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insang `proud 'seokjiyoung Harvard Law Professor
WASHINGTON (AP) seonggihong correspondent at Harvard Law School in November last year, the first Asian-born woman ever to become a tenured professor seokjiyoung (American name: Jeannie seats), a professor occasion of the 13th Americas Koreans haninsang `proud 'received After pose. 2011.1.14 sgh@yna.co.kr
Harvard Law Professor seokjiyoung haninsang `proud '
WASHINGTON (AP) correspondent seonggihong "suddenly gone from my childhood country, culture and language, to adapt to the environment was a very painful experience, but rather dealt with the situation made me stronger the force, he was raised"
In November last year, Harvard Law School, became a tenured professor of women include the first Asian seokjiyoung (37. Jiniseok American name), Mr. occasion of the 13th Americas Koreans haninsang `proud 'was.
Professor Nam-Pyo Suh Seok (74),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General and bakyunsik (71) alongsid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professor and Korea Economic Institute (KEI) rose to the rank of the selected winners.
1903 awards ceremony last stepped on U.S. soil first day of Korea immigrants specified Americas Koreans celebrate the day of the day was held in Washington, DC Willard Intercontinental Hotel.
30s as a young Harvard Law School, the world's leading success stories of the tenured professors, particularly because of the right received the applause of many attendees, self-flagellation has been strong growth during his feelings, threw a lot of the next generation of young people.
In 1979, six years old when the immigrant parents in Queens, New York, Professor seats childhood was thrown into a completely new and unfamiliar environment, adapting the experience was a powerful force has developed a life recalled.
"The original nonstop patter children alone, but the United States do not speak English at elementary school and not be able to say a word, magazine, and entirely new world to wander in order to adapt the experience of alienation felt it was my painful memories as a child" he said.
But "having another geukbokhaega daily lives of these experiences for me to go through, providing the ability to observe things, and not only just fit the situation gave her strength seems to make it better," he was told.
'Proud haninsang' winners
WASHINGTON (AP) correspondent seonggihong Nam-Pyo Suh (74), Korea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General and bakyunsik (71)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professor, the first Asian-born woman tenured professor at Harvard Law School seokjiyoung (37. W), a professor of the 13th Americas Koreans occasion of the Korea Economic Institute (KEI) selected by the Koreans won the proud.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director, from left, Jack Pritchard, the President, Professor Park, professor of seats. 2011.1.14 sgh@yna.co.kr
Queens of the first elementary school friends, Jordan, Israel, Mexico, Japan, Czech Republic, India, China and immigrants from around the world saying it the most "common thread among these immigrants, war, exile, deportation, reconstruction, including survival, etc., or a new future in the U.S. was to find, "he was a childhood memory of the environment was the main background.
Three professors, especially because of today until they absolutely had affected the mother said.
His childhood as his mother and sister every day and brought him to the local library and professor of seats "to learn how to find a book from her own secret wish to see the book alone chatahdanimyeo enjoyed the pleasure of discovery, the power to seek freedom kiwotdeon seems, "said the jurist as a walk on the growth process was entirely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his mother.
From his mother, "Read a book" without also hearing the story grew 10 at a time to read books that he "is fun to read books when I was young and realized that, my reading was a process of finding the secret to the world," said said.
His crime, family law on the books and articles received recognition as a tenured professor at Harvard Law School has been selected as. Goals for the future, "the best scholar, I want to be the best teacher" and "to influence the future and I will teach students to be responsible," he said.
Literature from Yale University and graduated from Oxford University and a doctorate at Harvard Law School graduate won three teaching young people that "the people living life ahead of her mentors, who become even more important to create the key," he advised.
The doctor is a proud day haninsang ceremony of key personnel, including Ambassador to congratulate me, and GNP jeonjaehui yiseongheon chamyeongjin Ending johaejin hyeongihwan yuilho, Creative Korea Party Yong-Kyung Lee, the future of hope, solidarity yunsangil KEI Senator was invited to attend.
"낯선 나라 고통스런 적응 경험이 강인함 키워"
`자랑스러운 한인상' 하버드법대 석지영 교수 (워싱턴=연합뉴스) 성기홍 특파원 = 지난해 11월 하버드 법대에서 여성으로 사상 첫 아시아계 출신 종신교수가 된 석지영(미국명 지니 석) 교수가 13일 미주한인의 날을 맞아 `자랑스러운 한인상'을 받은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11.1.14 sgh@yna.co.kr |
(워싱턴=연합뉴스) 성기홍 특파원 = "어릴 적 갑자기 바뀐 나라, 문화와 언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무척 고통스러운 경험이었지만, 오히려 나를 강하게 만들었고 상황을 헤쳐가는 힘을 키웠어요"
지난해 11월 하버드 법대에서 여성으로는 첫 아시아계 종신교수가 된 석지영(37.미국명 지니석) 씨가 13일 미주한인의 날을 맞아 `자랑스러운 한인상'을 받았다.
석 교수는 서남표(74)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과 박윤식(71) 조지워싱턴대 교수와 함께 나란히 한미경제연구소(KEI)가 선정한 수상자 반열에 올랐다.
상패 수여식은 지난 1903년 첫 한국 이민자들이 미국땅을 밟은 날을 기념해 지정된 미주한인의 날인 이날 워싱턴 D.C 윌러드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렸다.
30대의 젊은 나이로 세계적인 명문 하버드 법대의 종신교수직에 오른 성공스토리때문에 특히 많은 참석자들의 박수를 받았고, 자신을 강하게 채찍질해온 그의 성장과정은 차세대 젊은이들에게 많은 울림을 던졌다.
지난 1979년 6살 때 뉴욕 퀸즈로 부모를 따라 이민한 석 교수는 어릴 적 완전히 새롭고 낯선 환경에 던져지고 적응했던 경험이 삶을 발전시켜온 큰 원동력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원래 쉬지않고 혼자서 재잘거리는 아이였지만, 미국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전혀 영어를 못해 한마디 말도 할 수 없게됐고, 또 완전히 새 세상에 적응하기 위해 방황하고 소외감을 느꼈던 경험은 나의 기억속에 아이로서 고통스러운 것이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매일매일 겪고 또 극복해가는 이러한 경험은 나에게 삶을 헤쳐가고 사물을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했고, 단지 어울리는 것만이 아니라 상황을 더 낫게 만들어가는 힘도 주었던 것 같다"고 얘기했다.
'자랑스러운 한인상' 수상자들 (워싱턴=연합뉴스) 성기홍 특파원 = 서남표(74)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과 박윤식(71) 조지워싱턴대 교수, 첫 여성 아시아계 출신 하버드법대 종신교수 석지영(37.여) 교수가 13일 미주한인의 날을 맞아 한미경제연구소(KEI)가 선정한 자랑스러운 한인상을 수상했다. 왼쪽부터 한미경제연구소 잭 프리처드 소장, 서 총장, 박 교수, 석 교수. 2011.1.14 sgh@yna.co.kr |
퀸즈의 첫 초등학교 친구들은 요르단, 이스라엘, 멕시코, 일본, 체코, 인도, 중국 등 전세계로부터 온 이민자들이 대부분이었다며 "이들 이민자들의 공통점은 전쟁, 망명, 추방, 재건, 생존 등에서 비롯되거나 미국에서의 새로운 미래를 찾기 위한 것이었다"고 유년기의 환경이 주요한 성장 배경이었다고 기억했다.
특히 석 교수는 오늘의 자신이 있기까지에는 어머니가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고 강조했다.
어릴 적 어머니가 매일같이 자신과 여동생을 동네 도서관으로 데리고 갔다는 석 교수는 "엄마로부터 책을 찾는 방법을 배우고 스스로 보고싶은 책을 찾아다니며 혼자서 은밀한 발견을 하는 즐거움을 누렸고, 자유를 추구하는 힘을 키웠던 것 같다"며 법학자로서의 길을 걷게 된 성장과정을 전적으로 어머니의 영향으로 돌렸다.
어머니로부터 "책을 읽어라"는 얘기를 수도 없이 들으며 자랐고 한 번에 10권의 책을 읽기도 했다는 그는 "책을 읽는 게 즐겁다는 것을 어릴 적에 깨달았고, 나에게 독서는 비밀스러운 세계를 찾아가는 과정이었다"며 말했다.
그는 범죄, 가족법에 관한 저서와 논문으로 평가를 받아 하버드 법대 종신교수로 발탁됐다. 향후 목표에 대해서는 "최고의 학자, 최고의 선생이 되고 싶다"며 "미래에 영향력을 미칠 학생들을 책임감 있게 가르치는 것이 내가 할 일"이라고 말했다.
예일대를 졸업하고 옥스퍼드대에서 불문학 박사학위를 딴 후 하버드 법대를 졸업한 석 교수는 젊은이들에게 "자신보다 앞서 살아간 사람들 중에서 멘토를 만드는 것이 그보다 더 중요한 사람이 될 수 있는 열쇠"라고 조언했다.
이날 자랑스러운 한인상 시상식에는 한덕수 주미대사를 비롯한 주요 인사들이 나와 축하했고, 한나라당 전재희 이성헌 차명진 윤상현 조해진 현기환 유일호, 창조한국당 이용경, 미래희망연대 윤상일 의원도 KEI의 초청을 받아 참석했다.
sgh@yna.co.kr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