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November 16, 2010

Cosmetics 韩流( culture of korea ) ... 弗(france) neomeuldeut 400 million this year, exports

Cosmetics 韩流 ... 弗 neomeuldeut 400 million this year, exports "Western products suitable for your skin than" 中 Arthur and Southeast craze Export market in 2005 → 97 countries this year, 119 countries The deficit in the first half doere income grew 26% ↑ Article type 2010.09.06 17:05:01 | Last Modified 09/06/2010 20:41:14
Cosmetics exports abroad quickly neulmyeonseo `` domestic cosmetics craze is spreading wave that has proved.
Customs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cosmetics exports to $ 236,170,000 a year earlier ($ 170,330,000) increased 38.7 percent compared to. Cosmetics exports last six year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new. The first time this year as a whole, export volume is expected to exceed $ 400,000,000.
Export destination countries in 2005 in 97 countries this year, 119 countries, contrary to the increased too.
By country such as Japan, China, Taiwan exports in the first half of this year, Asia accounted for 83 percent.
Nanjing Lu in Shanghai, China, top floor of Sogo department store cosmetics counter to go to a ohhwi `` `` `Laneige Korea, including the brand` and `Shiseido Lancome` `` `` such world famous brands such as Estee Lauder brand is being treated. `` Amore Pacific Laneige Water Sleeping Pack this year `` New naenoteun only 5 million last month, not because the dog sold, including eight that are popular enough. SOGO Department Store is located on the 1st floor, LG Household & Health ohhwi `` Science in the Age of `recovery 'for sale a set of best-selling products that are often sold out.
The manager of the Shanghai Cooperation Amorepacific Lee JH "Hallyu drama craze in China, Korea, whistling a dramatic increase of women seeking cosmetic," and "luxury cosmetics in recent years than in the West Korea scented products for your skin type friendlier than facing frequent repurchase mainly in the spiral Customers tend to be formed, "he said.
Cain, Republic of the official medium by Nature,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Korea and on cosmetics consumer acceptance is very high side," said "If you win in cosmetic products at Hallyu global luxury brands will come out from cosmetics," he said.
Particularly in the U.S. and global brand and a competitive market is also doing well. More than 500 billion won into a single brand in the herbal cosmetic `turnover` Jacques Ferrier last foray into the U.S. high-end department store Bergdorf Goodman, was a success.
Export diversification in Latin America and the Middle East, with exports for the first half of this year, 170 percent, respectively, increased by 30%.
Customs regional effect of different pricing strategies, and explained. For example, Europe, Middle East and Asia as export unit price is $ 25 per ㎏ Latin America ($ 9) and has shown a big difference.
By items that reflect the latest trend in addition to the basic cosmetics such as make-up BB Cream, etc. nunhwajangjepum export was prominent.
Meanwhile, growth in exports and imports with the cosmetics ($ 377,580,000) is also the first half of this year rose 26 percent compared to same period last year. Accordingly, the cosmetic trade deficit during the same period last year to $ 140,000,000 ($ 112,310,000), bigger than.Average unit price
[Gimjimi reporter / Jeong Uk News]
[Ⓒ Daily News & mk.co.kr 






화장품 韓流…올해 수출 4억弗 넘을듯
"서구제품보다 피부에 적합" 中ㆍ동남아서 열풍
수출 대상국 2005년 97개국 → 올해 119개국
수입액도 상반기 26%↑ 적자폭 되레 커져
기사입력 2010.09.06 17:05:01 | 최종수정 2010.09.06 20:41:14  
화장품 수출이 빠르게 늘면서 국외에서 `국산 화장품 한류` 열풍이 확산되고 있음을 입증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화장품 수출은 2억3617만달러로 전년 동기(1억7033만달러)에 비해 38.7% 늘어났다. 화장품 수출은 최근 6년 새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올해 전체로는 사상 처음 수출 규모 4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수출 대상 국가도 2005년 97개국에서 올해 상반기엔 119개국으로 늘었다.

국가별로는 중국 대만 일본 등 아시아 지역이 올해 상반기 수출 비중에서 83%를 차지했다.

중국 상하이 난징루에 위치한 최고급 소고백화점에 가면 1층 화장품 코너에 `라네즈` `오휘` `후` 등 한국 브랜드가 `랑콤` `시세이도` `에스티 로더` 등 세계 유명 브랜드처럼 명품 대접을 받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라네즈`가 올해 새로 내놓은 `워터 슬리핑 팩`은 지난달에만 5만여 개가 팔려나가는 등 없어서 못 팔 정도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소고백화점 1층에 위치한 LG생활건강 `오휘`에서 판매 중인 `에이지 사이언스 리커버리` 세트도 품절이 자주 되는 베스트셀러 제품이다.

아모레퍼시픽 상하이 법인의 이종현 부장은 "중국에서 드라마 한류 열풍이 불면서 한국산 화장품을 찾는 여성들이 크게 늘었다"면서 "최근에는 서구의 명품 화장품보다 한국 제품이 피부 타입에 맞고 향도 더 친근해 재구매에 나선 단골 위주로 고객이 형성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중저가인 네이처리퍼블릭의 관계자는 "동남아시아 국가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수용도가 매우 높은 편"이라며 "화장품 한류를 제품력으로 승부한다면 화장품에서 글로벌 명품 브랜드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미국 등 글로벌 브랜드와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도 선전하고 있다. 단일 브랜드로 5000억원이 넘는 매출을 올리고 있는 한방화장품 `설화수`는 최근 미국 최고급 백화점인 버그도프 굿맨 입성에 성공했다.

수출국 다변화와 함께 중남미와 중동에 대한 수출도 올해 상반기 각각 170%, 30% 이상 늘었다.

관세청은 지역별 상이한 가격 전략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유럽ㆍ중동ㆍ아시아 수출 단가는 ㎏당 25달러로 중남미(9달러)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품목별로도 기초화장품 외에 최신 트렌드가 반영된 BB크림 등 메이크업용, 눈화장제품 등에서 수출 증가폭이 컸다.

한편 수출 증가와 함께 화장품 수입액(3억7758만달러) 역시 올해 상반기 전년 동기에 비해 26% 증가했다. 이에 따라 화장품 무역 적자폭은 1억4000만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1억1231만달러)보다 커졌다. 평균 단가

[김지미 기자 / 정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