 겁니다.”
   
   카카오톡은 문자서비스가 주요 수익원 중 하나인 국내 대형 이동통신사들엔 탐탁지만은 않은 존재다. 무료 실시간 채팅 서비스인 카카오톡이 그들의 수익 기반을 갉아먹는 형국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서비스 초창기 “우리와 함께하자”는 대형 이통사나 스마트폰 기기 사업자들의 러브콜도 많았다.
   
   “아이폰이 나오지 않았다면 이 서비스를 하지 못했을 겁니다. 결국 모바일 서비스의 기반은 이통사 망을 이용해야 하니까요. 이통사들이 망을 공유하려 하지 않았겠지요. 하지만 아이폰이 많은 것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앱 스토어의 대중화가 이루어졌고, 이곳을 통해 누구나 자신이 꿈꾸던 서비스를 내놓을 수 있게 했으니까요. 다르게 말하면 모바일 세상이 과거의 인터넷 세상이 그랬던 것처럼 벤처에는 새로운 기회의 땅이 되어 주고 있다는 것이지요.”
   
   카카오톡과 함께 카카오가 세간의 관심을 받는 이유가 또 있다. 바로 ‘김범수’라는 인물의 존재감 때문이다. 한게임과 네이버의 창업자로 국내 인터넷·IT업계 최대 거물 중 한 명이 김범수(44) 대표다. 그런 김범수 대표가 현재 카카오 이사회의 의장으로 이제범 대표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는 것이다.
   
   
   취업 대신 창업에 도전한 젊은 CEO
   
   김범수 대표가 NHN을 떠날 당시 사업에 관한한 모든 것을 이룬 듯한 그에게 세간 사람들이 “진짜 꿈이 무엇인지”를 물은 적이 있다. 당시 그는 자신처럼 벤처로 성공한 CEO 100명을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했다. 지금 그 말을 떠올리면 결국 이제범 대표는 김범수 대표가 그리던 꿈을 세상에 보여주고 있는 첫 작품이다. 김범수의 네이버 신화를 보고 자란 이제범 대표 역시 이를 부인하지는 않았다.
   
   “어릴 때부터 성공한 사업가로 제대로된 기업을 만들어보는 게 꿈이었다”는 이제범 대표는 서울대 산업공학과 졸업 후 취업 대신 사업을 택했다. 2004년이었다.
   
   “대학 선배와 함께 웹과 모바일을 서로 이어주는 인터넷 문서 솔루션 벤처를 창업했습니다. 2년을 함께했지요. 그러다 2006년에 홍콩 출장지에서 서울대 산업공학과 박종헌 교수님에게 ‘김범수라는 사람이 함께 일하고 싶은 젊은 친구를 찾는데 혹 일해 볼 생각있느냐’는 전화를 받았어요. 당시만 해도 저는 김범수 대표가 산업공학과 11년 선배라는 것 외엔 아는 것이 전혀 없었어요. 그런데 다른 산업공학과 사람들을 통해 김 대표가 저를 알게 됐다고 하더군요. 별로 고민하지 않았습니다. 좀 더 많은 것을 해 볼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어요. 함께하던 선배에게 제가 하던 일과 지분을 모두 주고 저는 ‘아이위랩’의 멤버로 합류했지요. 이게 저와 카카오의 인연입니다.”
   
   ‘벤처 암흑기’라 불리는 2010년,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카카오는 새로운 벤처 모델을 만들어 가는 실험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 실험은 데스크톱 인터넷을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모바일 인터넷의 시대를 더 빠르게 앞당기고 있는 중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