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de in Japan 'as `resurrection plants My skin
'Poor harvest worldwide weather anomalies are expected to lead to a surge in agricultural prices are as ...' (A5 Maeil August 5 to date)
Cabbage was 5,000 won for a new 7,700 won, beating a month and the basket price is unusual. In Korea, agricultural prices have eclipsed the highest level in six years are extremely expensive.
The aftermath of bad weather in Korea or Japan, or so-due in Japan are worried about the surge in agricultural prices is raining.
The Nikkei business 'this year, the Year of the Vegetable Passion' You write extremely expensive. Tokyo, Ota-market prices as for the last week of July, spinach, cabbage, tomato prices jumped 10-20 percent from last week. With heavy rain followed by rain and extreme heat As the prices drop, there is no sign.
Japanese Agriculture, Fisheries and sex April 19 to 23 470 retail outlets nationwide for the price of lettuce, etc. I checked the price has risen more than 40% compared with the usual onions, etc. fifty-two jumped 20 percent. Lettuce is 40% higher per ㎏ was 553 yen level.
Consumer prices jumped because of the departure worried the price of each retail chain has carried the event. 318 die in stores all over the country, such as cucumbers and cabbage, six items was lowered by 20 to 60%.
With the surge in vegetable prices is attracting attention is a vegetable plant. Can artificially control the environment outside as the weather is not affected.
The device itself is expensive and it still looked outside and the price is very high compared to cultivation. But the recent surge in vegetable prices fell sharply, while the difference in price.
Sales are growing rapidly thanks. Plants spread from Kyoto to operate the plant for a year, shipment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Production has increased more than 3 times the previous year. Traders Company has surpassed 100. Shinji Inada president, "regardless of the weather because of the quality and price points for good measure is stable," he explains.
Plants, plant expansion increases company
Food companies have been particularly popular in. The appropriate level of quality does not change the taste of food because yujidwae.
Recently, the price goes even further as there are increasing expectations for revenue growth.
Spread the lettuce in 2008, even starting a business in those days, the price per 100g 298 yen level last year but dropped to 158 yen. 60 ~ 70g per package subjected year-old a big hit with the release of 100 enin has lettuce.
Plants, factories paid off as companies are increasingly entering the new. Mitsubishi Research Institute, according to the 20-30 saga last two years a new plant is said to plant themselves in front of businesses.
Directly from the store even if there is a growing production and sales. Japan Subway sandwiches to sell directly from the Tokyo Marunouchi store a sandwich made with vegetables grown. Subway officials in Japan more than anything is that growing your own vegetables, since it is known that our customers describe their rallies.
This vegetable plants already started in Korea. In Seoul Station Lotte Mart Stores 'happy garden' has been produced by the sale of lettuce.
These two lines six danjjari myopan size is approximately 30m ², the advantage of LED light sources sikmuljaebaeyong of about 2,000 a month to produce lettuce. Mine is 120g worth the price of Lotte Mart side won a 2680 price per package is still very high. Plants, factories, as well as Korea, China, Hong Kong is spreading pathways. Mitsubishi Chemical plant in the fall keonteyineohyeong plant systems, such as exports continued to Qatar and the Middle East to come.
Magazine in Japan, especially lighting, HVAC control technology, saying it excellent leverage to get ahead in the field of plant factories, he said.
Manufacture from non-agricultural 'Made in Japan' is that you can go to create the myth. Agriculture in South Korea still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The convergence of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plants, factories, however, as the Agricultural Biotechnology Industry in the year is going to evolve. South Korea companies also increase their interest in this field has come to.
Nikkei Business ⓒ 8 dated March 2 article copying
| 변덕스런 날씨에 인기 끄는 `식물공장` | |||||||||
| `메이드 인 재팬 ` 식물로 부활 노린다 | |||||||||
‘전 세계 기상이변이 작황 부진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매일경제신문 8월 5일자 A5면) 한 포기에 5000원 하던 배추가 한 달 새 7700원으로 뛰는 등 장바구니 물가가 예사롭지 않다. 한국에서는 농수산물 가격이 6년 만에 최고 수준을 경신했을 정도다. 기상 악화의 여파는 한국이나 일본이나 마찬가지인 탓에 일본에서도 농수산물 가격 급등에 대한 고민들이 쏟아지고 있다. 닛케이비즈니스는 ‘올해는 채소 수난의 해’라는 표현을 쓸 정도다. 도쿄 오타시장의 7월 마지막 주 물가를 보자면 시금치, 양배추, 토마토 가격이 전주 대비 10~20% 뛰었다. 호우를 동반한 장마와 폭염이 이어지면서 가격은 떨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일본 농수산성이 4월 19~23일 전국 470개 소매점에서 가격을 조사했더니 상추 등 가격은 예년 대비 40% 이상 올랐으며 파와 오이 등은 20% 뛰었다. 양상추는 ㎏당 40% 높은 553엔 수준이었다. 급등한 가격 때문에 소비자들 이탈이 걱정된 각 유통체인에서는 가격 인하 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다이에는 전국 318개 매장에서 오이와 양배추 등 6개 품목을 20~60%가량 낮췄다. 채소 가격의 급등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것이 채소공장이다. 인위적으로 환경을 제어할 수 있어 날씨 등의 외부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아직은 기기 자체 등이 고가다보니 야외에서 재배하는 것에 비해 가격은 매우 높다. 그러나 최근 채소 가격이 급등하면서 가격 차이는 큰 폭으로 줄었다. 덕분에 판매량도 빠르게 늘고 있다. 교토에서 식물공장을 운영하는 스프레드는 올해 들어 출하량을 대폭 늘렸다. 생산량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늘었다. 거래업체도 100사를 넘어섰다. 이나다 신지 사장은 “날씨에 상관없이 품질과 가격이 안정적이란 점 때문에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설명한다. 식물공장 진출 기업 늘어 특히 외식업체들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품질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돼 음식의 맛이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최근에는 가격 인하도 이뤄지면서 추가적인 매출 증가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스프레드의 경우 2008년 사업 시작 당시만 하더라도 양상추 가격은 100g당 298엔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158엔 정도까지 낮아졌다. 올해 들어서는 60~70g짜리 한 봉지당 100엔인 양상추를 내놓으면서 대박을 냈다. 식물공장이 성과를 거두면서 새롭게 진출하는 기업들도 늘고 있다. 미쓰비시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2년 새 20~30사가 식물공장 사업에 뛰어들었다고 한다. 아예 매장에서 직접 생산해서 판매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샌드위치를 판매하는 일본 서브웨이는 도쿄 마루노우치 매장에서 직접 키운 채소를 이용해 샌드위치를 만든다. 일본 서브웨이 측은 무엇보다 채소를 직접 재배한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고객들이 몰리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런 채소공장은 이미 한국에서도 시작됐다.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는 매장 ‘행복가든’에서 생산한 상추를 판매하고 있다. 여섯 단짜리 묘판이 두 줄에 약 30m² 크기인데, 식물재배용 LED를 광원으로 활용해 매달 2000포기가량의 상추를 생산한다. 롯데마트 측이 내건 가격은 120g짜리 1봉지당 2680원으로 가격은 높은 편이다. 식물공장은 한국뿐 아니라 중국, 홍콩 등으로도 퍼져나가고 있다. 올 가을에는 미쓰비시화학이 컨테이너형 식물공장 시스템을 중동 카타르에 수출하는 등 꾸준한 성과도 나오고 있다. 잡지는 일본이 특히 공조·조명 등의 제어기술이 뛰어나다며 이를 활용해 식물공장 분야에서 앞서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조업이 아닌 농업에서 ‘메이드 인 재팬’ 신화를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에서 농업은 여전히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식물공장처럼 첨단기술이 접목되면서 농업은 생명산업으로 진화를 거듭해가고 있다. 한국기업들도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을 높여야 할 때다. Nikkei Businessⓒ 8월 2일자 기사 전재 [정욱 매일경제 경제부 기자 wook@mk.co.kr]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1569호(10.08.18일자) 기사입니다] |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