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eric Management] developing middle-class consumption, 6.9 trillion → 20 조 달러
Article Date 10/09/2010 15:31:32
China and other middle-class consumption of 12 major developing countries, the current 6900000000000-10 U.S. dollars will increase to 20 trillion U.S. dollars in the survey suggests.
Global consulting firm McKinsey recently Chile, Egypt, India, China and 12 countries' population size and consumption, thus the analysis showed, he said. $ 20,000,000,000,000 2 times the current U.S. market gyumoda staggering. Depending on how the market targeting the middle class in developing countries within 10 years jachit global rankings have the potential to change the story.
McKenzie dominated the early market for companies in developing countries will be the eventual winner will likely argue. Past, the middle class in developed markets such as America and Europe grow significantly when the market was that the same pattern geungeoda not. In fact, European and U.S. markets in 1925 in 17 major products company pioneered the market throughout the 20th century it was maintained over 1 or 2, McKinsey said.
However, the global middle market companies in developing countries is not easy to succeed. Firms in developing countries emerged as a formidable competitor because. Beverage companies representing Hangzhou in China, Wahaha `a` back against the Coca-Cola and Pepsi seems surprising that competitive, says McKinsey.
Developing markets and the global company's existing markets in Europe and the U.S. market it anywhere from the situ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 significant market characteristics vary widely called every point is a global company is a big obstacle. However, in order to survive in world markets transformed themselves no choice but to adapt to new markets.
[Soo News]
중국 등 12개 주요 개발도상국의 중산층 소비가 현재 6조9000억달러에서 10년 내 20조달러로 증가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는 최근 인도 중국 칠레 이집트 등 12개 주요국의 인구 구성과 소비 규모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20조달러는 현재 미국 시장의 2배에 이르는 엄청난 규모다. 개도국 중산층 시장을 어떻게 공략하느냐에 따라 자칫 10년 내 글로벌 기업 순위를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는 얘기다. 맥킨지는 개도국 시장을 일찍 장악한 기업이 최후의 승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과거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시장에서 중산층 시장이 크게 성장할 때 그 같은 패턴을 보였다는 게 근거다. 실제로 유럽과 미국의 17개 주요 제품 시장에서 1925년에 시장을 선도한 기업이 20세기 내내 1위 또는 2위를 유지했다는 게 맥킨지 설명이다. 그러나 글로벌 기업이 개도국 중산층 시장에서 성공하기란 쉽지 않다. 개도국 기업들이 만만치 않은 경쟁자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대표 음료업체는 `항저우 와하하`는 코카콜라와 펩시 등에 맞서서 놀라운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고 맥킨지는 말한다. 또 개도국 시장은 글로벌 기업의 기존 시장인 유럽ㆍ미국 시장과는 상황이 크게 다른 데다 개도국마다 시장 특성이 천차만별이라는 점이 글로벌 기업에는 큰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하지만 세계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변화시켜 새로운 시장에 적응할 수밖에 없다. [김인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