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December 14, 2010

vietnam news,베트남 소식

◇ 투자 동향
○ 베트남, 2011년 ODA 자금 79억달러 ○ 두산중공업, 13억달러 규모 베트남 화력발전소 공사 수주 ○ 베트남 금감위원장, 하나은행/기업은행 방문 ○ 화학연구소, 베트남 바이오디젤 시험설비 준공 ○ 포스코, 베트남 스테인리스 냉연공장 증설
◇ 주간 경제 뉴스 ○ 베트남, 예금 금리 15%로 인상 ○ IMF, 베트남 공적부채 GDP 40%로 절감 가능 ○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 매출실적 향상 전망 ○ 호치민시, 내년 1월부터 전자 세관 도입 ○ 2011년 호치민시 공시지가 최고액 8100만동
◇ 투자법규 동향 ○ 베트남 주요 법규
- 세금계산서 발행에 대한 안내 (7) ◇ 입찰정보
○ 껀터시, 폐수시스템 건설 입찰
◇ 베트남 경제/사회/역사/문화 ○ 컴퓨터, 전자제품 및 부품 중국으로부터 수입이 최다
○ [KBC소식] 지식경제부 메콩강유역 투자사절단 참가업체 모집 ○ [코참/한인회소식] 한인회 송년의 밤 ○ [주베트남대사관/주호치민총영사관] 국외여행(기간연장)허가 신청 안내 ○ [투자기업소식] 국제환경규제대응 기업현장지도 실시(안)
◇ 베트남 11차 전당대회를 통한 향후 경제정책 전망 - 하노이 KBC 박동욱 ◇ 베트남, 외국인 투자 현황 종합 - 호치민 KBC 김도훈
◇ [전문가칼럼] 단체협약 (KOTRA. 김도훈 전문위원)
◇ [전문가FAQ] 단체협약의 무효 (주호치민총영사관. 이헌수 노무영사)
* 베트남 투자뉴스는 호치민/하노이 코리아비즈니스센터 공동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010. 12. 15 (수) No. 225
주주요뉴스
투자 동향
베트남, 2011년 ODA 자금 79억달러
○○ 지난 12월 8일, 대베트남 지원국 회의(CG)에서 베트남의 2011년도 ODA 자금 79억 달러 지원을 약속하였으며, 전년도 80억 달러 보다는 감소했지만, Vo Hong Phuc 계획투자부 장관은 매우 큰 만족감을 표시함
○ 베트남의 최대 지원국 일본은 17억 6,000만 달러 지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ODA 융 자는 주로 인프라 개발에 사용되며, 일부는 기후 변동 대응에 사용될 계획으로 이번 금액을 포함해 지금까지의 CG측의 지원 총액은 640억 달러임
○ 이번 약속된 지원액은 24개국에서 32억 8,000만 달러, 세계은행 등 5개 조직으로부 터 약 46억 달러 정도가 되며, 일본에 이어 두 번째 많은 지원국은 한국으로 4억 1,200만 달러, 프랑스 2억 2,100만 달러, 독일 1억 9,900만 달러 순이며, 국제조직 에서는 세계은행이 26억 달러, 아시아 개발은행(ADB)이 15억 달러임
○ 세계은행의 Kwakwa씨는 베트남은 ODA 지원 국가에 대하여 만족도를 증명해 보여 야 한다고 말하며, 2011년의 ODA 융자가 2010년 보다 약간 적은 것은, 2010년은 경제 위기를 넘기 위한 지원금이 다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함
○ 세계은행은 연 0.75% 변제기간 40년, 유예기간 10년이라고 하는 융자를 실시해 왔 지만, 앞으로는 베트남이 중소득국에 진입함에 따라 융자 조건의 우대도가 낮아져 변제 기간이 짧고, 금리는 비싸지고 있다고 말했으며, Phuc 장관은 2011년부터 ODA 융자의 사용은 경제발전과 자금의 회수가 빠른 프로젝트에 우선적으로 사용 할 것이라고 말함
- 출처 : Thanh Nien 12.13 -
두산중공업, 13억달러 규모 베트남 화력발전소 공사 수주
○ 두산중공업(사장 박지원)이 베트남에서 약 13억 달러 규모의 대규모 화력발전소 공 사를 수주했으며, 이번 수주는 중국, 일본과 치열한 경쟁에서 이긴 것이어서 향후 2015년까지 177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베트남 발전시장 진출에 유리한 교 두보를 확보한 것으로 평가됨
○ 두산중공업은 10일, 서울 리츠칼튼 호텔에서 베트남 AES-VCM 이안 폭스(Ian Fox)
-2-
2010. 12. 15 (수) No. 225
사장, 두산중공업 서동수 부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1200MW급(600MWx2) 몽중 (Mong Duong) 2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계약을 체결하였음
AES-VCM는 세계적 에너지 기업인 미국 AES사가 이번 발전소 건설을 위해 베트남 현지에 세운 회사이며, 몽중 2 화력발전소는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서 북동쪽 160km 지점에 위치한 꽝닌(Quang Ninh)에 건설되며, 두산중공업은 이번 공사를 설 계에서부터 기자재 제작, 설치, 시운전에 이르는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하는 EPC (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방식으로 오는 2015년 까지 완공할 예 정임
베트남에서 대량 생산되는 저품질 무연탄(Local Anthracite Coal)을 활용할 수 있 게, 보일러 연소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영국 자회사 두 산밥콕의 연소 기술을 적용하게 됨
이번 수주는 2015년까지 약 177억 달러(23GW) 규모로 예상되는 베트남 발전시장 을 선점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어 일본, 중국 등 세계 유수의 기업들과의 수주 경쟁 끝에 이룬 것이어서 의미가 큼
두산중공업 서동수 부사장(발전BG장)은 “이번 수주로 베트남을 비롯해 인도, 태국,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발전시장에서 두산중공업의 위상이 한층 높아지게 됐다” 면 서, “2008년 베트남 쭝꾸엇 지역에 설립한 발전설비 생산 거점인 두산비나(VINA)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아시아 발전시장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함
- 출처 : www2.enewstoday.co.kr. kr 12.11 -
베트남 금감위원장, 하나은행/기업은행 방문
지난 6일 방한(􏰀􏰁)한 베트남 금융감독위원회(NFSC) 고위 관계자들이 하나은행과 기업은행을 방문,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음
9일 금융계에 따르면 레득투이(Le Duc Thuy) NFSC 위원장을 비롯해 총 12명으로 이뤄진 베트남 금융당국 관계자들은 6일 3박4일 일정으로 우리나라에 왔는데, 7일 과 8일 각각 하나은행과 기업은행을 방문하였음
NFSC는 지난 7일 하나은행에서 평소 관심을 둔 금융지주회사 설립과 관련된 법, 운영방안 등을 들었으며, 하나은행은 2005년 하나금융지주로 탈바꿈한 사례를 자세 히 소개하는 등 한 시간가량 관련 내용을 프레젠테이션 함
NFSC가 금융지주사에 관심 갖는 이유는 베트남 은행들도 앞으로 국내 은행들처럼 금융지주사로 전환할 가능성이 많아서란 분석이며, 현재 베트남엔 국영은행 6개와
-3-
2010. 12. 15 (수) No. 225
민간은행 38개, 외국합작은행 5개, 외국계은행 38 등 경제 규모에 비해 은행들이 많은 편임
앞으로 이들 은행이 베트남 경제상황에 따라 인수합병을 비롯한 다양한 방식으로 덩치를 키울 수도 있고, 구조조정을 당할 수 있기 때문에 경험이 있는 우리나라 사 례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는 것임
NFSC는 특히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에 상당한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하나금융 관계자는 "금융지주사법을 비롯해 지주회사 관련된 질문이 많이 나왔는데 이번 외환은행 인수에 대한 질문도 많았다"며 "1지주사내에 듀얼뱅크 체제를 둔다는 것에 특별한 관심을 보였다"고 말함
지난 8일 기업은행에선 NFSC가 기업은행의 중소기업 지원 현황과 노하우를 듣고 갔으며, 국내 중소기업 지원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은행의 사례를 통해 베트남 중소기업들에 대한 은행권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고, 또 국책 은행이 특수 시중은행으로서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것에 깊은 관심을 보였음
NFSC는 방문 마지막 날인 이날 서울 여의도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을 찾았으며, 우리 금융당국의 시스템을 벤치마킹하기 위해서란 분석이고, NFSC는 현재 검사권 이 없으며, 은행 검사권은 중앙은행에, 증권은 증권위원회, 보험 역시 다른 기관이 검사권을 갖고 있는 형태로 과거 우리 금융당국이 은행감독위, 증권감독위, 보험감 독위 등으로 나눠져 있던 때와 유사함. NFSC도 앞으로 우리 금융감독원 체제로 변 할 것으로 관측되는 대목임
○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베트남 금융당국의 이번 방한은 그쪽에서 우리 금융위쪽에 방 문을 요청해 이뤄진 것으로, 우리 금융당국 시스템에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 으로 안다"며 "우리나라가 동남아에서 금융위기 극복 모범사례로 알려진 터라 관련 내용을 많이 이야기 했다"고 말함
○ 한편 NFSC는 지난 4일간 우리 정부기관과 금융회사 등 총 10곳을 돌아보고 이날 오후 베트남으로 돌아감
- 출처 : www.mt.co.kr 12.9 -
화학연구소, 베트남 바이오디젤 시험설비 준공 ○ 국내 바이오디젤 고체촉매 기술로 베트남에서 바이오디젤 파일럿 플랜트가 준공됨 ○ 9일 한국화학연구원에 따르면, 김형록 박사 연구팀은 베트남 산업화학연구소와  ́바
-4-
2010. 12. 15 (수) No. 225
이오디젤 파일럿 플랜트 운전사업 ́을 수행해 현지의 바이오오일을 원료로 하는 공 장을 건설했으며, 이는 저품위 바이오오일을 원료로 바이오디젤을 제조할 수 있는 국내 고체촉매 기술을 적용, 연간 200t 규모의 바이오디젤 파일럿 플랜트 시험 가 동에 성공한 것. 준공식은 오는 10일 베트남 하노이소재 산업화학연구소에서 진행 되었음
이번 베트남 바이오디젤 파일럿 플랜트 준공은 에너지분야 국제협력사업의 성공 모 델로 평가받고 있으며, 향후 3만t 규모의 상업적 바이오디젤 플랜트를 베트남에 설 치하기 위한 수익 창출형 국제협력 사업기반 구축이 목표임
이를 기반으로 식물기반 신소재기술, 그린폴리머 기술개발, 바이오리파이너리기술 협력사업 등 식물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화학기술의 상업적용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 이며, 준공식에는 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과 국내 협력사업자 일행이 참가해 향후 바이오매스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MOU를 체결할 예정임
오헌승 원장은 "개발도상국과의 협력 강화로 국제 협력체계 다변화를 모색하고, 양 국의 과학기술 발전에 시너지효과를 가져다 줄 의미있는 결과"라고 말함
한편, 화학연구원은 지난 2008년부터  ́새로운 바이오농약 개발을 위한 베트남 식물 성분 적용사업 ́을 베트남 산업화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진행중임
- 출처 : www.ebn.co.kr 12.9 -
포스코, 베트남 스테인리스 냉연공장 증설
포스코가 베트남 연짝에 연간 20만t 규모의 스테인리스 냉연공장을 증설할 계획이 라고 13일 밝힘
포스코는 베트남 동나이성 연짝 1공단에서 연간 8만5000t 규모의 냉연공장을 가동 하고 있으나 최근 현지 인프라 및 주택건설이 늘면서 스테인리스 냉연제품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증설키로 했다고 설명함
포스코는 지난해 10월 연산 3만톤 규모의 베트남 스테인리스 냉연공장을 인수, 포 스코 VST로 새로 출범시킨 바 있음
포스코 VST는 우선 1단계로 2012년 2월까지 10만톤 규모의 압연기와 20만톤 규모 의 소둔설비를 설치해 압연능력 18만5000톤을 갖추고 포항제철소에서 생산한 5만 톤의 풀하드(미소둔강판)를 합쳐 최종 23만5000톤의 냉연강판을 생산판매하게 됨
-5-
2010. 12. 15 (수) No. 225
○○ 포항제철소가 새 공장에서 사용되는 소재인 스테인리스 열연강판 10만톤과 풀하드 5만톤을 공급하게 돼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할 수 있게 됨
- 출처 : mk.co.kr 12.13 -
-6-
2010. 12. 15 (수) No. 225
주주요뉴스
주간 경제 뉴스
○ ○
베트남, 예금 금리 15%로 인상
베트남은 지난 12.11일 시중은행의 예금 금리 상한선을 연 12%에서 15%로 인상함
베트남 중앙은행 호치민 지점은 베트남 은행협회, 시중 상업은행과의 지난 10일 회 의에서 결정하였으며, 하노이 지점과 북부 상업은행 12개 은행이 금리 인상 부분에 서명하여 이루어짐
금리 인상안에 따르면 시중은행은 예금 금리를 최고로 연 14%까지 인상 할 수 있 지만 연 15%를 넘어서는 안 됨. 이 인상안을 위반한 은행은 관리기관에 의해 징계 조치가 이루어짐
중앙은행의 결정에 의해 금리가 인상되고 안정화 되었지만, 현재도 시중은행의 예금 금리는 최고로 연 15.5~16.5%임
- 출처 : Sai Gon Giai Phong 12.14 -
IMF, 베트남 공적부채 GDP 40%로 절감 가능
베트남의 공적부채가 향후 10년 내로 국내총생산(GDP)의 40%선으로 줄어들 것으 로 전망됨
일간신문 뚜오이쩨는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인용해 베트남의 GDP 대비 공적부 채율이 오는 2020년까지 40%까지 하향조정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12일 보 도함
베트남의 현재 공적부채율와 관련해 영국의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는 51.7%로, 세계은행(WB)은 47.5%로, 베트남 재무부는 44.7%로 각각 다르게 분류하고 있음
베트남 정부는 지난달 국회에 제출한 정부 보고서를 통해 공적부채 규모가 연말까 지 56.7%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이 가운데 정부 채무가 GDP의 44.5%, 정부가 보증한 채무가 12.2%로 각각 추산됨
또 외채는 GDP의 42.2%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보고서는 또 올해 세수는 520조동(127억달러)으로 연초 예측치보다 12.7%, 전년대비로는 17.6%가 각각 늘 어난 것으로 집계됨
-7-
2010. 12. 15 (수) No. 225
○○ 한편 베네딕트 빙햄 IMF 베트남사무소장은 향후 5년 동안 베트남은 GDP 기준으로 연간 7∼8%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오는 2015년에는 개인소 득 수준도 연간 2천달러 선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 빙햄 소장은 이런 높은 성장률에 발맞춰 인플레가 큰 문제로 대두됐다면서 지난 4 년 동안 베트남의 인플레는 인도네시아, 말레시아, 필리핀, 태국 등 아세안 4개국보 다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함
- 출처 : www.yonhapnews.co.kr 12.12 -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 매출실적 향상 전망
○ 중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의 경영 실적이 나아지고 있는 것 으로 조사됨
○ 지식경제부는 9일 "중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주요 3개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 91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 기업이 매출실적 향상을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힘
○ 올해 매출이 30% 이상 증가한 기업은 중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 진출기업별로 각 각 40.6%, 30.5%, 30.4%로 집계됨
○ 앞으로 5년간 10% 이상 매출신장을 기대하는 기업은 각각 전체의 72.4%, 59.5%, 68.0%(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순. 이하 동일)로 조사됨
○ 또 현지 일괄생산체제를 갖춘 비율도 83.8%, 84.2%, 88.8% 등으로 높았고, 내수시 장 개척을 추진중이라는 답변도 전체의 72.4%, 59.5%, 68.0%에 달함
○ 반면 현지 경영환경이 악화되고 있다는 답변은 지난해 36.7%, 24.3%, 22.7%에서 올해는 50.7%, 33.3%, 34.3% 등으로 전반적으로 높아짐
○ 향후 투자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대부분의 기업이 확대나 현상유지라고 답했으며, 중 국의 경우 축소하겠다는 답변이 지난해 7.3%에서 올해 8.1%로 다소 늘었음
- 출처 : www.cbs.co.kr 12.9 -
호치민시, 내년 1월부터 전자 세관 도입 -8-
2010. 12. 15 (수) No. 225
○ ○
호치민시 무역투자 촉진센터와 시세관국은 지난 12.8일, 기업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화를 실시함
시세관국에 의하면 2011년 1월 1일부터 시세관국에 속하는 12개의 지국은 모두 새 로운 소프트웨어 전자 세관을 도입(Sai Gon항 제1지역 국경-Cat Lai 항 세관지국 과 Tan Cang 국경세관지국에서는 2010년 12월 15일부터)하기로 함
가공, 수출품 생산, 판매의 3개 형식에서 수출입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기업은 모두 이 일시부터 인터넷을 통한 세관 신고를 실시하지 않으면 안됨
이것에 의해 기업은 수속 등 시간적, 비용적으로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나, 많은 기업이 원격 신고에서 회선의 절단이나 접속이 늦을 경우 계약 납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음
시세관국 감시 관리실의 Nguyen Quoc Toan 실장에 의하면, 시에서는 전자 세관 수속에 관한 통지 222호의 실행을 시작하고 있어 향후 전자 세관을 실시에 즈음하 여 세관에 대한 모든 신고는 기업이 자주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세관이 리스크 관리 시스템으로 저리스크라고 평가한 화물에 대해서는 기업이 신고서를 자주적으로 인 쇄하고 국경세관으로 물건을 받는다고 설명함
전자 세관에 대한 기업의 염려에 대해 시세관국의 Nguyen Trong Hung 부국장은, 전자 서류의 처리로 화물이 창고등에서 정체하는 상황을 억제할 것이라고 말함
- 출처 : Tien Phong 12.13 -
2011년 호치민시 공시지가 최고액 8100만동 호치민시 인민위원회는 시 인민평의회에 제출하는 2011년 공시지가(안)을 정리함
이 공시지가(안)에 따르면, 최고 금액은 Dong Khoi 대로, Le Loi 대로, Nguyen Hue 대로로 1 m2 당 8,100만 동(약 4,300 달러)이며, 최저는 Can Gio현의 각 대 로로 120만 동(약 63 달러)임
시 인민위원회에 의하면 2010년도 부동산 시장에 큰 변동이 없었기 때문에 2011년 의 호치민시의 공시지가는 기본적으로 2010년의 것을 유지하게 될 것이라고 전함
- 출처 : Nguoi Lao Dong 12.13 -
-9-
2010. 12. 15 (수) No. 225
주주요뉴스
투자법규 동향
세금계산서 발행에 대한 안내 (7) (2010.9.28, no. 51/2010/ND-CP 시행 안내)
제 II 장: 세금 계산서 설계 및 발행
12조. 세무서가 인쇄 주문하는 세금계산서 발급
1. 세무서는 거래업무를 발생하여 고객에게 세금계산서를 줄 소요가 있고 사업자 아닌 조직, 가정단위, 개인에게 인쇄 주문하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는다.
2. 세무서가 발급하는 세금계산서의 번호는 조직, 가정단위, 개인의 요구와 상당된다. 그 세금계산서는 invoice 아니다. 거래업무를 발생하여 고객에게 세금계산서를 줄 소요가 있고 사업자 아닌 조직, 가정단위, 개인은 sales invoice를 세무서로부터 발 급받게 된다.만약 사업자는 경영활동을 중단하여 판산사항에 떨어지고 세금계산서 회수, tax code가 폐쇄하였는데 고정자산 청산과정에는 구매자에게 세금계산서를 주고 싶으면 세무서는 sales invoice를 발급할 것이다. 공제방법에 따라 부가세 납 부하는 대상에 소속되지 않는 국영 기업이 자산을 경매등록하는 경우, 부가세 포함 한 입찰값은 관리기관이 서명한 경매서류에서 명확히 첨부되면 구매자에게 세금계 산서를 발행하여야 한다.
3. 세무서는 sales invoice를 다음 사항으로 발급할 것이다. - 조직: 조직이 tax code를 등록하거나 활동하고 있는 지역을 관리하는 세무서 - 경영하지 않는 가정단위, 개인: tax code를 발급함, 주민등록이나 가정관계표에 기록
된 상거주 등록하는 지역을 관리하는 세무서 조직, 가정단위, 개인이 경영하지 않고 부동산 임대하면 그 부동산을 관리하는 세무서는 sales invoice를 발급할 것임. Sales invoice를 사용하고 싶은 조직, 가정단위, 개인은 발급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 다 ( 샘풀양식: 부록 3의 3.4 기호). 발급 신청서와 첨부 거래 증빙에 의거 세무서는 세법의 규정에 따라 세무금액을 구매자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Value added invoice 를 발급받은 경우, 낼 부가세 금액은 그 세금계산서에 기재된 금액바이다. 발급 신청 자는 세무서에서 사본의 3개수에 내용을 충분히 작성하여야 한다. 구매자의 세금납 부 증명서가 있으면 세무서의 임감을 사본의 1, 2개수에 찍어 구매자에 발급하고 사
본의 3개수를 세무서에서 보관된다.
- 10 -
2010. 12. 15 (수) No. 225
주주요뉴스
입찰/수주정보
Can tho시, 폐수시스템 건설 입찰
○ 입찰 공고명: 껀터시 폐수 및 배수시스템 건설 입찰
○ 소속프로젝트: Thot Not 산업단지 폐수배수시스템 (단계1 및 단계 2의 용량: 2,500 m3/d) 건설 프로젝트
○ 프로젝트 자금원: 대출자금원 ○ 소속지역: 깐터(Can Tho)시 ○ 발주처: Thot Not 산업단지 인프라건설센터 ○ 마감일시: 2010년 1월 6일 ○ 연락처: 전화. 0710-385-1903
- 출처 : www.dau-thau.com -
- 11 -
2010. 12. 15 (수) No. 225
주주요뉴스
역사/문화/사회
베트남 경제, 사회 연구 (사건/이슈)
컴컴퓨터, 전자제품 및 부품 중국으로부터 수입이 최다
연초 10개월의 베트남의 컴퓨터, 전자 제품 및 부품의 수입 액수는 40억 6,000만 달러 로, 전년 동기 대비 31.62% 증가 되었으며, 이 중 10월 단월의 수입 액수가 5억 2,281만 달러로 전월 대비로 6.73% 증가함
수입 상대로서 가장 많은 것은 중국으로 10개월간의 수입 액수는 13억 1,000만 달러, 전체의 32.29%를 차지하였으며, 전년 동기 대비에서는 15.87%의 증가되었으며, 2위는 일본 8억 4,800만 달러, 전체의 20.9%를 차지해 증가율은 27.47%, 3위는 한국에서 6 억 5,979만 달러, 전체의 16.26%를 차지해 증가율은 189.23%로 큰 폭으로 성장함
그 외 연초부터 10개월 동안에 1억 달러를 넘는 수입 대상국은 말레이시아:2억 8,166만 달러, 대만:2억 4,496만 달러, 싱가포르:1억 9,012만 달러, 미국:1억 5,239만 달러임
- Thoi Bao Kinh Te Viet Nam -
-- 12 -
2010. 12. 15 (수) No. 225
안안내사항
KBC소식
지식경제부 메콩강유역 투자사절단 참가업체 모집
지식경제부에서는 메콩강 유역의 유망 투자지역인 베트남, 미얀마에 12.20(월) - 25 (토) 기간중 민관합동 투자사절단을 파견할 예정입니다.
지식경제부 제 2차관(박영준)을 단장으로 한 이번 사절단은 베트남 및 미얀마 투자진출 에 관심이 있는 국내기업들에게 좋은기회가 제공 될 예정입니다.
1. 파견기간: '10.12.20(월) ~ 25(토) 2. 파견지역: 베트남(하노이), 미얀마(양곤) 3. 파견규모: 20여개사 4. 참가대상: 베트남, 미얀마 투자진출 관심 기업 5. 참가분야: 에너지 자원개발, 발전/건설 플랜트, 중공업, SOC, 기타 제조업,
서비스업 6. 접수: mailto:910292@kotra.or.kr
7. 문의: KOTRA 해외투자지원단 이동주 사원 (02-3460-7359)
- 13 -
2010. 12. 15 (수) No. 225
안안내사항
코참/한인회소식
한인회 송년의 밤 행사 안내
다다사다난했던 경인년 한해도 어느덧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한인회에서는 경인 년 한 해를 교민 여러분과 함께 돌아보고, 새로운 한 해를 같이하려 합니다.
지난달23일북한연평도무력도발규탄 교민1만서명과함께준비한송년의밤행 사는, 부족하고 열악한 상황속에서도 지금의 한인회까지 올 수 있게 관심과 지지를 보 내주신 교민 여러분을 위한 자리입니다
푸짐한 상품과 풍성한 음식(뷔페)으로 교민 여러분의 장이 될 것입니다. 기대하셔도 좋을만큼 열과 성을 다해, 준비했습니다.
교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당부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일시 : 12.18(토) 오후 5시 -장소 : 주 호치민 대한민국 총영사관
- 14 -
2010. 12. 15 (수) No. 225
안안내사항
대사관/총영사관소식
국외여행(기간연장)허가 신청 안내
병무청에서는 국외여행허가 절차 간소화에 대한 국민적 요구에 부응하고자 2007.1.1부 터 24세 이하자에 대한 국외여행허가제를 폐지하였습니다. 국외출국 중인 24세 이하인 병역의무자의 경우 국외여행 허가 없이 국외에 체재할 수 있도록 24세가 되는 해의 12 월 31일 까지 병역의무를 연기하여 드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25세가 되는 해인 2011년 1월 1일 이후까지 계속 국외에 체재하는 경우 2010 년에 미리 그 목적에 맞는 국외여행(기간연장)허가를 받아야하며, 만일 국외여행허가를 받지 않고 국외체재시 병역법 제94조에 의거 국외불법체재자로 고발 처리되므로 다음 과 같이 국외여행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 국외여행 허가신청 대상 : 1986년생 ⇒ 국외여행(기간연장)허가 신청 기한 : 2011.1.15.까지 ⇒ 허가대상, 기간 및 구비서류 : 거주지 관할 재외공관 홈페이지 참조
(허가사유 : 유학, 영주권 취득 등) ⇒ 신청방법 : 병무청 홈페이지(www.mma.go.kr) 또는 재외공관장에게 제출
☞ 국외이주자(영주권 취득자 포함), 부 또는 모와 함께 국외 거주하는 사람은 반드 시 재외공관장에게 제출
※ 국외여행허가를 받지 않고 2011.1.15. 이후 국외 체재시 국외불법체재로 고발처리 - 3년이하의 징역 - 37세까지 병역의무부과 및 국외여행 허가제한 - 40세까지의 취업, 관허업의 허가제한 등
- 주베트남대사관, 주호치민총영사관 -
-- 15 -
2010. 12. 15 (수) No. 225
안안내사항
투자기업소식
국제환경규제대응 기업현장지도 실시(안)
I. 배경 및 목적
□ 베트남은 WTO 가입(’07)과 UN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08~’09), ASEAN 의장국 (’10) 등 글로벌 제도권으로의 편입이 가시화되면서 풍부한 노동력과 뛰어난 지정학 적 위치, 빠른 경제성장 등과 함께 아세안의 “NEXT TIGER”로 급부상
□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우리 기업은 수출, 투자 및 기술이전 등을 통한 베트남 진 출을 가속화하고 있으나, 대다수의 진출기업이 중소기업들로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 EU, 한국의 제품관련 환경규제법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시 급한 실정
□ 이에,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국제환경규제대응 간담회 및 맞춤형 기업현장 지도를 실시하여 국제환경규제 대응역량 확보를 통한 진출기업의 지속적인 수출경쟁 력을 제고하고자 함.
II. 기업 현장지도 개요 □ 행사명 : 베트남 진출기업 환경규제 대응지원 기업현장지도 □일 정:2010년12월21일~23일(3일)
□장 소:베트남호치민지역기업현장 □ 주 최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베트남사무소 □ 대상기업 :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
III. 기업 현장지도 세부 일정계획
□ 일 정 : 2010년 12월 21일 ~ 23일 (3일) ᄋ 2010년 12월 21일 (화) : 1개 기업 ᄋ 2010년 12월 22일 (수) : 2개 기업
- 16 -
2010. 12. 15 (수) No. 225
ᄋᄋ 2010년 12월 23일 (목) : 1개 기업
□ 장 소 : 베트남 진출기업 현장   
□ 대상기업 : 베트남 진출 4개 한국기업 * 사전 수요조사로 상담지도 전에 상담기업 선정 예정
□ 내 용 :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이 제품 수출 또는 생산활동 시 겪는 국제환경규제 관련 애로사항의 해결에 필요한 간담회 및 기업맞춤형 현장 상담지도
* 사전 수요조사 실시 및 분석으로 현장상담에서 해결가능한 방안 제시
□ 지도 전문가 : 강경준 팀장 (한국화학시험연구원) - 경력 : 17년(한국화학시험연구원 입사) - 출생연도 : 1968 - 연락처 : 02-2164-0041, 010-4019-7870
- 주요 경력
VI. 연락처
□ 생기원 베트남사무소 한만철 소장 - Korea-Vietnam Industrial Cooperation Center - 주 소 : 8th floor, GREEN POWER
35 Ton Duc Thang st, district 1, HCMC, Vietnam - Tel. : +84-8-2220-5314~6
- Fax. : +84-8-2220-5317 - Mobile : +84-90-410-7003 - Email : hmc@kitech.re.kr
- 17 -
2010. 12. 15 (수) No. 225
주주요뉴스 FOCUS
베트남 11차 전당대회를 통한 향후 경제정책 전망 - 내년 1월초 전당대회 개최 앞두고 국가 경제사회 정책 수립 완료 -
- 2015년까지 연평균 7-8%의 고성장, 일인당 GDP 2,100달러 달성 목표 -
□ 베트남 11차 공산당 전당대회 의의
ᄋ 베트남 공산당은 2011년 제 11차 전당대회를 앞두고 국가 전반적인 사회-경제 발 전을 위한 정책 프로그램을 비준하는 최대의 정치행사로 이번 전당대회를 개최로 지난 5년간 국가 경제사회 정책의 평가, 향후 5년간 경제사회 정책 목표제시, 공산 당의 발전방향에 대한 비전을 새롭게 수립하는 매우 중요한 행사임.
□ 10차 전당대회의 목표에 대한 운영결과
ᄋ 금번 거시적인 관점에서 지난 5년간 베트남 경제는 안정적으로 성장함. 경제성장 률은 평균 6.9%였으며, 자본 확충 능력이 약 18.2% 상승(GDP의 12.5%에 이르는 수치)했고, 2010년 GDP는 US$1,060억 달러로 2005년에 비해 두 배 높은 수치를 기록함(2010년 1인당 GDP는 US$1,200로 전망됨). 5년 전과 비교해 베트남에 설 립된 기업의 수는 두 배로 늘었으며, 자본금 또한 6배 늘었음. 현재 FDI에 등록된 자금은 1,470억 달러이며, 이는 5년 전에 비해서 3배나 높은 수치(5년 전에는 450 억 달러 임) ODA 지원 자금은 230억 달러를 수혜받았으며 이 중 116억 달러가 실지원됨.
ᄋ 또한 교육, 과학, 기술 분야 등에서 국민의 질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도시 실업률이 5% 감소하였으며 극빈층 가정의 수도 9.5%로 하락함. 하지만 여러 가지 제약도 있어 교육시스템의 제약으로 양질의 인재육성 부족으로 노동생산성이 낮은 상황과 기초과학 및 기술에 대한 투자가 낮은 편으로 정부에서도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음. 최근 문제가 되는 도심과 농촌간의 빈부격차가 커지는 문제와 환경 분야에 대한 비판도 있는 상황임.
자세한 내용은 보내드린 안내 메일의 제목을 클릭하시거나, www.Globalwindow.org의 해외투자정보(베트남)에서 확인이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8 -
2010. 12. 15 (수) No. 225
주주요뉴스 FOCUS
베베트남, 외국인 투자 현황 종합 - 외국기업의 투자는 호찌민, 하노이 두 도시에 집중 -
- 한국, 일본, 대만 투자기업 비중은 외국인투자 중 절반 이상을 차지 - - 신기술 및 친환경적 산업분야에 다양한 우대를 실시해야 함 -
□ 베트남 외국인 투자
○ 베트남 외국기업의 투자는 호찌민, 하노이 두 도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업체 수는 호찌민시가 가장 많으며, 납세비중은 하노이가 42.8%(호치민 34.15%)로 가장 많 고, 실제 베트남 국내외 투자는 호찌민, 하노이와 같은 큰 도시에만 집중되고, 호 찌민, 하노이에 이어 동나이와 빈증 지역에도 많은 외국인 투자업체가 집중됨
2010년 한국기업 베트남 투자 현황 (9월말 기준)
No.
1
2
3
4
5
Form Project number
100%
단독투자 168
합작투자 26
BCC 1
BOT,BT,BTO 1
Joint stock company 1
Total 197
Total registered investment capital
(US$)
1,429,889,105
307,852,716
87,362,711
410,000
52,600
1,825,567,132
Legal capital (US$)
535,852,858
83,454,716
87,362,711
410,000
52,600
707,132,885
자료 : MPI
자세한 내용은 보내드린 안내 메일의 제목을 클릭하시거나, www.Globalwindow.org의 해외투자정보(베트남)에서 확인이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