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November 16, 2010

Scenes from the two confectionery stores imheonyang beuredaenko for their freshly baked bread is showing.

Palbong teachers 'living' Scenes changing confectionery imheonyang change
Palbong teachers 'living' imheonyang confectionery Scenes
Chairman Chul 故 dedicated snack ... "gimtakgucheoreom me to wait a good bread"


Scenes from the two confectionery stores imheonyang beuredaenko for their freshly baked bread is showing. "Iced news>
High (故) Samsung Chairman Lee BC's favorite was the bread, the name `` hopeuppang. Until that time, now forgotten ppangyijiman to make this bread in the country imports all of the people had to do.

1977, Lee was in charge of the Shilla Hotel, a young man called confectionery. Young people to learn how to create a hopeuppang Osaka, Japan, Japanese bakers house in the vicinity went haphazard. Korman was difficult to separate recipes. Milbanjuk sheer amount of sugar and close to regulate the appearance has been put into my head.

Bake according to recipe head back to Korea, but failed Every time. Not until the 17th `The taste of baking bread've thought that,`. Two former presidents were also satisfied taste. This young man representing our country bakery immediately myeonginin imheonyang Scenes (71) is.

`Drama` jeppangwang gimtakgu bakery and confectionery industry, thanks to the `Im Palbong Scenes from a teacher called`. Im currently government approved the Scenes Scenes bakery there were only two of seven, including all the most famous scenes seonbaeda Lim.

Scenes Im the last 10 days from its headquarters in Seoul Bangbae beuredaenko met. He is now working as Senior Advisor to the company is baking bread. Dan and his lifetime of being associated with nasal BRAY confectionery sector Shilla Hotel Shilla was created by a subsidiary of injection.

Im Scenes bread and in 1964 signed the first bond. I know several places to look for work and did not work out, he looked frustrated the rest of the day went to Namsan Seoul looked down upon. "If anybody write me a lifetime at one company has vowed to work hard. Then Finish the U.S. 8th Army base in Yongsan, I have a chance to work on. Confectionary side thing I did not know, donuts and so much fun I had making a cake." He learned baking skills from military bases in 1970 with the founding members went Chosun Hotel, Shilla Hotel, opened in 1977 at the time was given a call to President Lee BC. Scenes interview at the time when Im not forget to remember. Interviewer came in 7 patients, of which one was the Chairman.

"At the time of bread making flour quality was not so. This hoejangkke have other ingredients imported materials jolratdeoni believing he is not` technical 'and gave Finjan said. I keep saying I want to create even more good bread, and offered `gojiptong, allowed to do what you want to try once and favors'. then write good material can make good bread was stubborn. "

After he was given the nickname `Mr.` bread. He always made this venue a snack. `` Sweet bean bread is not good teeth, not too soft, just beans patsoman write trickling claiming this venue is up to date properties.

His inauguration was only offered a cake. Once a former president was 55 years old birthday, until the day dawn was asked to urgently make a cake. The cake is the `meaning` s wrongful use of his philosophy, according to the five square-shaped, he created a 5 layer cake sent. That was an idea for a short time reminders. He 's hard to see the drama, saying `no` jeppangwang gimtakgu laughs. `` Palbong drama teacher to two of the words is that there is the wrong word.

"Mass production and the production of small amounts of money than that, even according to principles that I'm like. Gimtakguga in the drama as possible without removing from the oven and bake the best time to concentrate on the fact that unlike're all waiting does. I use the same ingredients to create bread tastes different depending on the nature of man. baker must know when to wait. "

Scenes Im thinking about the reverse of positive extraordinary. If you do not tell anyone to his knowledge, but not the end, it is divided, the more power that is his philosophy. Even before the actual interview, he taught at my junior short squeeze.

"Scenes gather each year to open a bakery contest, this time coming out a lot of bread in the view spectacular. In fact, even when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to keep the mean bread. Gimtakgucheoreom waiting, do not rush hastily to look younger has also hope to learn."

[Choeseungjin News]

[Ⓒ Daily News & mk.co.kr,











`살아있는 팔봉선생` 임헌양 제과 명장
故 이병철회장 간식 전담…"김탁구처럼 기다려야 좋은 빵 나와"


임헌양 제과 명장이 브레댄코 매장에서 자신이 직접 구운 식빵을 들어 보이고 있다. <김호영 기자>
고(故) 이병철 삼성 회장이 가장 좋아하던 빵 이름은 `호프빵`이었다. 지금은 잊힌 빵이지만 당시만 해도 국내에 이 빵을 만들 수 있는 사람이 없어 전량 수입해야 했다.

1977년 이 전 회장은 신라호텔 제과 담당으로 있던 한 젊은이를 불렀다. 젊은이는 호프빵 만드는 법을 배우기 위해 일본 오사카 인근에 있던 일본인 제빵사 집을 무작정 찾아갔다. 어렵게 찾아갔지만 레시피는 따로 없었다. 설탕과 밀반죽 양을 순전히 감으로 조절하는 모습을 머릿속에 담아왔다.

한국에 돌아와 머릿속 레시피대로 빵을 구웠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17번째 빵을 굽고 나서야 비로소 `이 맛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전 회장 역시 맛을 보고 흡족해 했다. 이 젊은이가 바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제과 명인인 임헌양 명장(71)이다.

드라마 `제빵왕 김탁구` 덕분에 제빵ㆍ제과업계에서는 임 명장을 `팔봉 선생`으로 부른다. 현재 정부가 공인한 제빵명장은 임 명장을 포함해 모두 7명밖에 없는데 이 가운데 임 명장이 가장 선배다.

임 명장을 지난 10일 서울 방배동 브레댄코 본사에서 만났다. 그는 지금도 이 회사 상임고문으로 일하며 빵을 굽고 있다. 브레댄코는 그가 평생 몸담았던 신라호텔 제과 부문이 분사해서 만들어진 신라명과의 계열사.

임 명장이 빵과 첫 인연을 맺은 것은 1964년.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여러 군데를 알아봤지만 여의치 않았던 그는 하루는 답답한 나머지 남산으로 올라가 서울 시내를 내려다봤다. "어느 회사든지 나를 써준다면 평생 열심히 일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그러다 마침 용산 미8군 기지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어요. 제과 쪽 일인 줄은 몰랐는데, 도넛이나 케이크를 만들어 보니 너무나 재미 있었습니다." 미군 기지에서 제빵기술을 배운 그는 1970년 조선호텔 창립 멤버로 들어갔고, 1977년 신라호텔 오픈 당시 이병철 회장에게 부름을 받게 됐다. 임 명장은 당시 면접 때 기억을 잊지 못한다. 면접관 7명이 들어왔는데, 그중 한 명이 이 회장이었다.

"당시에 밀가루 품질 때문에 못 만드는 빵이 있었어요. 이 회장께 다른 재료를 수입해 달라고 졸랐더니 `기술 없는 놈이 재료 탓만 한다`고 핀잔을 주셨죠. 그럼에도 더 좋은 빵을 만들고 싶어서 계속 말씀드렸더니 `고집통, 한번 해보고 싶은 대로 해봐`하고 허락하시더군요. 그때도 좋은 재료를 써야 좋은 빵을 만들 수 있다는 고집이 있었습니다."

이후 그에게 붙여진 별명이 `회장님 빵`이었다. 이 회장 간식은 늘 그가 만들었다. 이가 좋지 않아 `단팥빵`도 그냥 팥이 아닌 부드러운 팥소만 써야 했다며 이 회장 특성을 줄줄 꿰고 있다.

대통령 취임식에 제공되는 케이크도 그의 몫이었다. 한번은 한 전직 대통령 55세 생일이었는데, 당일 새벽에야 급히 케이크를 만들어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케이크에는 의미가 담겨야 한다`는 그의 철학에 따라 그는 5각형 모양으로 된 5층 케이크를 만들어 보냈다. 짧은 시간에 떠올린 아이디어였다. 그는 요즘 드라마 `제빵왕 김탁구`를 열심히 보고 있다며 웃는다. 드라마 속 `팔봉 선생`이 하는 말 중 틀린 말이 없다는 것이다.

"대량 생산을 해서 돈을 버는 것보다 소량으로 생산하더라도 원리원칙에 맞게 한다는 것이 제 생각과도 같아요. 드라마 속에서 김탁구가 오븐에서 빵을 꺼내지 않고 최대한 집중해서 가장 적당한 시간을 기다리는 모습도 사실과 다르지 않습니다. 똑같은 재료를 써도 만드는 사람 성격에 따라 빵 맛은 다릅니다. 제빵사는 때를 기다릴 줄 알아야 해요."

임 명장은 후진 양성에 대한 생각도 남다르다. 자기 지식을 남에게 알려주지 않으면 결국 없어지지만, 이를 나눌수록 더 발전한다는 것이 그의 철학이다. 실제 인터뷰 직전에도 그는 잠깐 짬을 내 후배들을 가르쳤다.

"명장들이 모여 제빵 대회를 해마다 여는데, 이때도 보기에 화려한 빵만 나올 때가 많아요. 사실 가장 기본을 지키는 빵이 중요한데도 말이죠. 김탁구처럼 기다리고, 급하게 서두르지 않는 모습을 후배들도 배웠으면 좋겠습니다."

[최승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