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November 16, 2010

"Le Monde, Korea representative kimchi. Bulgogi Introduction>

"Le Monde, Korea representative kimchi. Bulgogi Introduction>


(Paris News) gimhongtae Le Monde correspondent in France is the 11th day jumalpan potent supplement to Korea's national dish kimchi and bulgogi was shown to introduce an article.

   Le Monde to publish once a month in this appendix 'Folks in South Korea under the title of the article a few ingredients and recipes from each country may be limited to or tools for the cooking them to develop into one of Korea in art leading to the taste of Kimchi and Bulgogi has reported that in traffic.

   Newspapers 'sangkeumhago crunchy, yet spicy' taste of kimchi, excellent medical benefits charge as high a reputation as various spices and ingredients, depending on how effective that there is more than 200 have introduced a variety of kimchi.

   Le Monde as a side dish kimchi, Korea's iconic white rice at every meal and the perfect harmony of taste on the table, what makes up an appetite as "intense, unique taste and aroma derived from fermentation of special taste tempting gourmet element hunters" said.

   Especially Le Monde in Korea Kimchi love and devotion a 'mother's movement slows' s wrongful use second of' wife live without kimchi without the can not live the adage, and Dongchimi for yiyeolchiyeol (以 热 治 热) of humors also threw explained.

   Food for the party newspaper 'Korean-style barbecue' meat for the family to have a special secret, saying kimchi and bulgogi, a few vegetables, and rice dinner table in an air-launched from the gourmet cuisine of South Korea for the visual pleasure and migakjeok that was co-expressed joy.

   hongtae@yna.co.kr









<르몽드, 한국 대표음식 김치.불고기 소개>

    (파리=연합뉴스) 김홍태 특파원 = 프랑스 유력 일간 르 몽드가 11일 주말판 부록을 통해 한국의 대표 음식으로 김치와 불고기를 소개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르 몽드는 한 달에 한 번씩 발행하는 이 부록의 '한국의 밥상'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나라마다 몇 가지 재료들과 조리법이나 도구에 한정될 수 있는 요리를 하나의 예술로 발전시키는데 그중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맛은 김치와 불고기로 꼽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상큼하고 아삭하면서도 매운' 맛을 전하는 김치는 뛰어난 의학적 효능으로 그 명성이 높다면서 각종 양념과 재료, 발효 방식에 따라 200여종의 다양한 김치가 존재한다고 소개했다.

       르 몽드는 김치는 한국의 상징적인 반찬으로 흰 쌀밥과 완벽한 맛의 조화를 이루며 끼니마다 식탁에 올라 식욕을 돋운다면서 "강렬한 맛과 발효에서 비롯된 독특한 향은 특별한 맛을 찾아다니는 미식가들을 매혹하는 요소"라고 말했다.

       특히 르 몽드는 한국에서 김치는 사랑과 정성이 있는 '엄마의 손맛'이 담겨야 한다면서 '마누라 없이는 살아도 김치 없이는 못산다'는 속담과 동치미에 대한 이열치열(以熱治熱)의 고사성어도 곁들여 설명했다.

       신문은 잔치 음식인 '한국식 바비큐' 불고기는 가정마다 비법을 갖고 있는 특별 메뉴라면서 김치와 불고기, 몇 가지 채소, 그리고 밥 한 공기의 밥상에서 시작되는 한국의 요리 문화에는 식도락을 위한 시각적 즐거움과 미각적 기쁨이 공존한다고 표현했다.

       hongtae@yna.co.kr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