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nwhile, many talyieotda water. Flood (水灾), as well as fire (火灾) and pungjae (风灾) is represented by three ashes that have been plaguing the persistence of human nature, the year of Re. In the future, lack of water, the earth suffers in hard times is expected.
When grain prices skyrocketed lately 'aegeupeulreyisyeon (Agflation)' should worry about. The reason for skyrocketing global grain prices in Russia have banned grain exports if it is directly caused by the drought, because look. Fire and wounded more than grain to temperatures greater blame burned. Last 10 years the average temperature in Russia in July this year, a 24 doyeoteuna July average temperature of 31 degrees because of drought, forest fires have occurred semyida dalhaeteuni.
As for the Massachusetts Water shortages threaten us too, and opportunity simultaneously. Nestle Climb grain prices, grain, raw materials, such as General Mills shares fell sharply as corporate writing. JP Morgan will be harmed by the water shortage situation for eight industries, he said. Power · IT ·, clothing, beverages, agricultural biotechnology, pharmaceutical and steel companies with the lack of water for plant operations to JP Morgan said he expects her to eat. Coca-Cola and Intel in the 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may disclose the risks to water shortages. Market risk may change depending on the company's performance, as the lack of water may decrease the risk of equities is to inform investors. The lack of domestic industrial enterprises have also been prepared for a rainy day and if I want to ask any.
Serious water shortage situation, we have more business opportunities to earn money that figure semyida open. Oil in the 20th century the 'Black Gold' were a 21st century the waters 'Blue Gold' is recognized as is the reason.Agriculture Products announced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most quickly peurangseuda place. Agriculture Products from all the world's No. 1 No. 2 has dominated the French company. French companies in this unique competitive water industry was likely to be a background of 100 years ago transferred to the private sector in water resources operations because nations.
GE and Siemens Corporation, followed by the United States in the most actively jumping up and open your eyes to the recently started up Corporation is China. According to the Asian Development Bank, China has 60 percent of 669 cities suffer from water shortages and 800 million half of the agricultural population is stable and does not supply drinking water are placed in harsh environments. China dungbeyi (Northeast) 3 Mt of water for drinking water supply of disposable devices that can be put arrange hear that. China's water industry to foster such a longing, because basically we have enough water. If you turn it up in China to foster Corporation to enter the country is in the process means that the opportunity is open.
Total volume of water being supplied from Malaysia, Singapore, specialized in desalination INVINCIBLE high flux is very suggestive of the success stories.
Korea also showed water industry to foster a strong commitment are doing.10 global water industry within 10 years of professional business plans to foster.
Korea as a per capita water resources in China and 1476 ㎥ (2220 ㎥) is less than. For construction of water supply companies make daembuteo sleeping, but the cost of dam maintenance of water pipes to prevent leaking tap, and plenty of water to increase the reuse of water scarcity problem can be solved.Blue gold mining complex in order to foster a global business, your measure of any government must give water to create a stable suyocheo.
However, heavy water (中 水道) public law, but that does not use heavy water have been laid at the sight of the reality that still idling is clear that the water industry policy.
[Edit yijegyeong Director]
| 물부족 리스크와 기회는? | |||||||||
요즘 곡물 가격이 폭등하자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을 걱정한다. 세계 곡물 가격이 폭등하는 이유는 러시아가 곡물 수출을 금지한 게 직접적인 원인이지만 이면을 들여다보면 가뭄 때문이다. 이상기온으로 산불이 발생해 곡물이 타버린 탓도 크다. 최근 10년 동안 러시아 7월 평균기온은 24도였으나 올해 7월 평균기온은 31도에 달했으니 가뭄 때문에 산불이 발생했던 셈이다. 매사가 그렇듯이 물부족 역시도 우리에게는 위협이자 동시에 기회다. 곡물 가격이 오르자 네슬레, 제너럴밀스 등 곡물을 원료로 쓰는 기업들의 주가가 급락했다. JP모건은 물부족 사태로 피해를 입게 될 8개 업종을 꼽았다. 전력·IT·음료·농업·의류·바이오·의약·철강 업체들이 물부족으로 공장 가동에 애를 먹을 것으로 JP모건은 내다봤다. 코카콜라와 인텔 등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물부족 위험요소를 공개하기도 한다. 시장위험에 따라 기업실적이 변할 수 있듯이 물부족 위험으로 주가가 떨어질 수 있음을 투자자들에게 알리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공업용수가 부족해졌을 때를 대비해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지를 묻고 싶다. 앞으로 물부족 사태가 심각해질수록 사업가들에겐 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열려 있는 셈이다. 20세기에 석유가 ‘블랙골드’였다면 21세기엔 물이 ‘블루골드’로 인식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물산업에서 가장 빨리 사업화를 선언한 곳은 프랑스다. 물산업에서 세계 1위와 2위를 모두 프랑스 기업이 독차지 하고 있다. 이처럼 프랑스 기업들이 물산업 분야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차지할 수 있었던 배경은 100여년 전부터 물자원 운영을 국가에서 민간에 이양했기 때문이다. 미국 GE와 독일 지멘스가 뒤이어 물산업에 가장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고, 최근 들어 물산업에 눈을 뜨기 시작한 곳은 중국이다. 아시아개발은행에 따르면 중국 669개 도시 가운데 60%가 물부족으로 고통받고 있고, 8억 농업인구의 절반이 안정적으로 식수를 공급받지 못하는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다. 중국 둥베이(동북) 3성의 식수 공급을 위해 백두산 물을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 뒀다는 얘기도 들린다. 중국이 이처럼 물산업 육성에 목을 매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물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를 뒤집어 보면 중국이 물산업을 육성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가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려 있음을 의미한다. 식수 전량을 말레이시아로부터 공급받는 싱가포르가 키워낸 담수화 전문기업 하이플럭스의 성공스토리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나라 역시 물산업 육성에 강한 집념을 보이고 있기는 하다. 10년 안에 세계 10대 물산업 전문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우리나라 1인당 수자원은 1476㎥로 중국(2220㎥)보다도 적다. 건설업체들은 수자원 확보를 위해 댐부터 만들자고 하겠지만, 댐 건설 비용으로 수돗물이 새지 않도록 수도관을 정비하고, 물 재사용률을 높이면 얼마든지 물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단지 블루골드를 캐는 글로벌 기업을 키우기 위해서라도 정부가 재생산한 물의 수요처를 안정적으로 만들어줘야 한다. 그러나 중수도(中水道)법이 있지만 중수도를 사용하지 않는 공기업이 널려 있는 현실을 보더라도 아직도 물산업 정책은 헛돌고 있는 게 분명하다. [이제경 편집부장]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1569호(10.08.18일자) 기사입니다] |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