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6:00 a.m. Weather, 30 minutes and turn on the pc
2. Simple house by 6:30, and Personal Blog Writing (schedule management, and volatility management)
3. 12:00 to 1:00 Lunch
4. 5:00 p.m. to 5:30 exchange rate volatility check London Mayor
5. About two hours after 10 pm in New York over the Internet, just as London foreign exchange market by examining shopping
To start the real deal
And the time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routine work done at night gonna be able to handle foreign currency like the Japanese housewives
Interest, is also available bosineungeot
A few possible yaecheukdo haguyo / stock may have a ghost's
Sign Of course, be it a bit of study
일본 어느 주부님의 환율 관련 하루 일상입니다 1. 아침 6 시 기상, 30분 pc 를 켠다 2. 6시 30분 집안 간단한 정리 및 개인 브로그 작성(일정 관리 및 변동성 관리) 3. 12시 -1시 점심 식사 4. 오후 5시-5시 30분 런던 시장 환율 변동성 체크 5. 오후 10시 이후 약 2 시간 동안 인터넷상으로 뉴욕,런던 외환시장 장보기하듯 검토하며 실제 거래를 시작 합니다 한국은 미국과 시차가 있고,일과가 끝난 밤시간대 업무처리가 가능하여 일본 주부들처럼 외환 에 관심 가져보시는것도 가능 합니다 약간은 얘측도 가능하구요/주식은 귀신도 모른다잖아요 물론 공부를 조금 하셔야 겠지요 삼성경제연구소환율 1,200원대 붕괴의 배경과 전망 1. 원/달러 환율 동향 원/달러 환율이 1,100원대로 하락 □ 2009년 9월 23일 원/달러 환율은 장중 1,200원이 붕괴되어 1,190원대로 하락 - 2009년 4월 30일 1,200원대로 하락한 이후 약 5개월 만에 1,200원선이 붕괴 .1,282.0원(4월 30일) → 1,196원(9월 23일 장중) - 1달러당 1,196원은 2008년 10월 1일 1,187.0원 이후 최저치 주요 환율 추이 (원/달러, 엔/10달러) 1,650 1.50 (달러/유로) 1,550 1,450 1,350 1,250 1,150 1,050 950 원/달러 엔/10달러 달러/유로 1.45 1.40 1.35 1.30 1.25 850 1.20 2008년 9월 자료: 한국은행, ECOS.; Thomson Reuters, Datastream. 2009년 6월 2009년 9월 2008년 11월 2009년 1월 2009년 4월 삼성경제연구소 1 2. 원/달러 환율 급락의 배경 원/달러 환율 급락의 배경 글로벌 달러화 약세, 국내 달러화 유입 확대 등에 기인 □ 세계경제의 회복 기대감 고조 및 국제금융시장의 안정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현상 약화 등으로 달러화가 약세를 시현 - IMF 총재 스트로스 칸은 "세계경기는 최악의 경기침체 상황에서 벗어나 회복기에 접어들고 더블 딥 공포는 사라졌다"고 언급 - 美 FRB는 8월 FOMC 성명서를 통해 미국경제가 안정되고 있다고 언급 하며 기준금리(0~0.5%)를 만장일치로 동결 ᆞ美 2/4분기 GDP가 예상(-1.5%)보다 높은 -1.0% 성장을 기록(전 분기 대비 연율 기준)하는 등 주요 경제지표가 개선1) 1) 8월 산업생산은 전월(1.0%) 대비 0.8% 증가하며 예상(0.6%)을 큰 폭으로 상회, 8월 ISM 제조업 지수는 52.9로 19개월래 처음으로 기준치(50)를 상회, ISM 서비스업지수는 48.4로 전월(46.4) 대비 상승, 8월 소매판매는 전월(-0.2%) 대비 2.7% 증가하며 3년래 최대 증가율 기록, 9월 미시 환율 1,200원대 붕괴의 배경과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2 환율 1,200원대 붕괴의 배경과 전망 - 글로벌 금융불안을 나타내는 주요 변동성 지표인 VIX, VDAX, VFTSE 는 지속적으로 하락 ᆞ2007년 이후 VIX(Volatility Index)와 미국 달러화 지수 간의 상관계수는 +0.53을 기록 → 변동성 지수 하락과 달러화 가치 하락 간 양의 상관관 계가 존재 90 60 30 주요 변동성 지표 추이 VIX VDAX VFTSE 0 2008년 1월 2008년 5월 2008년 9월 2009년 1월 2009년 5월 2009년 9월 자료: Thomson Reuters, Datastream. - 유엔이 新기축통화의 필요성을 제기한 점도 달러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 ᆞ9월 7일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는 "금융위기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미국 달러화를 대체할 새로운 기축통화체제를 구축할 것"을 제안 □ 달러 금리 급락에 따른 달러 캐리 트레이드의 출현도 달러화 약세에 일조 - 2009년 8월 24일 이후 달러화 리보금리가 엔화 리보금리를 지속적으로 하회하고 있는 상황 ᆞ2009년 9월 22일 현재 달러리보는 0.286%, 엔리보는 0.349%를 기록 간대 소비자신뢰지수(예비치)는 70.2로 전월(65.7) 대비 상승, 9월 NAHB/Wells Fargo 주택가격 지수는 19로 전월(18) 대비 상승 삼성경제연구소 3 환율 1,200원대 붕괴의 배경과 전망 ᆞ과거 달러화 리보금리가 엔화 리보금리를 하회한 시기는 1990년 8월~ 1993년 4월 - 달러 캐리 트레이드 출현 → 엔 캐리 트레이드의 이점 상실 → 기존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 달러화 약세 + 엔화 강세 현상 발생 ᆞ캐리 트레이드는 저금리 통화를 차입해 고금리 또는 고수익 자산에 투 자하는 행태를 의미, 캐리 트레이드로 인해 대상 통화는 약세를 보임 달러화 및 엔화 리보금리 추이 12 10 8 6 4 2 (%) 리보_엔 리보_달러 0 1986-07-31 1989-07-31 1992-07-31 1995-07-31 1998-07-31 2001-07-31 2004-07-31 2007-07-31 자료: Thomson Reuters, Datastream. □ 대내적으로 국내 경제의 빠른 회복 기대감, 외국인의 대규모 자금 유입 등이 원/달러 환율의 급락에 기여 - 국내 경제에 대한 우호적인 해외 시각, 국내 외화유동성 개선 등으로 국가 CDS 프리미엄 및 외평채 가산금리는 하락세 ᆞFitch는 국내 외화 유동성 개선 및 차입여건 호조 등으로 한국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상향 조정2) ᆞ무디스는 한국의 2010년 경제성장률을 3%로 중장기 성장률을 4~5%로 전망 ᆞ산업은행은 리먼 사태 이후 아시아 및 'A 등급' 최초로 300억 엔에 달 하는 사무라이채 발행에 성공(9월 3일) 2) 2008년 11월에 신용등급 전망이 하향 조정된 6개 국가 가운데 한국만 유일하게 상향 조정 삼성경제연구소 4 환율 1,200원대 붕괴의 배경과 전망 국가 CDS 프리미엄 및 외평채 가산금리 주: 4월 22일부터 새로운 5년물 외평채가산금리가 고시 자료: 국제금융센터 - 무역수지 흑자 및 외환보유액이 증가하는 가운데 최근 외국인의 주식투 자자금이 대규모 유입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큰 폭으로 하락 ᆞ8월 무역수지 흑자는 17억 달러, 8월 말 외환보유액은 2,454.6억 달러 ᆞ한국 증시의 FTSE 선진국 지수 편입 및 글로벌 투자심리 개선 등으로 외국인은 9월 중(2009.9.1~9.22) 코스피 시장에서 5.2조 원을 순매수 → 9월 순유입액은 2009년 전체 유입액(약 202억 달러)의 21%를 차지 외국인 주식투자자금과 원/달러 환율 추이 자료: 한국은행, ECOS DB. - 한반도 리스크 약화도 한국에 대한 긍정적 시각과 외국인 자금의 대거 유입에 일조 ᆞ불안요인으로 작용하던 한반도 리스크는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의 방문 이후 북-미, 남-북 간 대화와 교류가 확대되면서 크게 완화 2008년 10월 27일 2009년 4월 22일 9월 18일 외평채 CDS 프리미엄 (5년물, bp) 699 296 108 외평채가산금리 (5년물, bp) 751 408 162 (원) 1,500 50 1,450 1,400 1,350 1,300 1,250 1,200 1,150 1,100 -10 (억 달러) 외국인 주식투자자금 순유입액 42.5 33.4 31.4 32.1 원/달러 환율(좌축) 12.0 -3.7 27.2 23.2 4.2 40 30 20 10 0 '09.1 2 3 4 5 6 7 8 9(1-22) 삼성경제연구소 5 환율 1,200원대 붕괴의 배경과 전망 3. 향후 전망3) 2010년 글로벌 달러화는 약세가 예상 □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약화되고, 미국의 재정수지 적자 문제, 기축통화 대 체 논의 등이 제기됨에 따라 달러화는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 세계경제의 완만한 회복세로 안전통화 선호현상이 약화될 전망 - 미국의 대규모 재정수지 적자4)와 달러화 기축통화 대체 논의 등도 달러 화 약세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 .IMF는 미국 재정수지 적자가 2009년 1.9조 달러(GDP 대비 13.6%), 2010년 1.4조 달러(GDP 대비 9.7%)에 달할 것으로 예상5) .2010년에도 신흥시장과 국제사회를 중심으로 기축통화 대체 논의가 활 발해질 전망6) 미국의 쌍둥이 적자 및 달러화지수 추이 주요국 정책금리와 달러화지수 추이 (%) (달러화지수, 2000=100) 150 (%) '99 (달러화지수) '09 4 0 -4 -8 -12 -16 130 110 90 70 7 6 5 4 3 2 1 0 미달러화지수(우축) 미국 '07 115 110 105 100 95 90 85 80 75 70 65 재정수지/GDP '85 '87 '89 '91 '93 '95 '97 '99 '01 '03 '05 '07 '09 ECB 일본 '00 '01 경상수지/GDP 달러화지수 자료: IMF (2009. 4.). World Economic Outlook.; FRB; Thomson Reuters, Datastream. 3) 황인성 외 (2009). “2010년 세계경제 및 국내경제 전망” (SERI Economic Outlook). 삼성경제연구소. 4) 1985년 이후 미국 재정수지와 달러화지수 간에는 양(+)의 관계를 기록(상관계수가 +0.45), 미국 재정수지 적자 확대는 미국경제의 둔화나 침체를 의미하는데, 미국 국채의 50% 정도를 외국인이 투자하고 있어 외국 자금의 추가 유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달러화 약세와 밀접하게 연관 5) IMF (2009. 4.). World Economic Outlook. 6) 기축통화 대체 논의는 달러화 기축통화체제하에서는 글로벌 경제가 미국경제에 너무 의존하는 시 스템으로 한계가 있어 IMF의 SDR 등으로 대체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중국이 주도적으로 제기하 고 있고 여타 신흥시장과 IMF, 유엔 등이 지지하고 있는 상황 '02 '03 '04 '05 '06 '08 삼성경제연구소 6 - 다만, 2010년 중에 미국의 출구전략, 특히 금리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아 달러 캐리 트레이드는 위축될 것으로 예상 .예상보다 빠른 미국경제의 회복세로 미국의 조기 금리인상이 기대될 경 우, 달러화가 일시 강세로 반전될 수 있음7) 원/달러 환율: 1,281원(2009년) → 1,130원(2010년) □ 2010년 국내 달러화 유입 규모는 2009년에 비해 줄어드나 여전히 경상수 지 흑자, 외국인 증권투자자금 유입 등으로 공급우위 기조가 지속될 전망 - 경상수지 흑자 및 외국인 증권투자자금 유입액은 줄어드나, 조선업체의 신규 수주가 늘어 달러화 공급우위 기조 유지에 일조할 것으로 보임 .경상수지 흑자: 354억 달러(2009년) → 156억 달러(2010년)8) .조선업체 수주: 70억 달러(2009년) → 300억 달러(2010년) - 정책 당국의 외화유동성 회수가 거의 완료되었다는 점도 원/달러 환율의 하락요인으로 작용 .글로벌 금융위기 대응 과정에서 공급된 외화유동성 522.1억 달러(2009년 1월 말 기준) 중 85%가 2009년 9월 초에 이미 회수 7) 2003년 말부터 미국이 여타국에 비해 빠른 경제 회복세를 보이자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크 게 제기되면서 달러화가 일시 강세로 반전되었지만, 2004년 6월 정작 미국이 금리인상을 단행하 자 달러화는 다시 약세로 반전 8) 경상수지 흑자에 선박 수출이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임. 2010년 선박 수출은 약 700억 달러(전 세계 인도 예정물량 1,740억 달러(2008년 8월 현재) × 한국 시장점유율(약 40%))로 2009년 (520억 달러)보다 크게 증가하겠지만 외환시장 측면에서 선박 수출액의 60% 정도는 선박 수주 시 이미 선물환 매도를 통해 외환시장에 매도했기 때문에 달러화 공급 효과는 반감 환율 1,200원대 붕괴의 배경과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7 환율 1,200원대 붕괴의 배경과 전망 정책 당국의 외화유동성 공급 및 회수 현황 정부 한국은행 한-미 통화스와프 당초 공급 계획 350 200 300 850 '09. 1월 말 (공급 잔액) 282.1 76.5 163.5 522.1 2,017.4 9월 10일 (공급 잔액) 31.0 0.0 46.0 77.0 2,454.6(8월 말) (단위: 억 달러) 잔액 증감 △251.1 △76.5 △117.5 △445.1 +437.2 합계 외환보유액 주: 9월 10일 공급 잔액은 정부의 스와프 시장 공급분이 모두 회수된 것으로 가정해 추산 자료: 한국은행; 기획재정부 □ 균형환율 측면에서 원화가 현재 저평가 국면에 있다는 점도 향후 원화 강세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대폭 저평가를 보인 원화는 글로벌 금융시장 이 안정 기조를 보임에 따라 균형수준에 점진적으로 수렴할 것으로 예상 .2009년 8월 현재 실질실효환율지수9)로 본 균형환율은 달러당 1,017원 .외환위기 직후에도 원화는 대폭 저평가를 보였고, 그 이후 원화는 장기 간에 걸쳐 지속적인 강세를 기록하면서 균형수준으로 수렴 실질실효환율지수 추이 외환위기 원화 고평가 9) 실질실효환율지수는 기준시점 대비 명목환율변화율을 교역량으로 가중평균한 지수(명목실효환율 지수)에다 교역상대국의 가중상대물가지수로 나누어 계산한 것으로 지수가 100보다 높으면 원화 가 저평가, 100보다 낮으면 원화가 고평가 국면에 있음을 의미 170 160 150 140 130 120 110 100 90 80 (1993=100) 글로벌 금융위기 원화 저평가 삼성경제연구소 8 90 01 91 01 92 01 93 01 94 01 95 01 96 01 97 01 98 01 99 01 00 01 01 01 02 01 03 01 04 01 05 01 06 01 07 01 08 01 09 01 □ 결론적으로 2010년 원/달러 환율은 하락이 예상되나, 하락의 양상은 최근 의 급락세보다 완만할 것으로 예상 - 대외적으로 글로벌 달러화 약세가 진행되겠지만,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 으로 달러 캐리 트레이드가 다소 위축되는 등 달러화 약세는 완만하게 진행될 전망 - 대내적으로 달러화 공급우위 기조는 지속되나, 2009년에 비해서는 약화될 것으로 예상 .정책 당국의 외환시장 안정화 노력도 원/달러 환율의 급락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