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January 4, 2011

"O contido é unha revolución intelixente mudeomsok terminus"

"O contido é unha revolución intelixente mudeomsok terminus"
ZDNet Corea] En algún lugar do mundo das TIC do mercado, a plataforma chamada envolto nun turbillón da guerra. Os smartphones e tablet plataformas, así como o mercado de televisión sobre a gran batalla entre as empresas está en pleno curso, mentres agarrando.
 
Microsoft (MS) escoitar todos os sistemas operativos PASSIVO (OS) do mercado é como se fose a transición cara a época competitiva. Orientada placas son aceptados por gran plataforma do mercado no século 21, a segunda mostraba un forte poder de taquilla, ostentando 10 nyeondeuleo emerxeu como o campo de batalla é.
 
Plataforma para unha competición multilaterais no mercado ata o século 20 é o escenario non podía facilmente imaxinar. Long Desktop MS, Windows e Unix e servidores Windows foron: composición da regra de división. placas rotas non eran unha gran posibilidade.
 
O ADN é un novo local para pegar un pase no ecosistema existente parecía unha parede dura, que xa instalados na plataforma que caen fácilmente levados a estereotipos. Así como no século 21, mentres aínda válido, era visto como un paradigma.
 
Pero a plataforma parece non caer estereotipos sobre o feito de que desde o ano pasado foi desarmado. O protagonista, que liderou unha plataforma de nova xeración se sabe a composición ten unha reorganización tarxeta do trazo.
 
Cambiar o iPhone apareceu en 2007, era esperada. Apple lanzou o iPhone no mercado de aplicacións de verán, que está unirse play 'AppStore' para o seu paradigma de teléfono tradicional e foi declarada un paro. escenario competitivo do mercado de telefonía móbil con hardware-céntrica 'arma secreta' SW eo contido é inxectado balance a respiración Panse.
 
SW eo teléfono vivir para ver o contido antes era difícil imaxinar un escenario facilmente ser unha realidade era. IPhone pode ser usado en varias aplicacións foron enviados para a App Store agora os usuarios bukjeokgeorinda. Xa foi baixo máis de 30 eokhoega ocorreu.
 
O próximo ano, o número de solicitudes rexistrados, existen 500.000 previu que a violación. Aínda agora, os desenvolvedores de todo o mundo para o entretemento, educación, xogos, negocios SW App Store está facendo e de explotación.
 
iPhone de Apple App Store superficie aumenta pedidos, o ecosistema pode medrar. Estender o desenvolvemento de aplicacións iPhone necesidades dos desenvolvedores, aumentando gumaeyok consumidores "Este novo iPhone leva a construír un círculo virtuoso pode ser fantástico. Falando en termos de empresas e contido, levando a hardware e do sistema "carro tríceps 'SW semyida completa.
 
introdución frontes de contidos 'Apple Corps "dunha nova colaboración no sector das TIC significaría que a chegada dun ecosistema. Plataforma para construír haneunge kontencheugan círculo virtuoso, a industria de TI ten a oportunidade de comprobar que a tarxeta foi Pil.
 
provedores de plataforma de contido agora a posición de Alfa eo Omega. Como elementos esenciais para a supervivencia se fixo.
 
Nalgún lugar ao longo do camiño, os fabricantes de teléfono, o sistema operativo (SO), provedores, prestadores de servizos de telecomunicacións son susceptibles de mensaxe de contidos de explotación do valor estratéxico de contidos, un aumento significativo nos medios. Contido a esta plataforma, sen o apoio loxístico forte para vencer a guerra imposible jyeotdaneun a historia.
 
Yiseokchae KT dixo: "A Corea infraestrutura de TI é actualmente niveis máis altos do mundo da era da converxencia dos medios,` I (información, de información), 'e' T (Technology, Tecnoloxía) "Se a crise é atopar un gaña-gañou pode vir todo o camiño" dixo.
 
■ TI hexemonía, voa no contido do colono
 
O crecente valor estratéxico do contido é semellante. Teléfono é só o comezo. Tablet, o Smart TV, parece ser o curso se o mercado windoman PC para teléfonos intelixentes e de contido similar, sacode o paradigma comezou a xurdir.
 
Apple iPad lanzado en abril deste ano, xa publicados, xornais, revistas, contidos de vídeo, xurdiu como a nova Meca. No pasado, nunca tivo que andar a innovación de contido geupmulsaleul.

Ipad mercar ▲ matriz para as compras do usuario. Ipad ofrece o contido é unha nova experiencia para os usuarios.

Levaron ao éxito da ecuación iPhone está en execución de novo dende o tablet. Como os teléfonos intelixentes e formadores de mercado comprimido plataformas competidores para contra-ataca contrabalançar Apple estaba en camiño. A loita tamén se desenvolveu como o contido é centrado.
 
Industria das TIC competitiva no comprimido ou prerrogativa Smart TV para negar o contido que voa no colono, o que é raro.
 
Significado se non pode construír unha plataforma de ecosistema de contidos 'munuiman non só divertirse. Comece a última en outubro parecía esperar, pero loitando para chegar ao mercado a principios da TV Google é representativa.

TV Sony ▲ Google. Son deixados nunha caída inesperada. O valor do índice é unha plataforma de pobre que é simbólico, non só enfraquecen.

Mentres tanto, Google TV, loitara para protexer o contido as principais emisoras.
 
Google TV usuarios ABC, CBS, NBC e outros grandes emisoras streaming seu contido gratuitamente a través dun servizo de radiodifusión pretende utilizalo, pero agora bloquearon o acceso á situación de Google é na TV. Se non pode tratar con grandes emisora de TV de Google reduce o atractivo dos especialistas sería apuntado ao unísono.
 
TV de Google non está só.
 
Realizou unha plataforma de teléfono pobres oportunidades contido que figura é probable que sexa a tumba do ttangyiragi de aumentar.
 
plataforma móbil, non contento ecosistemas geoneuriji "remoto" ou "non consolidada no mercado de teléfono aínda é a maioría só cambia para estar alí. mundial de Nokia de MS non ten moito que dicir sobre o contido. Ambas as empresas wasinsangdam construír ecosistema de contidos, se esforzou.
 
Rede Social (SNS) tamén kontencheugan a plataforma moito e transformouse o nunha era de coexistencia. Facebook e Twitter ecosistema contido construído na vitoria, cando parou nun único servizo, MySpace agora está nunha posición para o futuro dirixiu duras para a redución.
 
Cloud Computing, SNS, que son representados por contido móbil, o novo paradigma, todos os reforzos, e alí estaba a chorar a rir da situación. Berrar o berro de guerra dos contidos en sinal negra xigante da urxencia e da razón de que era inminente.
 
Contido ■ ecosistema de desenvolvemento das TIC poderosa Corea espérase para revivir
 
TI potencia ten o orgullo de representar a Corea do Sur, pero o teléfono móbil non ten moito que dicir sobre. Vou reflexionar sobre un pouco moito.
 
Non recoñecer correctamente o cambio de paradigma, sentiu a necesidade de cambio no nocello e, a continuación, realizada en "sapos pozos" o pasado que provocou a crítica. República de Corea foi pechado "Galápagos" ecosistema móbil foi chamado.
 
Por suposto, a importancia de empresas domésticas e de contidos para a plataforma que estaba non sei nada del. Con todo, os intentos de hwangoltaltae suficiente, que non parecía sentir a urxencia.
 
SK Telecom, unha plataforma líder de servizos de empresas, Chandigarh, xefe da "Non compañía telefónica un móbil en Corea como unha plataforma de servizos para que a reflexión é exactamente iso", dixo que "a raíz do problema do mercado de telecomunicacións nacional, a plataforma de servizos para a industria e os clientes non producen tanto como quere, non ", dixo.
 
Enfermidade crónica "do territorio" non pode deixar de ir a estrutura de nota.
 
Os provedores de contido como socios, terceirizados, pero a simple idea de que se non mudarmos a mentalidade de gran ecosistema de contido coreano, sería apuntou que o crecemento é moi meahriil constante baleiro. Colaboración con empresas que precisan dos poucos proxectos contido atractivo, nin a mente ao final, porque debuxa Irán vén dunha caída.
 
Representante, que pediu o anonimato, que algunhas empresas de contido dixital está dicindo isto.
 
"En grandes empresas, ou engadir unha proposta de oferta para os elementos a seren despachados para ter lugar tras os casos de pequenas empresas é substancial. Antes de subir as propostas relativas a unha corporación, a través de subsidiarias, moito tempo despois da Saga Un dos elementos de contido, como as propostas por si só naenoteun testemuña Se xa estivo alí. próximos dos que sufriron un proceso semellante se pode ver a miúdo. atjiman todos recorrer a unha gran escala de persoal e concretamente, hai naenoteun. impaciente estratexia pulyihal pequenas empresas non poden axudar a librar ".
 
Con todo, xa que o iPhone chegou ao gran jackpot empresas tratan os seus contidos nun estilo que os cambios fosen detectados. Munuiman Win-Win asociacións con provedores de contido, pero a rede non está debidamente comprobado que non existe ningún sentimento de crise seoljari emite espesor.
 
A Samsung Electronics, SK Telecom, KT, e da aristocracia para fortalecer a plataforma para as empresas para desenvolver contidos para o ecosistema de lanzar un gran investimento ha representa-los a facelo. Como etapa final, con munición de verdade para poñer a velocidade estándar é cada vez máis rápidos.
 
T mapas deste ano, a SK Telecom, T tendas, servizos de SMS e chave fixo estrelas competitiva para unha estrutura aberta, capaz de competir nun ambiente global, a plataforma de servizos é un kiwonaganda estratéxico. plataforma de servizos para estender como ₩ 1000000000000 para os próximos tres anos decidiu investir unha cantidade enorme. Agora é a plataforma para impulsar as empresas e a última oportunidade para o éxito tamén foi evidente.
 
Jin-Woo, director de "non avanza a plataforma ofrece a módulos, que por desgraza non creo que decidiu abrir un activo clave da tecnoloxía", dixo "Esta é unha variedade de servizos a crear, entón eu estou contento en fomentar positivo", dixo.
 
A Samsung Electronics para mover o contido para atraer ssolrinda interese. Samsung teléfono e tablet para fornecer unha variedade de aplicacións nun esforzo para traballar con provedores de contido na casa e no exterior puxo unha partida completa.
 
Samsung Electronic Media Solutions, Managing Director da gwonganghyeon Center "aparar abaixo as grandes empresas de todo o mundo, en vez de hardware, o contido esencial e servizos e facelo mellor para a ecoloxía de empresas emerxentes que están a cambia o paradigma da competencia" e "hardware Corea do Sur como un competidor global, provedores de contido e crear un ecosistema para crecer ", dixo.
 
Os provedores de contidos que tratan das grandes corporacións cambiaron a súa actitude sobre o que algúns aínda sería dubidoso. Eles terán que seolmaseolma.
 
O que está claro, non obstante, Smartphone, Tablet, Smart TV está estendendo o paradigma das TIC, a converxencia destes dous xuntos (fusión) no contorno que poden aumentar o valor estratéxico do contido é que hai só. Corea ten puntos fortes en empresas de hardware non pode ignorar o seu contido, porque non debe ignorar nin aquí. Os provedores de contido e estratexia de negocio gaña-gañou agora non é o santo axuda subiu ao posto da historia. Non está en posición de avanzar tungchigo oco.
 
A atención do plan de grandes empresas para a innovación de contido levará ao contido.
 
"O iPhone de Apple no corazón da dugeungeoryeotda emerxencia" representa o bis keomtuseu, "o iPhone para o portal de negocios en Internet, e SW 10 nyeonssikhaeon sentirme campo tan novo e reto da conciencia", confesou yichanjin Dreamwiz eles seguen a saír, como representantes vontade.

Jingga ▲ xogo de rede social (SNG) `` pambil. Xeración de contidos, as empresas globais Jingga xogo aproveitando a plataforma se fixo.

correndo estrelas internacionais xa comezaron contido. Apoiado pola máis grande do mundo jinggana Facebook SNS creceu en compañía de xogos de alto nivel, o iPhone eo Android Angry Bird, un dos máis buscados tras o espazo de estrelas sobre o mar de Corea do Sur tornouse un nome familiar.
 
Angry jinggana Bird na Corea, como podes ver o nacemento da seguinte xeración de contidos estrelas? Para ser nareumil. Información ea Comunicación da Universidade, Corea hanjeonghyeon profesor da Universidade de hardware Agora dijiteolkontencheugan e software, e poden formar unha cadea de valor sa, o bandido "," A colaboración está baseada no seguimento dado a oportunidade de medrar como innovadora, diferenciada App e debe comezar a desenvolver o contido ", dixo.
 
KAIST profesor, Jin, "unha cota de mercado global de telefonía móbil en Corea, con máis de 30 por cento, eo xogo ten puntos fortes na área", e "a creatividade, porque hai moitos desenvolvedores de aplicacións móbiles novas oportunidades para facer alcalde," el incrementar a súa voz.
 
Este é o motivo. ZDNet Corea en 2011, o ano de planificación "contido" foi o contrasinal seleccionada. Isto leva a smartphones e comprimidos e contido de televisión intelixente, a innovación dixital, o heroe decidiu salientar isto.
 
"Eu sei que ten contido crítico, sen o diaños é famoso?" El que preguntar a eles. Cando a historia é, polo de agora, de súpeto queren ser xustos, pero eles están esaxerando o contido é impresionante.
 
ZDNet Corea, sen embargo, focado en TI do mundo este ano, o contido é baraboryeo.
 
Por que? Guhoman un cambio substancial neste alto, repetidas se non hai unha situación no futuro a posibilidade de expulsar o contido é un movemento desesperado para razóns claras. Era da converxencia dixital, os contidos de valor engadido é o núcleo do poder das TIC non é a realidade sobre o xeito no que as cousas foron aliviados de Corea a oportunidade de xogar de novo tamén, cren que o contido vai ser.
 
En ningún lugar preto o suficiente dos recursos naturais para falar na nosa realidade, a única arma é a única. Transbordador de alta calidade eficaz dos recursos humanos na nosa sociedade para aperta-los, tamén o contido para ir cos futuros da industria debería atender ti. Os ecosistemas sans, grandes e pequenos contidos de bitola mutua inter nacionais utilizados para valorar os retos que haberá favorable haneundedo.
 
Corea do ZDNet, a este respecto que o tema deste ano, o contido é unha precaución e aperta a. Localización da industria de contidos nacionais e as recentes cuestións e terá acceso a diferentes ángulos coa dirección. A través de entrevistas coas voces de varias partes interesadas entregaranse vivos. Eonronmaecheran límite, pero menos aínda por unha serie de planificación de todo o ano para promover un ecosistema saudable, os grans fan a contidos para ver.
 
interese dos lectores e de apoio, espérase látego.






"콘텐츠 없는 스마트 혁명 종착역은 무덤속"

지디넷코리아]언제부터인가 세계 IT시장은, 이른바 플랫폼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싸였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은 물론 TV시장까지 플랫폼을 둘러싼 거대 기업간 샅바싸움이 한창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들었다놨다하는 운영체제(OS) 시장도 이제 경쟁 시대로 전환되는 모습이다. 큰놈 위주로 판이 정리된듯 보였던 플랫폼 시장이 21세기 두번째 10년들어 막강 흥행 파워를 자랑하는 격전지로 급부상한 것이다. 

플랫폼 시장의 다자간 경쟁 구도는 20세기까지만 해도 쉽게 상상할 수 없었던 장면이다. 오랫동안 데스크톱은 MS, 윈도 서버는 윈도와 유닉스의 분할 통치 구도였다. 판이 깨질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였다.

새로운 DNA가 자리를 잡기에 기존 생태계는 넘기 힘든 성벽처럼 보였고, 이것은 한번 자리를 잡은 플랫폼은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는 고정관념으로 이어졌다. 21세기 들어서도 계속 유효할 것 같은 패러다임으로 비춰졌다. 

그러나 무너지지 않을 듯 했던 플랫폼에 대한 고정 관념은 지난해를 기점으로 사실상 무장해제됐다. 차세대 플랫폼을 주도하는 주역이 누가 될지 알 수 없는 구도로 단숨에 판이 재편됐다. 

변화의 신호탄은 2007년 등장한 아이폰이었다. 애플은 그해 여름 출시한 아이폰과 애플리케이션 마켓플레이스인 '앱스토어'를 앞세워 기존 휴대폰 패러다임과 결별을 선언했다. 하드웨어 중심의 휴대폰 시장 경쟁 판도에 '비밀병기' SW와 콘텐츠를 투입시켜 단숨에 판세를 뒤흔들었다. 

SW와 콘텐츠를 보고 휴대폰을 산다는, 그전에는 쉽게 상상하기 힘들었던 시나리오를 현실화시킨 것이다. 아이폰에서 쓸 수 있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이 올라와 있는 앱스토어는 지금 사용자들로 북적거린다. 이미 30억회가 넘은 다운로드가 이뤄졌다. 

내년에는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수가 50만개를 돌파할 것이란 전망도 있다. 지금도 전세계 개발자들은 엔터테인먼트, 교육, 게임, 업무용 SW 등을 앞다퉈 앱스토어에 올리고 있다. 

애플은 앱스토어에 올라오는 애플리케이션이 늘어날 수록 아이폰 생태계를 키울 수 있다. 아이폰을 퍼트려 개발자들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이것이 다시 소비자들의 아이폰 구매욕으로 이어지는 환상적인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비즈니스 용어로 말하자면 하드웨어와 SW 그리고 콘텐츠로 이어지는 '삼두마차' 체제를 완성한 셈이다. 

콘텐츠를 앞세운 '애플 군단'의 등장은 IT업계에서 새로운 협업 생태계가 등장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플랫폼과 콘텐츠간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게, IT업계 필승카드임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플랫폼 업체 입장에서 콘텐츠는 이제 알파요 오메가다.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언제부터인가, 스마트폰 제조사, 운영체제(OS) 업체,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가 앞다퉈 콘텐츠를 외치고 있는 상황은 콘텐츠의 전략적 가치가 크게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콘텐츠라고 하는 든든한 후방지원없이 플랫폼 전쟁에서 승리하기는 불가능해졌다는 얘기다. 

이석채 KT 회장은 "한국의 IT인프라는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를 맞아 `I(information, 정보)'와 `T(Technology, 기술)'가 상생의 길을 찾지 않는다면 위기가 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IT헤게모니, 콘텐츠에서 결판난다 

콘텐츠에 대한 전략적 가치는 갈수록 높아지는 모습이다. 스마트폰은 시작에 불과할 뿐이다. 태블릿, 스마트TV는 물론 윈도만 있으면 될 것 같던 PC시장도 스마트폰과 유사한 콘텐츠 패러다임의 등장에 들썩거리기 시작했다. 

애플이 올해 4월 출시한 아이패드는 이미 출판, 신문, 잡지, 영상 콘텐츠의 새로운 메카로 떠올랐다. 과거에는 경험하지 못했던 콘텐츠 혁신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 아이패드를 사기 위한 사용자들의 구매 행렬. 아이패드용 콘텐츠는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아이폰을 성공으로 이끈 방정식이 태블릿에서 다시 한번 가동되고 있는 것이다. 스마트폰과 마찬가지로 태블릿 시장도 애플을 견제하려는 경쟁 플랫폼 업체들의 반격이 본격화됐다. 싸움은 역시 콘텐츠를 중심으로 펼쳐지고 있다. 

IT업계에서 태블릿이나 스마트TV 대권경쟁이 콘텐츠에서 결판난다는 것을 부정하는 이는 드물다. 

의미있는 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하지 못한다면 '무늬만 플랫폼' 대접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지난 10월 기대를 한몸에 받고 등장했지만 초반부터 시장 진입에 애를 먹고 있는 구글TV가 대표적이다. 
▲ 소니 구글TV. 예상외의 부진에 빠져 있다. 콘텐츠가 빈약한 플랫폼의 가치는 약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상징한다.

구글TV는 그동안 주요 방송사 콘텐츠를 확보하는데도 애를 먹었다. 

구글TV 사용자들은 ABC, CBS, NBC등 주요 방송사들의 콘텐츠를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사용하고 싶어 하지만 현재는 방송사들이 구글TV에서 접속을 차단한 상황이다. 메이저 방송사들과 계약에 실패한다면 구글TV의 매력은 크게 줄어 들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지적한다. 

구글TV 뿐만 아니다. 

스마트폰도 빈약한 콘텐츠를 보유한 플랫폼들에겐 기회의 땅이라기 보다는 무덤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콘텐츠 생태계를 거느리지 못한 모바일 플랫폼 '리모'나 '미고'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아직 있으나 마나한 존재에 머물러 있다. 천하의 노키아나 MS도 콘텐츠에 대해서는 할말이 많지 않다. 두 회사 모두 콘텐츠 생태계 구축을 위해 와신상담, 절치부심 중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도 바야흐로 플랫폼과 콘텐츠간 공존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콘텐츠 생태계를 구축한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승승장구하고 있는 반면 단일 서비스에 그친 마이스페이스는 지금 앞날을 기약하기 힘든 처지에 내몰렸다. 

클라우드 컴퓨팅, SNS, 모바일로 대표되는 새로운 IT패러다임은 모두 콘텐츠 지원군이 있고 없느냐에 따라 울고 웃는 상황이 됐다. 콘텐츠를 외치는 거인들의 함성소리에 긴박감과 절박함이 진하게 묻어나오는 이유다. 

콘텐츠 생태계 육성, IT강국 코리아 부활을 기대하며

IT강국을 자부해온 한국이지만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에 대해서는 할말이 별로 없다. 반성할게 오히려 많다. 

패러다임 변화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고, 변화의 필요성을 느낀 다음에도 과거에 발목 잡혀 '우물안 개구리'란 비판에 휩싸였다. 닫혀진 대한민국 모바일 생태계는 '갈라파고스'로 불리었다. 

물론 국내 대기업들이 플랫폼과 콘텐츠의 중요성에 대해 아예 모르고 있었던건 아니다. 그러나 환골탈태를 시도할만큼, 절박함을 느끼지는 않았던 듯 하다. 

SK텔레콤 서비스 플랫폼 사업을 주도하는 이진우 실장은 "국내 1위 이동 통신회사로서 서비스플랫폼을 너무 기만했다는 점을 반성하고 있다"면서 "국내 통신시장이 가진 문제의 뿌리는 관련 업계가 서비스 플랫폼을 고객이 원하는 만큼 만들어내지 못한데 있다"고 말했다. 

고질병인 '갑과 을' 구조도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콘텐츠 업체를 파트너가 아니라 단순 하청 업체로 생각하는 대기업들의 마인드가 바뀌지 않는다면 한국형 콘텐츠 생태계 육성은 공허한 메아리일 뿐이란 지적도 적지 않다. 대기업과 협업이 필요한 분야에서 경쟁력있는 콘텐츠 벤처 기업이 얼마안되는 것도, 결국은 갑과 을 마인드 때문이란 쓴소리도 쏟아진다. 

익명을 요구한 어느 디지털 콘텐츠 업체 대표는 이렇게 얘기한다. 

"대기업에서 입찰을 붙이거나 제안서를 받아놓은 뒤 중소기업 아이템을 가로챈 사례가 적지 않다. 예전에 A사에 기획안을 들고 갔는데, 얼마 후 A사가 계열사를 통해 기획안과 같은 내용의 아이템을 혼자 내놓은 것을 목격했던 경우도 있다. 주변에서도 비슷한 사례를 경험했던 이들을 자주 볼 수 있다. 대규모로 인력을 끌어모았지만 구체적으로 내놓은 성과도 없다. 중소 업체들을 없애버리겠다는 전략으로 풀이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아이폰이 대박을 친 이후 대기업들이 콘텐츠 업체를 대접하는 스타일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무늬만 상생이 아니라 콘텐츠 업체들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제대로 구축하지 않으면 설자리가 없다는 위기감이 진하게 풍긴다. 

삼성전자, SK텔레콤, KT 등 내로라하는 대기업들이 플랫폼 강화를 위한 콘텐츠 생태계 육성을 위해 거액의 투자를 감행하고 있는게 이를 대변한다. 한 발 늦은만큼, 실탄을 투입하는 속도는 점점 빨라지는 양상이다. 

SK텔레콤은 올해 T맵, T스토어, SMS 등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확정성있는 개방형 구조로 전환, 글로벌 환경에서 경쟁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으로 키워나간다는 전략이다. 서비스 플랫폼 확산을 위해 향후 3년간 1조원이라고 하는 어마어마한 금액을 투자하기로 했다. 지금이야말로 플랫폼 사업을 추진할 수 있고 성공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이진우 실장은 "확장성을 제공하지 못해 플랫폼을 발전시키지 못한 점을 아쉽게 생각해 핵심 기술 자산도 개방하기로 결정했다"면서 "이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도록 콘텐츠 육성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콘텐츠 확보를 위한 삼성전자 행보에도 비상한 관심이 쏠린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과 태블릿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일환으로 국내외 콘텐츠 업체들과의 협력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삼성전자 미디어솔루션센터의 권강현 전무는 "전세계적으로 하드웨어 성능만 뛰어난 업체보다는 핵심 콘텐츠 및 서비스와 이를 위한 생태게를 잘 구성하는 업체들이 급부상하는 등 경쟁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면서 "한국은 하드웨어에서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만큼, 콘텐츠 업체들과 생태계를 만들어 성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콘텐츠 업체들을 대하는 대기업들의 태도가 바뀌었다는 것에 대해 일부는 여전히 반신반의하고 있을 것이다. 설마설마하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TV로 IT패러다임이 확산되고, 이들이 서로 컨버전스(융합)되는 환경에서 콘텐츠의 전략적 가치는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하드웨어에 강점이 있는 한국 대기업들이 콘텐츠를 외면할 수 없고, 외면해서도 안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콘텐츠 업체들과 상생은 거룩한 구호가 아니라 이제 경영 전략의 반열에 올라섰다는 얘기다. 빈말로 퉁치고 넘어갈 처지가 아니다. 

콘텐츠를 향한 거대 기업들의 구애 작전은 콘텐츠 혁신으로 이어질 것이다. 

"애플 아이폰의 등장에 심장이 두근거렸다"는 컴투스 박지영 대표, "아이폰은 인터넷 포털과 SW사업을 10년씩해온 내게 너무나도 새롭고 도전의식을 느끼게 하는 분야"라고 고백한 이찬진 드림위즈 대표와 같은 이들이 계속해서 나오게될 것이다. 
▲ 징가의 소셜네트워크게임(SNG) `팜빌`. 콘텐츠 시대, 징가는 플랫폼을 활용해 세계적인 게임 업체로 발돋움하고있다.

해외는 이미 콘텐츠 스타들의 질주가 시작됐다. 세계 최대 SNS 페이스북을 등에 업고 초일류 게임 회사로 성장한 징가나,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에서 가장 잘나가는 게임중 하나인 앵그리버드는 바다건너 한국에서도 익숙한 이름들이 됐다. 

한국에서도 징가나 앵그리버드와 같은 차세대 콘텐츠 스타의 탄생을 보게될까? 하기 나름일 것이다. 한정현 고려대학교 정보통신대학 교수는 "지금이 바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디지털콘텐츠간 건전한 가치사슬을 형성할 수 있는 적기"라며 "협력에 기반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만큼,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앱과 콘텐츠 육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형 KAIST 교수도 "우리나라는 세계 휴대폰 시장에서 점유율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게임 분야에서도 강점을 갖고 있다"면서 "창의력 있는 개발자들이 많다는 점에서 모바일 앱 시장이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래서다. 지디넷코리아는 2011년 연중기획 키워드로 '콘텐츠'를 선정했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과 태블릿 그리고 스마트TV로 이어지는 디지털 혁신의 주인공은 콘텐츠임을 강조하기로 했다. 

"콘텐츠 중요한거 다 아는데, 뜬금없이 무슨소리냐?"라고 묻고 싶은 이들도 있을 것이다. 언제부터 했던 얘기인데, 갑자기 지금 왜 콘텐츠 타령이냐고 따지고 싶은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지디넷코리아는 올해 콘텐츠를 중심으로 IT세상을 바라보려 한다. 

이유? 이번에도 구호만 요란한채 실질적인 변화가 없는 상황이 반복된다면 앞으로는 콘텐츠를 외칠 기회 조차 없어질 것이란 절박함 때문이다.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 콘텐츠는 부가가치의 핵심이며 IT강국이란 실체없는 구호에 안주했던 한국이 다시 뛸 수 있는 계기 역시 콘텐츠가 될 것이란 믿음 때문이다. 

부존자원이 턱없이 부족한 우리 현실에서 내세울 수 있는 유일한 무기는 사람 밖에 없다. 고급인력이 넘쳐나는 우리 사회에서 이들을 효과적으로 끌어안고 갈 수 있는 미래 산업 역시 콘텐츠가 제격이다. 건전한 콘텐츠 생태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상생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평가할 수 있는 잣대로 활용하는데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지디넷코리아는 올 한해 콘텐츠라는 화두를 작심하고 끌어안기로 한다. 국내 콘텐츠 산업의 현주소와 최신 이슈 그리고 발전 방향에 대해 다양한 앵글로 접근할 것이다.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할 것이다. 언론매체란 한계가 있겠지만 연중 기획 시리즈를 통해 적게나마 건전한 콘텐츠 생태계 육성에 밀알이 되어보기로 한다. 

독자들의 많은 관심과 성원, 채찍질 기대한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