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IT story in korea.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IT story in korea. Show all posts

Saturday, April 11, 2015

Put information in the smartphone an efficient health care '... mobile PHR attention

Put information in the smartphone an efficient health care '... mobile PHR attention

# Hear a busy mom sent me a column on one child to the emergency room for breathing rough hand dad. She ate less about status and fever a few days of observing carefully the child's father was sent to the smartphone. Wihaeseoda to describe the status of the child. But the staff was more surprised by my mom is a voice message sent. It was pyeeum (I breath sounds in the lungs) of a child. The sound was recorded against the smartphone microphone to the child even had a delicate chest. Who hear was the sound of pneumonia. Doctors have confirmed that pneumonia take an x-ray. Not bad kids sent home state, and encouraged the hospital does a poor lapse. Dad went to take an x-ray taken in the emergency room said the smartphone will go back to another hospital.



Recently, the actual AH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emergency room. Child's parents take advantage of the smartphone 'smarter'. Properly fever and cough took out when needed, medications, etc., allow a meticulous record.

As my health records to the necessities of the modern smart phones is more accurate in detail any possible if you are worried about things contained. Tense moment in time when an emergency occurs is difficult to ask for help will enable appropriate support and treatment.

Damsel imagine they attempted to implement this in practice. The so-called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 (PHR) 'The Age.

Korea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TRI) has recently hospitals and healthcare personal health records obtained from the equipment, etc. You can save on their smartphones when needed doctors and health care center platform that can receive a variety of health care services provided and Technology sets out the said.

The platform for the 2018 target commercially available in health stores information across several servers as personal management center, and functions to open them to the other service.

The platform is kept in the individual's medical history, medications, blood pressure, and storage under the agreement smartphones or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 pulse.

Your doctor or health is in the purpose to implement high-quality health care by allowing healthcare providers to view the meantime ever recorded when health problems arise.

ETRI prior to domestic entrepreneurs Life semantics also developed a platform for health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ay gotta central unified management. This is called 'Life Records platform provides a unified management environment, such as a store or share the personal information that is created or smartphone from medical records and daily life.

PHR concept has not appeared in the country in recent years. Asan Hospital, which had provided to the patient developed a mobile application called in 2010 "chart in my hand." This app can patients do not need to find a hospital or call us to check your medical records.

However, PHR PHR concept is emerging, while geuchineun to show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themselves, Asan Medical Center, is the administrative user medical records and health information, and to be able to control it. Give me back the information themselves open to individuals, ever share data sovereignty and remind it allows you to get a more concrete level of health care and medical services. This will also activate the service and industrial development can be achieved.

Industry insiders said, "If the medical information and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can be integrated into ongoing as to be able to receive medical services as users are able to actively choose to health care services."

But the key is that what is difficult to collect this information. Hospital medical records is not gotta create a standardized form with out there. Digital conversion is difficult, and the utilization of limited. Security issues may arise due to deal with another sensitive medical records and health information.

Yungeonil reporters benyun@etnews.com


Tuesday, October 25, 2011

Distribution centers,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 Social Commerce neighbor and SNS support free education guide

Distribution centers,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 Social Commerce neighbor and SNS support free education guide








Hi ...







SMEs in the domestic distribution center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as a business representative for the activation phone trees, Korea in partnership with social commerce applications through the neighbor is being received.







The Small Business Social Commerce neighbor through distribution centers and a low fee to promote their brands and services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is expected.







In addition, regardless of industry and emerging issues in the SNS (social network service - ex. Facebook, Twitter, etc.) can receive education free of charge.







Social Commerce neighbor inside a company, review your company sigo interested e-mail or please contact us below.















* Eligibility







-. Social Commerce neighbor Eligibility: Domestic manufacturing targets (cf. Manufacturing Company Registration symptoms Camera Required) - Application by a final decision after the review is available neighbor







-. Eligible for free education SNS promote empowerment: target all industries including manufacturing, (cf. Wed Behold finalized quickly received first-come-first-served basis, please.)











* For more information, please see the attached file.











[Application inquiries and registration]







-. Deputy gimhaegyeong 02-2671-1397 / e-mail: tesskhk00@paran.com











* The attachment is available for download from the 2011-11-08.

2011 Call for Best Small Business Social Commerce neighbor. Doc

2011 Small Business Empowerment _SNS_ promote free education-training curriculum and schedule information. Doc













중소기업유통센터 - 소셜커머스 입점 및 SNS 무료 교육 지원 안내







안녕하세요...







중소기업유통센터에서 국내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한 사업으로 국내 대표 소셜커머스 그루폰코리아와 제휴를 통해 입점 신청 접수를 받고 있습니다.







이번 중소기업유통센터를 통한 소셜커머스 입점은 저렴한 수수료와 해당 브랜드 및 서비스 홍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거라 기대됩니다.







또한 업종에 상관없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 ex. 페이스북, 트위터, 기타) 관련 교육도 무료로 받으실 수있습니다.







회사 내부에서 소셜커머스 입점 검토해보시고 관심있으신 업체는 메일 혹은 아래에 연락처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참가자격







-. 소셜커머스 입점 신청자격 : 국내 제조업대상(cf. 사업자등록증상 제조업 기재 필수) - 신청 후 입점 가능 심사를 통해 최종 결정







-. SNS 홍보역량강화 무료교육 신청 자격 : 제조업을 포함한 모든업종 대상, (cf. 선착순 마감될 수 있사오니 빠른 접수 바랍니다.)











* 자세한 사항은 첨부화일 참고 바랍니다.











[신청문의 및 접수]







-. 김해경 차장 02-2671-1397 / e-mail : tesskhk00@paran.com











* 해당 첨부파일은 2011-11-08 까지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1년 우수중소기업 소셜커머스 입점모집 공고.doc

2011년 중소기업_SNS_홍보역량강화 무료교육-교육커리큘럼 및 일정안내.doc

Wednesday, January 26, 2011

Samsung SDS Suspended for 20 days from the court was suspended

Samsung SDS Suspended for 20 days from the court was suspended. Unprecedented in the IT services industry, the first example of business suspension.
 
Samsung SD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last 21 days next month,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registration unreported until 9 to 20 days suspension of sales has been published.
 
The amount of suspension of business which the Company every seven 179358420000 won the most recent level of sales is 7.19 percent.
 
Sales of Samsung SDS, suspended in the last city in May 2008 and am not in the business registration renewal report is due. Information & Communication Business, Samsung SDS at the time of registration were not renewed for 3 months from Seoul, two euros sales were suspended.
 
In response, Samsung SDS is an interim suspension of sales to the court for administrative litigation was filed, the court determined that suspension of business for three months in Seoul because of the abuse of discretion has ruled.
 
For current information on business registration to Alert at 3 years, the Governor has ever reported. Less than 1 year in unreported sales can be positive or cancel your registration.
 
Samsung SDS party orders suspension of business opportunities due to the said reduction is expected. Industry, banks and public institutions in a bid in the first half of the large IT businesses are flocking to considerable wave was expected.
 
IT services industry said, "Last year, the next generation of business banking LG CNS, SK C & C, etc. have been shown to be pushed like this year, whether the situation may take a brake on the reverse of the observations come," he said.






삼성SDS가 법원으로부터 20일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IT서비스업계에서 유례없는 첫 영업정지 사례다. 


삼성SDS는 지난 21일 정보통신공사업 등록기준 미신고에 따라 다음달 9일까지 20일간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고 공시했다. 

회사측이 추산한 영업정지금액은 1천793억5천842만원으로 최근 매출액 대비 7.19% 수준이다. 

삼성SDS의 영업정지 처분은 지난 2008년 5월 서울시에 사업자등록 갱신신고를 하지 않은데 따른 것이다. 당시 삼성SDS는 정보통신공사업 등록 갱신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서울시로부터 3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이에 대해 삼성SDS는 법원에 영업정지 처분은 과도하다는 행정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3개월 영업정지 판정에 대해 서울시의 재량권 남용이라 판결했다. 

현행 정보통신공사업법은 사업자 등록을 3년마다 시·도지사에 신고토록 하고 있다. 신고 누락 시 1년 이하의 영업정지나 등록취소를 당할 수 있다. 

삼성SDS측은 영업정지로 인해 수주기회 감소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금융권과 공공기관의 대형IT사업 입찰이 상반기에 몰려 있어 적잖은 파장을 예상했다. 

IT서비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금융권 차세대사업에서 LG CNS, SK C&C 등에 밀리는 모습을 보인 바 있어, 올해 상황반전에 제동이 걸릴 지 모른다는 관측도 나온다”고 전했다. 

The power of three venture '1 'Humax 1000000000000 Sales

"North Korea and Hussein's palace in a small but strong enough to sell our products has been a global company."
  
1 to 1 trillion won three venture company to achieve sales hyumaekseuga business strategy and vision for the future unveiled.
  
Humax (NYSE byeondaegyu) and 26 days a luncheon press conference at Lotte Hotel in Seoul has a revenue of 1.0052 trillion won last year, said to achieve. Is the first from a three venture company established the result achieved in 21 years.
  
Humax 1 trillion, 98% of revenues came from global markets.Europe's largest TV markets, including Germany, UK, Middle East, No. 1 market share in the retail market, recording sales has led to stable.
▲ byeondaegyu Humax Representative
Humax byeondaegyu representatives "do not cheat and try to challenge ourselves and try to be honest there was failure," said "a textbook case of trial and error and created the great survivors," said one trillion won in sales achieved the trio said serenely.
  
Following the changes represent "the market following the process of change without losing once in the trial suffered not even miss it," said "the members of Humax relationship-oriented and non-partner relationship is a great talent for being a long remain the driving force of one trillion revenue , "he said.
  
Hyumaekseuneun day sales topped 1 trillion won by 2015, starting at 2.3 trillion won in annual sales growth, said that the next target.
  
For this year, broadcasting from the world's largest set-top box market, has unveiled plans to enter the United States. Motorola and Cisco Systems to establish a monopoly in the U.S. set-top box markets have high barriers to entry for many firms gunchimman samkyeotdeon been reported.
  
Change represents the "last broadcast as the United States, the fusion of technology and IP set-top box system is rocking the monopoly of the market," said "now able to enter the U.S. market is seen as a red flag," he said.
  
Meanwhile, as well as the lack of entry into Russia and Eastern Europe and Latin America for the retail market, plans to fold, he said targeting.
  
Include new growth in car infotainment business took direction.Hyumaekseuneun car infotainment business in order to treat IS acquiring 16.67 percent stake in the automotive industry paved the way for the entry. Also this year, the planned transition to digital video, starting with the Japanese automotive market and plans to sell digital TV set-top boxes.
  
Change represents the "change for the existing businesses in crisi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emerging companies," said "when switching from analog to digital broadcast set-top box business with a company car infotainment ilgwotdeutyi business shall be deemed the same chance "he said.





"북한과 후세인궁에도 우리 제품이 팔릴 정도로 작지만 강한 글로벌 기업이 됐습니다."

1세대 벤처기업 휴맥스가 매출 1조원을 달성하고 향후 사업전략과 비전에 대해 발표했다.

휴맥스(대표 변대규)는 26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오찬 기자간담회를 갖고 지난해1조 52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1세대 벤처기업으로는 최초이며 창업 21년만에 이룬 결과다.

휴맥스의 1조 매출의 98%는 글로벌 시장에서 나왔다. 유럽 최대 방송 시장인 독일을 비롯해 영국, 중동 등 리테일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매출 실적을 이끌었다.

▲ 변대규 휴맥스 대표

변대규 휴맥스 대표는 "끊임없이 도전했고 반칙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실패도 정직하게 하려고 했다"며 "교과서적인 시행착오 하고 극복한 좋은 사례를 만들어냈다"고 1조원 매출을 달성한 소회를 담담히 밝혔다.

이어 변 대표는 "시장 변화를 놓치지 않고 따라가는 과정에서 한번도 빼놓지 않고 시행착오를 겪었다"며 "휴맥스 구성원들을 거래 관계가 아닌 동반자적인 관계를 지향하면서 좋은 인재들이 오래 남아 있어준 것이 1조 매출의 원동력이 됐다"고 말했다.

이날 휴맥스는 매출 1조원 돌파를 기점으로 오는 2015년까지 연매출 2조 3천억원으로 성장한다는 다음 목표를 밝혔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세계 최대 셋톱박스 방송 시장인 미국에 진출할 계획이라고 공개했다. 모토롤라와 시스코가 독과점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미국 셋톱박스 시장은 진입 장벽이 높아 많은 그동안 관련 기업들이 군침만 삼켰던 것으로 알려졌다.

변 대표는 "최근 방송과 IP 기술이 융합되면서 미국내 셋톱박스 시장의 독과점 체제가 흔들리고 있다"며 "지금이 미국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적기로 본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그동안 진출이 미비했던 러시아를 비롯한 동유럽과 남미의 리테일 시장에 대한 공략을 본격화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신성장 동력으로는 카 인포테인먼트 사업으로 방향을 잡았다. 휴맥스는 카 인포테인먼트 사업을 하기 위해 대우IS의 지분을 16.67%를 인수해 자동차 산업 진입에 대한 발판을 마련했다. 또한 올해 디지털 방송 전환이 이뤄지는 일본 시장을 시작으로 자동차용 디지털TV 셋톱박스를 판매할 계획이다.

변 대표는 "변화는 기존 기업에게는 위기를, 신생 기업에게는 기회를 제공한다"며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방송이 전환될 때 셋톱박스 사업으로 기업을 일궜듯이 카 인포테인먼트 사업을 통해 비슷한 기회를 잡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Wednesday, January 19, 2011

kakaotalk

Cacao Flick the 'tongkeun' investments were. The aristocracy of the IT industry CEO who decides to invest in cocoa flick about why the industry's attention has been concentrated.

19 days, according to the cocoa industry (representatives yijebeom), chairman of the Kim Jeong Nexon, NCsoft gimtaekjin over from representatives of the investors received a total of 53 billion.

The number of investors, 14 people. Kim Jeong-known investors currently chairman of Nexon, NCsoft gimtaekjin representatives, representatives naseonggyun Neowiz, Optics DANAL representatives, representatives cheonyanghyeon ago NHN Japan, namgunghun include CJ Internet Representative. The Flick of the Cacao-founder and major shareholder and board chairman Kim Bum Soo NHN was known to boast a fantastic friendship.

'Kakaohtok' smart phones and free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hereinafter App) exceeded the domestic use of only 6 million people. There is considerable international popularity. In recent years, Kuwait, Saudi Arabia and four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have risen in popularity over muryoaep 1, the United States and Japan entered the market condition.


▲ IT tycoon to invest 5.3 billion people ventured kakaohtok free IM service.

Kakaohtok service in the industry as investors take advantage of their business and were expected to produce synergies. Flick of the Cacao social network, a mobile payment DANAL, Nexon and NCsoft's games, music, etc. When you combine Neowiz of birth can be very powerful service is the analysis.

Industry executive, who requested anonymity, "Th investors both big spenders IT industry revenue eotjago just invested in the cacao Flick did not," said "Flick cacao using these services together are expected to do," he said.

Another industry official said, "social network, games, been successful, the combined payment and Facebook," said "IT industry, the situation could come and lead to big bang," he said.

They received 5.3 billion won investment from the cacao to the stabilization services, privacy, security, etc. will be available.





카카오톡이 ‘통큰’ 투자를 받았다. 내로라하는 IT 업계 CEO들이 카카오톡에 투자를 결심한 이유에 대해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대표 이제범)은 김정주 넥슨 회장,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등으로부터 총 53억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

투자자 수는 총 14명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투자자는 김정주 넥슨 회장,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나성균 네오위즈 대표, 박성찬 다날 대표, 천양현 전 NHN재팬 대표, 남궁훈 CJ인터넷 대표 등이다. 이들은 카카오톡의 대주주이자 이사회 의장인 김범수 NHN 창업자와 돈독한 친분을 자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톡’은 스마트폰용 무료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으로 국내 이용자만 600만명을 넘어섰다. 해외 인기도 상당하다. 최근에는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4개국에서 인기 무료앱 1위에 올랐으며, 미국과 일본 시장에 진출한 상태다. 

▲ IT 거물들이 53억 규모의 투자를 감행한 무료 메신저 서비스 카카오톡.

업계에서는 투자자들이 카카오톡 서비스를 활용해 각자의 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했다. 카카오톡의 인맥 네트워크, 다날의 휴대폰 결제, 넥슨이나 엔씨소프트의 게임, 네오위즈의 음원 등이 결합하면 상당히 강력한 서비스가 탄생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투자자들이 모두 IT업계 큰손들인데 그냥 수익을 얻자고 카카오톡에 투자를 감행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이들이 모여서 카카오톡을 활용한 서비스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인맥 네트워크, 게임, 결제 등이 결합해 성공한 사례가 페이스북”이라며 “IT 업계 빅뱅과 다름없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이들로부터 투자받은 53억원을 서비스 안정화, 개인정보 보안 강화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Tuesday, January 11, 2011

Myeongbulheojeon 'Terra' Tsunami ... 100 times How to use

Myeongbulheojeon 'Terra' Tsunami ... 100 times How to use
Choebyeongjun reporters ccbbjj@zdnet.co.kr 2011.01.11 / PM 07:07 a game, Terra, beulruhol

 

[ZDNet Korea], and this service is a game developed by Blue Hole MMORPG (multiplayer role game) Terra 5:50 a.m. on the 11th began a public service to users because of their phosphate industry is considered to be achieved.
 
Terra finish the pre-selection service, and a new server, the server 27 has two units open at the same time. No less than 10 minutes to a new server, but users flock to record the atmospheric column lasted 4,000 people staged. Because of this, start the 25 minute service, the urgency to add 2 servers in a hurry to catch users' minds seemed to be.
 
Over time users but 1 For a more concentrated 7:38 a.m. was expanded again to 2 servers. Terra after the 10 am and 13:00 a total of 30 minutes, adding 35 units of each server, a server is operating.


▲ malls open early to show the terra

Pay close the open terrace while trying play once the action is the user's expectations. However, barriers to entry for Terra is true that to some extent because there are some questions to understand and play 100 times when you can enjoy an interesting MMORPG Terra.
 
■ Level-Let's not slow, that impatient

Recently the Chinese MMORPG market is rapidly beginning to raise the level of character that most were planning. But in the case of Terra to reach level 10, it takes 4-5 hours. At first glance it may seem boring, but you can enjoy a variety of content that will design.
 
Tara include the random monsters can do little to level. Because of this, the quests in the game, to be implemented slowly and enjoy the views while it is most important.
 
Getting the quest to find the NPC does not occur often in these cases L key. Or peruse the entire quest, since more links are blue, when you click the NPC names and locations are marked on the minimap. These few tips to enjoy the game eases.
 
■ Character career choice carefully
 
The choice of a profession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Terra to present a lot of races with their own personality when you select the right job can be fun.
 
First, the nature of reality, if people in the lead tank gyeyeolin Gladiator, changgisa, the Berserker is selected. Tanker Series, led the party to stand in front of the most professional player, because a lot of personality to select hwaldalhal.
 
Without leaving the front side to help you if you have a personality's right, all right, and archers. Secretly behind the scenes to help the good (?) Has the character you choose to be priests. Finally, your favorite character to play alone with the wizard, select elementalors you do not have a bunch.
 
■ two-way, more fun and enjoy

MMORPG based on all the parties are gihoekdwae. Terra also is the same. The level of play from 8 terabytes party quests will be granted.
 
Can be difficult to get in early because the party around to play with a friend, you can play the game smoothly. The quests can be shared and you can level up so fast.
 
PC is a great way to enjoy together in the room. Many PC rooms have become a game franchise. When the PC room to play a game franchise in mailboxes across the state experience 20 percent did transmit the item is automatically one hour you can get more experience.
 
If you can not find a real friend to chat on 2-3 people to make friends and have put some tips.
 
■ Let grow until at least level 11
 
Tara's sake that the level of more than 20 industry experts from the analysis is called. Until level 11, but it is also important to try break. Terra initial zone of the channel assignments are pretty much playing the first time around, because users will not be mistaken.
 
This allows you to play smoothly the initial level of technical know-how for the developer because of the rainy season, or do not worry about people not depressed. Level 10-11 to move into two cars are at the moment Valley you can see the crowds.



테라는 사전선택 서비스 마감서버 27개와 신규서버 2대를 동시에 오픈했다. 하지만 10분도 안돼 신규서버들에 이용자들이 몰려들어 대기열만 4천명을 기록하는 진풍경을 연출했다. 이 때문에 서비스 시작 25분경 만에 2대의서버를 긴급히 추가해 급한 이용자들의 마음을 잡는 듯 보였다. 

하지만 1시간이 지나면서 이용자가 더 몰려들자 오전 7시 38분경 또 한번 2대의 서버를 증설했다. 이후 테라는 오전 10시와 오후 1시30분에 각각 서버 1대를 추가해 총 35개의 서버가 운영되고 있다.

▲ 오픈 초반부터 흥행몰이를 하고 있는 테라

테라가 오픈하면서 너도나도 한번 플레이 해보자는 이용자의 기대 심리가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테라의 진입장벽이 어느 정도 존재하기 하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몇가지 사항을 숙지하고 플레이하게 되면 100배는 재미있는 MMORPG 테라를 즐길 수 있다.

■레벨업 속도가 느리다고 조급해하지 말자 
최근 출시되는 중국산 MMORPG는 초반 캐릭터 레벨을 빠르게 올릴 수 있도록 대부분 기획됐다. 하지만 테라의 경우는 레벨 10까지 도달하는데 4~5시간이 걸린다. 언뜻 보면 지루하게 보일 수 있지만 그만큼 콘텐츠를 다양하게 즐길 수 있게 설계한 것. 

테라는 마구잡이 몬스터 사냥으로는 레벨업을 거의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게임상에서 구현되어 있는 퀘스트를 천천히 플레이하면서 즐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퀘스트를 받고 해당 NPC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L키를 누르면 된다. 이후 전체 퀘스트를 자세히 정독하거나 파란색 링크가 되어 있는 NPC이름이나 장소를 클릭하면 미니맵에 표시가 된다. 이러한 약간 팁을 활용하면 게임을 즐기기 편해진다. 

캐릭터 직업선택은 신중하게 

캐릭터의 직업선택은 가장 중요하다. 테라는 종족이 많이 존재하는데 자신의 성격과 맞는 직업을 선택하면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 

우선 현실에서 사람들을 리드하는 성격이라면 탱커 계열인 검투사, 창기사, 광전사를 선택하면 된다. 탱커 계열은 파티플레이에서 가장 앞에 서서 이끄는 직업이기 때문에 활달할 성격의 소유자가 많이 선택한다. 

만약 전면으로 나서지 않고 옆에서 도와주는 성격을 가졌다면 무사와 궁수가 맞다. 또한 뒤에서 남모르게 도움을 주는 착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면 사제를 선택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혼자서 놀기를 좋아하는 성격은 마법사와 정령사를 선택하면 무리가 없다. 

■두 명이서 즐기면 더 재미있다 
모든 MMORPG는 파티를 기본으로 기획돼 있다. 테라 또한 마찬가지다. 테라는 레벨 8부터 파티플레이 퀘스트가 부여된다. 

초반에 파티를 구하기 어려울 수가 있기 때문에 주변의 친구와 같이 플레이하면 원활하게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퀘스트도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빠른 레벨업을 할 수 있다. 

PC방에서 같이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대부분의 PC방들은 한게임 가맹이 되어 있다. 한게임 가맹 PC방에서 플레이를 하게 되면 우편함으로 경험치를 20% 더 획득하게 되는 아이템이 자동으로 전송돼 1시간동안 더 많은 경험치를 얻을 수 있다. 

현실상에서 친구를 구하기 어렵다면 채팅으로 2~3명의 친구를 사귀어 두는 방법도 팁이다. 

■최소 레벨 11까지는 키워보자 

테라의 진면목은 레벨 20이상부터라는 것이 업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하지만 레벨 11까지는 돌파 해보는 것도 중요하다. 테라는 채널이 초기 존에 상당히 많이 배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처음 플레이를 하면 주변에 이용자들이 없는 착각을 하게 된다. 

이는 초기 레벨을 원활하게 플레이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발사의 기술적 노하우기 때문에 사람이 없다고 우울해 하거나 걱정할 필요 없다. 레벨 10~11이 되는 순간 벨리카로 이동하게 되는데 수많은 인파를 볼 수 있다.

Smartphone fever brings about data dilemma

Smartphone fever brings about data dilemma 

A model uses her smartphone in a Wi-Fi enabled zone in downtown Seoul, Monday. Amid the explosive mobile data traffic triggered by the popularity of “smart”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the nation’s top carriers including SK Telecom and KT are being cornered as to whether to keep the current “unlimited mobile data services” as worries mount that the services could become a “double-edged sword.” / Korea Time file

Telecom companies’ unlimited data services seen as double-edged sword

By Kim Yoo-chul

Cutthroat competition tends to prompt companies to go the extra mile in making overly favorable promises to attract as many customers as possible.

However, when the marketing blitz subsides, they realize the pledges were simply too much for them to carry out.

Korean wireless operators seem to be in a similar situation as far as data services are concerned ― originally, they offered unlimited services but are looking to revise this.

Even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KCC), which oversees the telecom industry, has acknowledged that data congestion continues to cause hitches.

``The popularity of advanced smartphones and tablet PCs has triggered mobile data traffic congestion generating concern for mobile operators,’’ a KCC official said.

An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s are browsing the Internet on their mobile gadgets, a trend accelerated by the advent of the iPhone in late 2009.

Understandably, the mobile Internet networks run by the nation’s leading carriers suffered overload despite the large amount of investment to keep up with rising demand.

This prodded SK Telecom to open the talks with the KCC for a possible overhaul in unlimited data services after a string of complaints were filed over slowdowns in mobile transmission speeds or disconnections.

Runner-up player KT also mulled over whether to charge for its tethering service to deal with rising demand for wireless data in a more efficient fashion.

However, the anonymous KCC official added that the agency does not have any immediate plans to endorse the carriers’ ideas of changing data service conditions.

When contacted, both SK Telecom and KT expressed their concerns.

Lee In-won, a representative of KT, said the firm has already begun reviewing its tethering service, which it started last May for free, for a similar reason, although nothing has been decided yet.

Tethering lets users of laptops or tablet PCs on the road connect to the Web with the help of Internet-linked smartphones at places where other alternative networks like Wi-Fi is unavailable.

In other words, smartphones play the role of Internet modems to connect laptops or tablet PCs to third-generation mobile networks.

``Initially, the tethering services were free of charge under the unlimited data scheme up to the end of last year. We are studying how to stipulate new provisions,’’ Lee said. ``However, KT will invest into the telecom infrastructure as scheduled.’’

Double-edged sword

``More often than not, my Galaxy S smartphone does not work properly in sending text messages or making calls even inside Wi-Fi enabled areas in downtown Seoul,’’ Park Jin-kyun, a 34-year-old office worker, told The Korea Times.

Park’s claim is echoed by many other users since the explosive growth of mobile data traffic driven by universal serial bus (USB) modems, smartphones and tablets has become a widespread headache in the local telecom industry.

The average mobile data usage by a smatphone was 271 megabytes a month in 2010, which was far higher than the world’s median of 89 megabytes, according to consultancy Informer Telecom & Media.

In particular, the figure was higher for an iPhone user at 507 megabytes.

In this climate, local telecom companies complain that the country is full of heavy users. But they themselves caused the heavy usage through marketing.

Since last August, SK Telecom, KT and distant third-place player LG Uplus have introduced unlimited data package services at a fixed monthly price of 55,000 won.

Many tech-savvy Koreans have grabbed the attractive offer. For instance, around 80 percent of SK Telecom smartphone users subscribe to the plan.

``Unlimited data services could be a double-edged sword for carriers. Operators were so immature when introducing such services,’’ an industry source who is familiar with the issue said.

A senior executive from KT concurred: ``I hope companies could begin to turn customers to more flexible data plans.’’

He did not reiterate. But what he noted was seemingly that the prices for the unlimited data use should rise while cheaper pricing schemes should be based more on the pay-as-you-go system.

Korea has basked in spotlight as the Internet powerhouse both in mobile and fixed-line as well as the brisk use of related applications on mobile devices.

Some 90 percent of its population has Internet literacy. Today, approximate 6 million or above 10 percent of the country’s 50 million people use smartphones.

The Bank of Korea (BOK) said 1.37 million were using mobile banking systems via smartphones as of the end of the last third quarter and expected that transaction will jump three times in the not-so-distant future.

Frost & Sullivan, a consulting firm, also claimed the size of the nation’s mobile commercial market for last year was 315.7 billion won, up 31 percent from a year before.

Time-consuming process

One may claim that telecom companies are required to funnel more on the network upgrades to grapple with the lingering traffic congestions. Yet, things are not so easy.

From the perspective of telecom firms, what makes situations complicated is that it takes much longer than people expect to improve the speed of networks.

``The work is time-consuming because it is about networks, which require heavy investment as well as a long time,’’ said Lee of KT.

KT is set to expand its Wi-Fi and WiBro zones across the country.

Toward that end, it plans to invest 5.1 trillion won until 2014 even through the Bundang, Gyeonggi Province-based firm is projected to earn just 1.1 trillion won this year from smartphones.

SK Telecom’s approach is different. Its basic idea is to set up small-sized base stations in bustling areas where many people gather to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on handsets, tablets and laptops.

Another solution on the lips of market observers is the next-generation technology, long-term evolution (LTE), which is expected to substantially increase mobile capacity.

SK Telecom is striving to start commercial 4G networks this year while finishing nationwide coverage by 2013 in line with the global migration to futuristic technologies.

KT also considers commercializing LTE earlier than expected.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local carriers will be able to deal with the onslaught of data through innovative ways adding value for clients,’’ the senior KT executive said.



통신3사, 무제한 데이터 요금 `속앓이’

통신3사가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때문에 `속앓이’를 앓고 있다.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도입 이후 데이터 트래픽이 급증하면서 통화품질 문제를 비롯한 각종 부작용이 나타나면서 되려 역풍을 맞고 있기 때문.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등 통신3사는 현재 월 5만5000원 이상 요금제 가입자에게 무제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비교적 비싼 요금 임에도 제한없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 탓에 많은 고객들이 월 5만5천원 이상 요금제에 가입하고 있는 실정

우려됐던 문제가 가시화되자 통신사들은 부랴부랴 요금제 보완에 나서고 있지만 이 역시 녹록치 않다.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SK텔레콤이 일인 다기기 (OPMD) 요금제를 변경해달라는 요청과 관련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데이터 트래픽이 우려할 만한 수준이나 현재로써는 요금제 변경을 받아들일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

데이터 트래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망 보안이 필수이나 문제는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도 오래걸린다는 점. 때문에 통신사들은 부랴부랴 와이파이존을 확충하고 LTE 조기 상용화를 위한 정지작업을 서두르고 있지만 이 역시 단기적 대안에 그칠 것이라는 지적이다.

KT홍보실의 이인원 차장은 ``테더링 서비스에 대한 재검토에 들어간 상황’’이라며 ``유료화 전환여부에 대해 아직 최종적으로 확정되지는 않았고 망 보완 투자를 일정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SK텔레콤의 한 관계자는 ``다소 섣부른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도입으로 망 운영에 다소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가능한 대책을 수립중에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약 1백3십7만명이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뱅킹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시장 조사기관인 프로스트 앤 설리번에 따르면 작년 3분기말 현재 국내 모바일 시장 규모가 3천1백5십7억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31% 늘어난 수준이다.
yckim@koreatimes.co.kr

Sunday, January 9, 2011

KT gives out iPads to all employees

KT gives out iPads to all employees

KT Chairman Lee Suk-chae
By Kim Yoo-chul

KT, Apple's exclusive partner in Korea to sell iPhones and iPads, is set to foster its "smart working" drive with its decision to distribute 3G-based iPads to all employees.

"KT has begun offering Apple's 3G-based tablet PCs to our 32,000 employees to get them Wi-Fi connectivity since late last week," said Kim Yoon-jeong, a company spokeswoman.

Kim added that with the measure, the nation's second-biggest mobile carrier will be able to cut managerial costs and increase the productivity as employees could proceed internal and paper-based works via the tablets regardless of the places and circumstances.

"With iPads, KT employees can perform their own tasks much faster by using our cloud computing systems. There is no need to install software programs and even solutions for working," according to KT's Kim, Sunday.

The decision comes after SK Telecom is spending more to strengthen its cloud computing systems for better smart working amid the telecom industry's convergence era.

Cloud computing is an Internet-based service, whereby shared servers provide software and data to computers and other devices on demand.

Smart working is regarded as an approach to organizing work, which embraces the principles of freedom, collaboration and focus to create a work environment which eventually drives better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receiving outcome.

Korea's top carriers including LG Uplus have been in active modes along this path, though industry officials were giving more credit to KT citing its edge in broadband-related capabilities. KT is the nation's top fixed-line operator.

"We hope the decision will pave the way for it to realize effective penetration of smart working (systems)," said Kim, adding KT is planning to build up the latest IT systems that link into mobiles and PCs.

The local carrier has earlier said it was aiming to secure 1.15 million customers of its smart working services by 2015 and added it has been in intensive talks with British Telecom (BT) of the United Kingdom for service expansion.

iPhones and iPads have emerged as KT’s top revenue sources.

Analysts say a further surge of smartphone users thanks to the arrival of the iPhone 4 is lifting KT’s earnings.

``As of the end of December last year, KT’s smartphone customers reached 2.7 million including 1.8 million iPhone users _ an increase of 64 percent from September. That’s inspiring,’’ Yang Jong-in, an analyst at Korea Investment, said, adding the ``smart working’’ drive makes sense.
yckim@koreatimes.co.kr

Friday, January 7, 2011

Ultra-fast 4G smartphones comin

Ultra-fast 4G smartphones coming soon

LG Electronics’ new Android smartphone the Revolution, left, which will be released in the United States soon through Verizon Wireless, is marketed as the company’s first 4G handset. Samsung Electronics will also provide a 4G smartphone to Verizon, although the device has yet to be named. / Korea Times
By Kim Tong-hyung

LAS VEGAS — Ultra-fast 4G is coming soon, enabling you to eventually gain access to cyberspace 10 times faster than the current 3G platform. Just imagine the ramifications and allow yourself to get excited, because it is opening up a whole new world of possibilities.

Here in Las Vegas, this paradigm shift is being witnessed first, signifying that the next-generation battle is on for mobile broadband, and much of the ammunition is coming from Samsung Electronics and LG Electronics.

The Korean technology giants are fighting for the limelight in a contest for Long Term Evolution (LTE) smartphones at the International Consumer Electronics Show (CES), which started its official schedule Thursday in Las Vegas (local time).

LTE is quickly becoming the technology of choice for fourth-generation (4G) networks, which are equipped for theoretical speeds of 100 megabits per second in downlinks, as much as 10 times quicker than conventional 3G networks.

In demonstrating the hardware touted to succeed the current 3G offerings, technology companies are hoping to exploit consumers’ insatiable craving for faster connections in the midst of a mobile computing evolution.

Obviously, a key market for these ultra-fast phones will be the Untied States, where Verizon Wireless, AT&T, Sprint and T-Mobile have been marketing their LTE, WiMAX and HSPA+ services as 4G.

“We are still in the beginning stages (for 4G), but we think this will be a paradigm shift,” Verizon President and Chief Operating Officer Lowell McAdam said in a presentation at the CES. Verizon launched its LTE network in 38 major U.S. markets last month, and AT&T is preparing an LTE network as well. The first commercial LTE networks in Korea are expected to debut around 2012.

“We sent a signal to the entire consumer electronics industry that this market would develop very quickly. In 2011, that vision becomes a reality,” McAdam said.

LG Electronics in recent years had emerged as the world’s third-largest handset vendor, but has been struggling to expand at the same rate in the more profitable smartphone market. So the company has been showing a sense of urgency to get out of the gate early in 4G handsets, and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e Revolution, an LTE smartphone to soon be released by Verizon, will prove to be a legitimate attempt.

The Revolution is powered by LG’s own L2000 LTE chipset, and the speed of the processor and Verizon’s network is enough for users to download high-definition videos on the move, LG officials said.

The smartphone features a 4.3-inch screen, runs on a version of Google’s Android mobile operating system, has a five megapixel camera on the back and a front-facing camera for mobile video chatting, and an HDMI port.

The Revolution was one of the slew of LTE smarpthones and tablet computers on display by Verizon at the CES Thursday. The list included the much-anticipated HTC Thunderbolt, Motorola’s Xoom tablet, and a new LTE smartphone from Samsung as well as the 4G version of its Galaxy Tab.

LG had previously introduced LTE data cards for AT&T and Verizon Wireless. Verizon’s LTE network provides download speeds of up to 50 Mbps and upload speeds of up to 20 Mbps.

“LG can lead with its LTE technology. We have already been providing LTE data cards and dongles for wireless carriers, and now we can provide them with handsets,” said Park Jong-seok, the head of LG’s mobile communications division.

Samsung’s still-unnamed LTE device for Verizon looks essentially like the 4G version of its Galaxy-style Android phones. The smartphone runs on Android 2.2, as does the LG Revolution, features a 4.3-inch “super”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plus” display with enhanced picture density, and a dual camera. The handset can also double as a wireless hotspot, as could HTC’s rival product, the Thunderbolt.

Samsung has managed to sell more than 1.5 million of its Galaxy Tab touch-screen computers, which were the only models that have managed to offer competition to the Apple iPads, and the company hopes to strengthen momentum through the LTE version of its tablet.

The Galaxy Tab will be one of two 4G tablets on Verizon’s network — the other being the Xoom. The gadget runs on Android 2.2, features a 7-inch display, compared to the 10-inch screens of the Xoom and iPad, a 500-megapixel camera, and supports flash.

Samsung also unveiled an LTE mobile hotspot capable of connecting up to five devices at once.

“Samsung is the only company that could provide a total solution in LTE handsets, systems and standard technologies. We fully expect to put ourselves in the driver’s seat,” said Shin Jong-kyun, the head of Samsung’s mobile business division.
thkim@koreatimes.co.kr

Wednesday, January 5, 2011

Samsung wins $500 million LCD deal for iPad

Samsung wins $500 million LCD deal for iPad 2
By Kim Yoo-chul

Samsung Electronics has won a $500 million deal to provide Apple with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for its upgraded iPads.

Under the deal, Samsung will provide some 8 million LCD panels for Apple’s upcoming tablet computer, sources told The Korea Times, Wednesday.

“Apple asked Samsung to supply 8 million panels,” said a source, asking not to be identified. “There could be more forthcoming.”

Apple’s 9.7-inch retina display and touch screen interface in its iPads are the most expensive components, each costing $80.

Apple is likely to release new versions of its iPad soon, but it will be smaller than those currently being marketed.

Although LG Display, Samsung’s rival, is supplying at least 20 million panels for Apple, the latest Samsung-Apple contract is expected to help strengthen the two firms’ cooperation.

The former earlier developed its new Super PLS technology, which the company says has improved specifications.

A Samsung spokesman declined to comment, while Steve Park, a representative of Apple’s South Korean branch, was not available.

Anticipation surrounding the iPad 2 is growing thanks to the current tablet’s success.

“It’s true that Apple hopes to expand its procurement channels in displays as the current main provider LG Display failed to keep up with an initial order, leading Apple to turn to Samsung,” said another industry executive on condition of anonymity.

Apple is considering downsizing the next iPad to between 7 and 9 inches, though Apple officials had nothing to say.

Media reports say Apple will sell the next iPad from as early as April.

Apple produced 16 million iPads last year and industry officials said the next model will see even bigger annual sales of around 40 million.

“Apple will take up around 75 percent of the global tablet PC market this year on the back of feature-added iPads. With competition for tablets, Samsung Electronics will have better business chances with Apple,” added the executive.



삼성, 애플 차세대 아이패드에 LCD 공급

삼성전자가 미국 애플사와 차세대 아이패드용 LCD 패널을 납품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총 계약규모는 약 5억달러선으로 알려졌으며, 삼성은 곧 지난해 개발 완료한 `슈퍼 PLS’ 기술을 적용한 고해상도 패널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고위관계자는 ``애플사가 차세대 아이패드용 LCD 패널 약 8백만장을 삼성으로부터 공급받기로 한 것으로 안다’’며 ``계약 규모는 5억달러 선’’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논평을 거부했으며 애플 코리아 홍보팀 박정훈 부장 역시 이같은 주장에 대해 답하지 않았다.

`슈퍼 PLS’ 기술은 LCD의 측면시인성과 밝기 (투과율) 를 동시에 대폭 향상시켰으며 삼성측은 기존의 IPS을 적용한 LCD 보다 측면시인성은 2배 이상, 밝기는 10% 이상 향상됐다.

이 기술은 전세계 LCD업계에 화질혁명을 불러올 획기적인 기술이라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애플은 9.7인치 아이패드에 LG디스플레이가 개발한 IPS LCD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장 당 가격은 80달러 선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로 인해 애플에 LCD 패널을 납품하려는 업체들 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일본의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최근 도시바의 자회사인 `도시바모바일디스플레이’가 애플의 투자를 받아 이시카와현에 고해상도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폴리실리콘 LCD 생산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라고 전한 바 있다.

한편 차세대 아이패드는 이르면 올해 4월 출시될 예정인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위해 애플사는 대만의 아웃소싱 업체들에게 관련 부품에 대한 물량 공급 협의를 이미 끝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구한 다른 업계 관계자는 ``내년 전체 태블릿PC 시장에서 애플의 점유율이 올해보다 소폭 하락한 75%에 그칠 것’’이라며 ``태블릿PC 시장 선점을 위한 업체들간의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으나 삼성전자에게는 사업확장을 위한 기회’’라고 말했다.
yckim@koreatimes.co.k

Tuesday, January 4, 2011

"O contido é unha revolución intelixente mudeomsok terminus"

"O contido é unha revolución intelixente mudeomsok terminus"
ZDNet Corea] En algún lugar do mundo das TIC do mercado, a plataforma chamada envolto nun turbillón da guerra. Os smartphones e tablet plataformas, así como o mercado de televisión sobre a gran batalla entre as empresas está en pleno curso, mentres agarrando.
 
Microsoft (MS) escoitar todos os sistemas operativos PASSIVO (OS) do mercado é como se fose a transición cara a época competitiva. Orientada placas son aceptados por gran plataforma do mercado no século 21, a segunda mostraba un forte poder de taquilla, ostentando 10 nyeondeuleo emerxeu como o campo de batalla é.
 
Plataforma para unha competición multilaterais no mercado ata o século 20 é o escenario non podía facilmente imaxinar. Long Desktop MS, Windows e Unix e servidores Windows foron: composición da regra de división. placas rotas non eran unha gran posibilidade.
 
O ADN é un novo local para pegar un pase no ecosistema existente parecía unha parede dura, que xa instalados na plataforma que caen fácilmente levados a estereotipos. Así como no século 21, mentres aínda válido, era visto como un paradigma.
 
Pero a plataforma parece non caer estereotipos sobre o feito de que desde o ano pasado foi desarmado. O protagonista, que liderou unha plataforma de nova xeración se sabe a composición ten unha reorganización tarxeta do trazo.
 
Cambiar o iPhone apareceu en 2007, era esperada. Apple lanzou o iPhone no mercado de aplicacións de verán, que está unirse play 'AppStore' para o seu paradigma de teléfono tradicional e foi declarada un paro. escenario competitivo do mercado de telefonía móbil con hardware-céntrica 'arma secreta' SW eo contido é inxectado balance a respiración Panse.
 
SW eo teléfono vivir para ver o contido antes era difícil imaxinar un escenario facilmente ser unha realidade era. IPhone pode ser usado en varias aplicacións foron enviados para a App Store agora os usuarios bukjeokgeorinda. Xa foi baixo máis de 30 eokhoega ocorreu.
 
O próximo ano, o número de solicitudes rexistrados, existen 500.000 previu que a violación. Aínda agora, os desenvolvedores de todo o mundo para o entretemento, educación, xogos, negocios SW App Store está facendo e de explotación.
 
iPhone de Apple App Store superficie aumenta pedidos, o ecosistema pode medrar. Estender o desenvolvemento de aplicacións iPhone necesidades dos desenvolvedores, aumentando gumaeyok consumidores "Este novo iPhone leva a construír un círculo virtuoso pode ser fantástico. Falando en termos de empresas e contido, levando a hardware e do sistema "carro tríceps 'SW semyida completa.
 
introdución frontes de contidos 'Apple Corps "dunha nova colaboración no sector das TIC significaría que a chegada dun ecosistema. Plataforma para construír haneunge kontencheugan círculo virtuoso, a industria de TI ten a oportunidade de comprobar que a tarxeta foi Pil.
 
provedores de plataforma de contido agora a posición de Alfa eo Omega. Como elementos esenciais para a supervivencia se fixo.
 
Nalgún lugar ao longo do camiño, os fabricantes de teléfono, o sistema operativo (SO), provedores, prestadores de servizos de telecomunicacións son susceptibles de mensaxe de contidos de explotación do valor estratéxico de contidos, un aumento significativo nos medios. Contido a esta plataforma, sen o apoio loxístico forte para vencer a guerra imposible jyeotdaneun a historia.
 
Yiseokchae KT dixo: "A Corea infraestrutura de TI é actualmente niveis máis altos do mundo da era da converxencia dos medios,` I (información, de información), 'e' T (Technology, Tecnoloxía) "Se a crise é atopar un gaña-gañou pode vir todo o camiño" dixo.
 
■ TI hexemonía, voa no contido do colono
 
O crecente valor estratéxico do contido é semellante. Teléfono é só o comezo. Tablet, o Smart TV, parece ser o curso se o mercado windoman PC para teléfonos intelixentes e de contido similar, sacode o paradigma comezou a xurdir.
 
Apple iPad lanzado en abril deste ano, xa publicados, xornais, revistas, contidos de vídeo, xurdiu como a nova Meca. No pasado, nunca tivo que andar a innovación de contido geupmulsaleul.

Ipad mercar ▲ matriz para as compras do usuario. Ipad ofrece o contido é unha nova experiencia para os usuarios.

Levaron ao éxito da ecuación iPhone está en execución de novo dende o tablet. Como os teléfonos intelixentes e formadores de mercado comprimido plataformas competidores para contra-ataca contrabalançar Apple estaba en camiño. A loita tamén se desenvolveu como o contido é centrado.
 
Industria das TIC competitiva no comprimido ou prerrogativa Smart TV para negar o contido que voa no colono, o que é raro.
 
Significado se non pode construír unha plataforma de ecosistema de contidos 'munuiman non só divertirse. Comece a última en outubro parecía esperar, pero loitando para chegar ao mercado a principios da TV Google é representativa.

TV Sony ▲ Google. Son deixados nunha caída inesperada. O valor do índice é unha plataforma de pobre que é simbólico, non só enfraquecen.

Mentres tanto, Google TV, loitara para protexer o contido as principais emisoras.
 
Google TV usuarios ABC, CBS, NBC e outros grandes emisoras streaming seu contido gratuitamente a través dun servizo de radiodifusión pretende utilizalo, pero agora bloquearon o acceso á situación de Google é na TV. Se non pode tratar con grandes emisora de TV de Google reduce o atractivo dos especialistas sería apuntado ao unísono.
 
TV de Google non está só.
 
Realizou unha plataforma de teléfono pobres oportunidades contido que figura é probable que sexa a tumba do ttangyiragi de aumentar.
 
plataforma móbil, non contento ecosistemas geoneuriji "remoto" ou "non consolidada no mercado de teléfono aínda é a maioría só cambia para estar alí. mundial de Nokia de MS non ten moito que dicir sobre o contido. Ambas as empresas wasinsangdam construír ecosistema de contidos, se esforzou.
 
Rede Social (SNS) tamén kontencheugan a plataforma moito e transformouse o nunha era de coexistencia. Facebook e Twitter ecosistema contido construído na vitoria, cando parou nun único servizo, MySpace agora está nunha posición para o futuro dirixiu duras para a redución.
 
Cloud Computing, SNS, que son representados por contido móbil, o novo paradigma, todos os reforzos, e alí estaba a chorar a rir da situación. Berrar o berro de guerra dos contidos en sinal negra xigante da urxencia e da razón de que era inminente.
 
Contido ■ ecosistema de desenvolvemento das TIC poderosa Corea espérase para revivir
 
TI potencia ten o orgullo de representar a Corea do Sur, pero o teléfono móbil non ten moito que dicir sobre. Vou reflexionar sobre un pouco moito.
 
Non recoñecer correctamente o cambio de paradigma, sentiu a necesidade de cambio no nocello e, a continuación, realizada en "sapos pozos" o pasado que provocou a crítica. República de Corea foi pechado "Galápagos" ecosistema móbil foi chamado.
 
Por suposto, a importancia de empresas domésticas e de contidos para a plataforma que estaba non sei nada del. Con todo, os intentos de hwangoltaltae suficiente, que non parecía sentir a urxencia.
 
SK Telecom, unha plataforma líder de servizos de empresas, Chandigarh, xefe da "Non compañía telefónica un móbil en Corea como unha plataforma de servizos para que a reflexión é exactamente iso", dixo que "a raíz do problema do mercado de telecomunicacións nacional, a plataforma de servizos para a industria e os clientes non producen tanto como quere, non ", dixo.
 
Enfermidade crónica "do territorio" non pode deixar de ir a estrutura de nota.
 
Os provedores de contido como socios, terceirizados, pero a simple idea de que se non mudarmos a mentalidade de gran ecosistema de contido coreano, sería apuntou que o crecemento é moi meahriil constante baleiro. Colaboración con empresas que precisan dos poucos proxectos contido atractivo, nin a mente ao final, porque debuxa Irán vén dunha caída.
 
Representante, que pediu o anonimato, que algunhas empresas de contido dixital está dicindo isto.
 
"En grandes empresas, ou engadir unha proposta de oferta para os elementos a seren despachados para ter lugar tras os casos de pequenas empresas é substancial. Antes de subir as propostas relativas a unha corporación, a través de subsidiarias, moito tempo despois da Saga Un dos elementos de contido, como as propostas por si só naenoteun testemuña Se xa estivo alí. próximos dos que sufriron un proceso semellante se pode ver a miúdo. atjiman todos recorrer a unha gran escala de persoal e concretamente, hai naenoteun. impaciente estratexia pulyihal pequenas empresas non poden axudar a librar ".
 
Con todo, xa que o iPhone chegou ao gran jackpot empresas tratan os seus contidos nun estilo que os cambios fosen detectados. Munuiman Win-Win asociacións con provedores de contido, pero a rede non está debidamente comprobado que non existe ningún sentimento de crise seoljari emite espesor.
 
A Samsung Electronics, SK Telecom, KT, e da aristocracia para fortalecer a plataforma para as empresas para desenvolver contidos para o ecosistema de lanzar un gran investimento ha representa-los a facelo. Como etapa final, con munición de verdade para poñer a velocidade estándar é cada vez máis rápidos.
 
T mapas deste ano, a SK Telecom, T tendas, servizos de SMS e chave fixo estrelas competitiva para unha estrutura aberta, capaz de competir nun ambiente global, a plataforma de servizos é un kiwonaganda estratéxico. plataforma de servizos para estender como ₩ 1000000000000 para os próximos tres anos decidiu investir unha cantidade enorme. Agora é a plataforma para impulsar as empresas e a última oportunidade para o éxito tamén foi evidente.
 
Jin-Woo, director de "non avanza a plataforma ofrece a módulos, que por desgraza non creo que decidiu abrir un activo clave da tecnoloxía", dixo "Esta é unha variedade de servizos a crear, entón eu estou contento en fomentar positivo", dixo.
 
A Samsung Electronics para mover o contido para atraer ssolrinda interese. Samsung teléfono e tablet para fornecer unha variedade de aplicacións nun esforzo para traballar con provedores de contido na casa e no exterior puxo unha partida completa.
 
Samsung Electronic Media Solutions, Managing Director da gwonganghyeon Center "aparar abaixo as grandes empresas de todo o mundo, en vez de hardware, o contido esencial e servizos e facelo mellor para a ecoloxía de empresas emerxentes que están a cambia o paradigma da competencia" e "hardware Corea do Sur como un competidor global, provedores de contido e crear un ecosistema para crecer ", dixo.
 
Os provedores de contidos que tratan das grandes corporacións cambiaron a súa actitude sobre o que algúns aínda sería dubidoso. Eles terán que seolmaseolma.
 
O que está claro, non obstante, Smartphone, Tablet, Smart TV está estendendo o paradigma das TIC, a converxencia destes dous xuntos (fusión) no contorno que poden aumentar o valor estratéxico do contido é que hai só. Corea ten puntos fortes en empresas de hardware non pode ignorar o seu contido, porque non debe ignorar nin aquí. Os provedores de contido e estratexia de negocio gaña-gañou agora non é o santo axuda subiu ao posto da historia. Non está en posición de avanzar tungchigo oco.
 
A atención do plan de grandes empresas para a innovación de contido levará ao contido.
 
"O iPhone de Apple no corazón da dugeungeoryeotda emerxencia" representa o bis keomtuseu, "o iPhone para o portal de negocios en Internet, e SW 10 nyeonssikhaeon sentirme campo tan novo e reto da conciencia", confesou yichanjin Dreamwiz eles seguen a saír, como representantes vontade.

Jingga ▲ xogo de rede social (SNG) `` pambil. Xeración de contidos, as empresas globais Jingga xogo aproveitando a plataforma se fixo.

correndo estrelas internacionais xa comezaron contido. Apoiado pola máis grande do mundo jinggana Facebook SNS creceu en compañía de xogos de alto nivel, o iPhone eo Android Angry Bird, un dos máis buscados tras o espazo de estrelas sobre o mar de Corea do Sur tornouse un nome familiar.
 
Angry jinggana Bird na Corea, como podes ver o nacemento da seguinte xeración de contidos estrelas? Para ser nareumil. Información ea Comunicación da Universidade, Corea hanjeonghyeon profesor da Universidade de hardware Agora dijiteolkontencheugan e software, e poden formar unha cadea de valor sa, o bandido "," A colaboración está baseada no seguimento dado a oportunidade de medrar como innovadora, diferenciada App e debe comezar a desenvolver o contido ", dixo.
 
KAIST profesor, Jin, "unha cota de mercado global de telefonía móbil en Corea, con máis de 30 por cento, eo xogo ten puntos fortes na área", e "a creatividade, porque hai moitos desenvolvedores de aplicacións móbiles novas oportunidades para facer alcalde," el incrementar a súa voz.
 
Este é o motivo. ZDNet Corea en 2011, o ano de planificación "contido" foi o contrasinal seleccionada. Isto leva a smartphones e comprimidos e contido de televisión intelixente, a innovación dixital, o heroe decidiu salientar isto.
 
"Eu sei que ten contido crítico, sen o diaños é famoso?" El que preguntar a eles. Cando a historia é, polo de agora, de súpeto queren ser xustos, pero eles están esaxerando o contido é impresionante.
 
ZDNet Corea, sen embargo, focado en TI do mundo este ano, o contido é baraboryeo.
 
Por que? Guhoman un cambio substancial neste alto, repetidas se non hai unha situación no futuro a posibilidade de expulsar o contido é un movemento desesperado para razóns claras. Era da converxencia dixital, os contidos de valor engadido é o núcleo do poder das TIC non é a realidade sobre o xeito no que as cousas foron aliviados de Corea a oportunidade de xogar de novo tamén, cren que o contido vai ser.
 
En ningún lugar preto o suficiente dos recursos naturais para falar na nosa realidade, a única arma é a única. Transbordador de alta calidade eficaz dos recursos humanos na nosa sociedade para aperta-los, tamén o contido para ir cos futuros da industria debería atender ti. Os ecosistemas sans, grandes e pequenos contidos de bitola mutua inter nacionais utilizados para valorar os retos que haberá favorable haneundedo.
 
Corea do ZDNet, a este respecto que o tema deste ano, o contido é unha precaución e aperta a. Localización da industria de contidos nacionais e as recentes cuestións e terá acceso a diferentes ángulos coa dirección. A través de entrevistas coas voces de varias partes interesadas entregaranse vivos. Eonronmaecheran límite, pero menos aínda por unha serie de planificación de todo o ano para promover un ecosistema saudable, os grans fan a contidos para ver.
 
interese dos lectores e de apoio, espérase látego.






"콘텐츠 없는 스마트 혁명 종착역은 무덤속"

지디넷코리아]언제부터인가 세계 IT시장은, 이른바 플랫폼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싸였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물론 TV시장까지 플랫폼을 둘러싼 거대 기업간 샅바싸움이 한창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들었다놨다하는 운영체제(OS) 시장도 이제 경쟁 시대로 전환되는 모습이다. 큰놈 위주로 판이 정리된듯 보였던 플랫폼 시장이 21세기 두번째 10년들어 막강 흥행 파워를 자랑하는 격전지로 급부상한 것이다. 

플랫폼 시장의 다자간 경쟁 구도는 20세기까지만 해도 쉽게 상상할 수 없었던 장면이다. 오랫동안 데스크톱은 MS, 윈도 서버는 윈도와 유닉스의 분할 통치 구도였다. 판이 깨질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였다.

새로운 DNA가 자리를 잡기에 기존 생태계는 넘기 힘든 성벽처럼 보였고, 이것은 한번 자리를 잡은 플랫폼은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는 고정관념으로 이어졌다. 21세기 들어서도 계속 유효할 것 같은 패러다임으로 비춰졌다. 

그러나 무너지지 않을 듯 했던 플랫폼에 대한 고정 관념은 지난해를 기점으로 사실상 무장해제됐다. 차세대 플랫폼을 주도하는 주역이 누가 될지 알 수 없는 구도로 단숨에 판이 재편됐다. 

변화의 신호탄은 2007년 등장한 아이폰이었다. 애플은 그해 여름 출시한 아이폰과 애플리케이션 마켓플레이스인 '앱스토어'를 앞세워 기존 휴대폰 패러다임과 결별을 선언했다. 하드웨어 중심의 휴대폰 시장 경쟁 판도에 '비밀병기' SW와 콘텐츠를 투입시켜 단숨에 판세를 뒤흔들었다. 

SW와 콘텐츠를 보고 휴대폰을 산다는, 그전에는 쉽게 상상하기 힘들었던 시나리오를 현실화시킨 것이다. 아이폰에서 쓸 수 있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이 올라와 있는 앱스토어는 지금 사용자들로 북적거린다. 이미 30억회가 넘은 다운로드가 이뤄졌다. 

내년에는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수가 50만개를 돌파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지금도 전세계 개발자들은 엔터테인먼트, 교육, 게임, 업무용 SW 등을 앞다퉈 앱스토어에 올리고 있다. 

애플은 앱스토어에 올라오는 애플리케이션이 늘어날 수록 아이폰 생태계를 키울 수 있다. 아이폰을 퍼트려 개발자들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이것이 다시 소비자들의 아이폰 구매욕으로 이어지는 환상적인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비즈니스 용어로 말하자면 하드웨어와 SW 그리고 콘텐츠로 이어지는 '삼두마차' 체제를 완성한 셈이다. 

콘텐츠를 앞세운 '애플 군단'의 등장은 IT업계에서 새로운 협업 생태계가 등장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플랫폼과 콘텐츠간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게, IT업계 필승카드임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플랫폼 업체 입장에서 콘텐츠는 이제 알파요 오메가다.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언제부터인가, 스마트폰 제조사, 운영체제(OS) 업체,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가 앞다퉈 콘텐츠를 외치고 있는 상황은 콘텐츠의 전략적 가치가 크게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콘텐츠라고 하는 든든한 후방지원없이 플랫폼 전쟁에서 승리하기는 불가능해졌다는 얘기다. 

이석채 KT 회장은 "한국의 IT인프라는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를 맞아 `I(information, 정보)'와 `T(Technology, 기술)'가 상생의 길을 찾지 않는다면 위기가 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IT헤게모니, 콘텐츠에서 결판난다 

콘텐츠에 대한 전략적 가치는 갈수록 높아지는 모습이다. 스마트폰은 시작에 불과할 뿐이다. 태블릿, 스마트TV는 물론 윈도만 있으면 될 것 같던 PC시장도 스마트폰과 유사한 콘텐츠 패러다임의 등장에 들썩거리기 시작했다. 

애플이 올해 4월 출시한 아이패드는 이미 출판, 신문, 잡지, 영상 콘텐츠의 새로운 메카로 떠올랐다. 과거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콘텐츠 혁신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 아이패드를 사기 위한 사용자들의 구매 행렬. 아이패드용 콘텐츠는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아이폰을 성공으로 이끈 방정식이 태블릿에서 다시 한번 가동되고 있는 것이다.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태블릿 시장도 애플을 견제하려는 경쟁 플랫폼 업체들의 반격이 본격화됐다. 싸움은 역시 콘텐츠를 중심으로 펼쳐지고 있다. 

IT업계에서 태블릿이나 스마트TV 대권경쟁이 콘텐츠에서 결판난다는 것을 부정하는 이는 드물다. 

의미있는 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하지 못한다면 '무늬만 플랫폼' 대접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지난 10월 기대를 한몸에 받고 등장했지만 초반부터 시장 진입에 애를 먹고 있는 구글TV가 대표적이다. 
▲ 소니 구글TV. 예상외의 부진에 빠져 있다. 콘텐츠가 빈약한 플랫폼의 가치는 약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상징한다.

구글TV는 그동안 주요 방송사 콘텐츠를 확보하는데도 애를 먹었다. 

구글TV 사용자들은 ABC, CBS, NBC등 주요 방송사들의 콘텐츠를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사용하고 싶어 하지만 현재는 방송사들이 구글TV에서 접속을 차단한 상황이다. 메이저 방송사들과 계약에 실패한다면 구글TV의 매력은 크게 줄어 들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지적한다. 

구글TV 뿐만 아니다. 

스마트폰도 빈약한 콘텐츠를 보유한 플랫폼들에겐 기회의 땅이라기 보다는 무덤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콘텐츠 생태계를 거느리지 못한 모바일 플랫폼 '리모'나 '미고'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아직 있으나 마나한 존재에 머물러 있다. 천하의 노키아나 MS도 콘텐츠에 대해서는 할말이 많지 않다. 두 회사 모두 콘텐츠 생태계 구축을 위해 와신상담, 절치부심 중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도 바야흐로 플랫폼과 콘텐츠간 공존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한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승승장구하고 있는 반면 단일 서비스에 그친 마이스페이스는 지금 앞날을 기약하기 힘든 처지에 내몰렸다. 

클라우드 컴퓨팅, SNS, 모바일로 대표되는 새로운 IT패러다임은 모두 콘텐츠 지원군이 있고 없느냐에 따라 울고 웃는 상황이 됐다. 콘텐츠를 외치는 거인들의 함성소리에 긴박감과 절박함이 진하게 묻어나오는 이유다. 

콘텐츠 생태계 육성, IT강국 코리아 부활을 기대하며

IT강국을 자부해온 한국이지만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에 대해서는 할말이 별로 없다. 반성할게 오히려 많다. 

패러다임 변화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고, 변화의 필요성을 느낀 다음에도 과거에 발목 잡혀 '우물안 개구리'란 비판에 휩싸였다. 닫혀진 대한민국 모바일 생태계는 '갈라파고스'로 불리었다. 

물론 국내 대기업들이 플랫폼과 콘텐츠의 중요성에 대해 아예 모르고 있었던건 아니다. 그러나 환골탈태를 시도할만큼, 절박함을 느끼지는 않았던 듯 하다. 

SK텔레콤 서비스 플랫폼 사업을 주도하는 이진우 실장은 "국내 1위 이동 통신회사로서 서비스플랫폼을 너무 기만했다는 점을 반성하고 있다"면서 "국내 통신시장이 가진 문제의 뿌리는 관련 업계가 서비스 플랫폼을 고객이 원하는 만큼 만들어내지 못한데 있다"고 말했다. 

고질병인 '갑과 을' 구조도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콘텐츠 업체를 파트너가 아니라 단순 하청 업체로 생각하는 대기업들의 마인드가 바뀌지 않는다면 한국형 콘텐츠 생태계 육성은 공허한 메아리일 뿐이란 지적도 적지 않다. 대기업과 협업이 필요한 분야에서 경쟁력있는 콘텐츠 벤처 기업이 얼마안되는 것도, 결국은 갑과 을 마인드 때문이란 쓴소리도 쏟아진다. 

익명을 요구한 어느 디지털 콘텐츠 업체 대표는 이렇게 얘기한다. 

"대기업에서 입찰을 붙이거나 제안서를 받아놓은 뒤 중소기업 아이템을 가로챈 사례가 적지 않다. 예전에 A사에 기획안을 들고 갔는데, 얼마 후 A사가 계열사를 통해 기획안과 같은 내용의 아이템을 혼자 내놓은 것을 목격했던 경우도 있다. 주변에서도 비슷한 사례를 경험했던 이들을 자주 볼 수 있다. 대규모로 인력을 끌어모았지만 구체적으로 내놓은 성과도 없다. 중소 업체들을 없애버리겠다는 전략으로 풀이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아이폰이 대박을 친 이후 대기업들이 콘텐츠 업체를 대접하는 스타일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무늬만 상생이 아니라 콘텐츠 업체들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제대로 구축하지 않으면 설자리가 없다는 위기감이 진하게 풍긴다. 

삼성전자, SK텔레콤, KT 등 내로라하는 대기업들이 플랫폼 강화를 위한 콘텐츠 생태계 육성을 위해 거액의 투자를 감행하고 있는게 이를 대변한다. 한 발 늦은만큼, 실탄을 투입하는 속도는 점점 빨라지는 양상이다. 

SK텔레콤은 올해 T맵, T스토어, SMS 등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확정성있는 개방형 구조로 전환, 글로벌 환경에서 경쟁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으로 키워나간다는 전략이다. 서비스 플랫폼 확산을 위해 향후 3년간 1조원이라고 하는 어마어마한 금액을 투자하기로 했다. 지금이야말로 플랫폼 사업을 추진할 수 있고 성공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진우 실장은 "확장성을 제공하지 못해 플랫폼을 발전시키지 못한 점을 아쉽게 생각해 핵심 기술 자산도 개방하기로 결정했다"면서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도록 콘텐츠 육성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콘텐츠 확보를 위한 삼성전자 행보에도 비상한 관심이 쏠린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일환으로 국내외 콘텐츠 업체들과의 협력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삼성전자 미디어솔루션센터의 권강현 전무는 "전세계적으로 하드웨어 성능만 뛰어난 업체보다는 핵심 콘텐츠 및 서비스와 이를 위한 생태게를 잘 구성하는 업체들이 급부상하는 등 경쟁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면서 "한국은 하드웨어에서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만큼, 콘텐츠 업체들과 생태계를 만들어 성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콘텐츠 업체들을 대하는 대기업들의 태도가 바뀌었다는 것에 대해 일부는 여전히 반신반의하고 있을 것이다. 설마설마하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로 IT패러다임이 확산되고, 이들이 서로 컨버전스(융합)되는 환경에서 콘텐츠의 전략적 가치는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하드웨어에 강점이 있는 한국 대기업들이 콘텐츠를 외면할 수 없고, 외면해서도 안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콘텐츠 업체들과 상생은 거룩한 구호가 아니라 이제 경영 전략의 반열에 올라섰다는 얘기다. 빈말로 퉁치고 넘어갈 처지가 아니다. 

콘텐츠를 향한 거대 기업들의 구애 작전은 콘텐츠 혁신으로 이어질 것이다. 

"애플 아이폰의 등장에 심장이 두근거렸다"는 컴투스 박지영 대표, "아이폰은 인터넷 포털과 SW사업을 10년씩해온 내게 너무나도 새롭고 도전의식을 느끼게 하는 분야"라고 고백한 이찬진 드림위즈 대표와 같은 이들이 계속해서 나오게될 것이다. 
▲ 징가의 소셜네트워크게임(SNG) `팜빌`. 콘텐츠 시대, 징가는 플랫폼을 활용해 세계적인 게임 업체로 발돋움하고있다.

해외는 이미 콘텐츠 스타들의 질주가 시작됐다. 세계 최대 SNS 페이스북을 등에 업고 초일류 게임 회사로 성장한 징가나,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에서 가장 잘나가는 게임중 하나인 앵그리버드는 바다건너 한국에서도 익숙한 이름들이 됐다. 

한국에서도 징가나 앵그리버드와 같은 차세대 콘텐츠 스타의 탄생을 보게될까? 하기 나름일 것이다. 한정현 고려대학교 정보통신대학 교수는 "지금이 바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디지털콘텐츠간 건전한 가치사슬을 형성할 수 있는 적기"라며 "협력에 기반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만큼,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앱과 콘텐츠 육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형 KAIST 교수도 "우리나라는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점유율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게임 분야에서도 강점을 갖고 있다"면서 "창의력 있는 개발자들이 많다는 점에서 모바일 앱 시장이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래서다. 지디넷코리아는 2011년 연중기획 키워드로 '콘텐츠'를 선정했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과 태블릿 그리고 스마트TV로 이어지는 디지털 혁신의 주인공은 콘텐츠임을 강조하기로 했다. 

"콘텐츠 중요한거 다 아는데, 뜬금없이 무슨소리냐?"라고 묻고 싶은 이들도 있을 것이다. 언제부터 했던 얘기인데, 갑자기 지금 왜 콘텐츠 타령이냐고 따지고 싶은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지디넷코리아는 올해 콘텐츠를 중심으로 IT세상을 바라보려 한다. 

이유? 이번에도 구호만 요란한채 실질적인 변화가 없는 상황이 반복된다면 앞으로는 콘텐츠를 외칠 기회 조차 없어질 것이란 절박함 때문이다.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 콘텐츠는 부가가치의 핵심이며 IT강국이란 실체없는 구호에 안주했던 한국이 다시 뛸 수 있는 계기 역시 콘텐츠가 될 것이란 믿음 때문이다. 

부존자원이 턱없이 부족한 우리 현실에서 내세울 수 있는 유일한 무기는 사람 밖에 없다. 고급인력이 넘쳐나는 우리 사회에서 이들을 효과적으로 끌어안고 갈 수 있는 미래 산업 역시 콘텐츠가 제격이다. 건전한 콘텐츠 생태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상생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평가할 수 있는 잣대로 활용하는데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지디넷코리아는 올 한해 콘텐츠라는 화두를 작심하고 끌어안기로 한다. 국내 콘텐츠 산업의 현주소와 최신 이슈 그리고 발전 방향에 대해 다양한 앵글로 접근할 것이다.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할 것이다. 언론매체란 한계가 있겠지만 연중 기획 시리즈를 통해 적게나마 건전한 콘텐츠 생태계 육성에 밀알이 되어보기로 한다. 

독자들의 많은 관심과 성원, 채찍질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