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mart Grid as an excuse to retail competition in electricity industry, selling to introduce competition to Article 2 of the power industry restructuring was to try and say.
- Last year, President Lee 8 `15 address marking the topic of green growth at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Since the proposed renewable energy targets were set to 11% in 2030.
However, electricity from renewable energy output can not be controlled and the output prediction jeopumjilyida. Penetration Amount of renewable energy power zoom and power quality is an inverse relationship. Renewable energy power is only 5% of the existing power grid is a failure. Therefore, in order to absorb new and renewable energy electricity grid intelligence is needed.
To this end, the government smart grid (Smart Grid. Intelligent power grid, smart grid) in the name of Intelligent Business is pushing the power grid. But the core of Smart Grid technology to develop electric power equipment and power grids to degenerate into non-real-time pricing directly related to Intelligence and adds a lot of businesses are not too deeply involved, and private businesses as well as a business, such as the effect is greatly exaggerated so many the problem is occurring.
Importantly, the smart grid and power industry restructuring is a separate issue, despite the government promoting the smart grid and let the restructuring of national projects promoting advocates appeared on the front again, "To build a smart grid electricity industry to retail competition, we should step "The claim has been openly. 'S Committee of electrical current senior fellow a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godongsu last June' intelligent grid introduced for the implementation of green growth 'through the paper, "The smart grid system in order to succeed in the electrical system must be competitive in the marketplace," said KEPCO's sale should be split into several sectors has been argued that competition.
The Power Exchange gimseonghak operating, general manager last July in a press interview, "the major industrialized countries have already completed the restructuring of electric power industry, we still could not finish. The next generation of smart grid electricity industry representatives to lead the restructuring as soon as possible to put an end to controversy surrounding the shot if attrition, "he had say.
In fact, even if just to demonstrate a variety of Cheju border electricity sales to help plan, you plan to test the system as the smart grid and, ultimately, sales-oriented competition that has to be determined.
However, when the U.S. Federal Energy Regulatory Commission, International Officer of the Sara McKinley "smart grid marketization and has nothing to do. Claims come from Korea do not know why, "said South Korea is throwing a question mark on the smart grid.
In response governments 'current power industry structure can be undertaken well in the smart grid', 'foreign power in the existing industry structure (monopoly, competi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the Smart Grid is working on saying' nine trillion connections are realignment and ask her not to commit.
5 years ago, but circumstances have already entered into management restructuring plan might have been revived again should have a concern. In particular, smart grid companies and the IT industry as an opportunity to see a new revenue-generating value-added services by opening up sales to distort the direction of expansion and this government seems to be jumping.
Britain and California, already the world situation in the forced sale of electric power industr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ompetition and supply security of the surge in the price swings and the bar got a costly lesson this should not be forgotten. Kepco's revenue is 99 percent of electricity sales. Sales in the sector, suggesting separation KEPCO KEPCO claim and asked them to dismantle the idea of an irresponsible claim is not different.
People here are sympathetic to the Ministry recognized scholars and public employees 'Smart Grid to be successful have to compete with the sale,' 'should continue restructuring' is to the effect that continues to claim the purity of the government to be suspicious and wasteful debate again as long as public opinion is divided on the government to introduce competition in electricity industry sales must make it clear that there are no doctors.
▲ real-time smart grid plan, the claim is that the key to success.
- The current system costs by Application fee to reflect the real plan to reform is possible within a few years what's the good in question.
Government restructuring in 2001, while promoting transition to retail competition in stages until 2008 until the present system by Application fee reflects the cost rate system was reorganized into jeonapbyeol was untouched, but would. By Application fee required by the political system for decades, is being developed to replace because it could not be established because rates institution.
For real-time pricing rate structure reflects the cost of interlocking system with real-time fuel prices will have to run electricity charges daily, every few months to convince people to change the situation in question.
And at less than cost to supply industrial, agricultural prices should be raised. Disabled and perforated sangyija, Basic Livelihood Security, an independent veterans, social welfare facilities, furniture and more than three children, including 20% discount to countries in policy implementation and also to keep all the electrical system can not discount.
Above all, an electric charge according to market principles when deciding rate increases are likely seen the light. Especially the private company KT, SKT, such as a high telecom costs charged by carriers at random if you can not imagine you can go up to the level of electrical charge.
In addition, real-time plan, a letter from the Lee administration will be contrary to the civil policy, industrial competitiveness can only be exacerbated. In some cases, electricity bills itself several times higher than now can be traced. Keeping in mind that this should be promoted carefully.
▲ through a smart grid, but electricity consumption in government savings would be greater. How do you see about this?
- The government is to reduce the amount of electricity as the ultimate goal of the Smart Grid argues. The introduction of real-time pricing and smart meters in the domestic electricity supply is reduced to 11-15% and 10% of overall electricity consumption could be reduced.
However, the use of home appliances, smart meters and charge lower fees to Turn it on cheap time that the government wants to see real-time prices and consumption and two-way exchange of information, the price of smart meters is the current level of 300,000 won. Using the meter display jeonryeokryangman 4-50000 won the real-time display rates of 15 possible gauges manwonseon, bidirectional transmission is possible gauge the level of 300,000 won. This should be paid separately in the telecom costs.
The problem is that the cost of installing smart meters is who should pay. Was a direct burden on consumers, government and KEPCO, the electric power industry based on available funds but ultimately, no matter which nation is the burden will increase electricity costs savings compared to damn much is too much money.
The country last year's average monthly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229kWh of electricity rates an average of 20,000 yuan 5000. Smart meters and real time pricing on the cheaper consumer devices using a 10% reduction in electricity rates that are only won when 2,500 / month.
However, a saving of 10 percent claim that there is a reality. Won, 80 won to 2,500 / month in one day would just save the money kkolinde TV, computer, refrigerator, kimchi refrigerators, air conditioners, lights turn on What could be the time to control people? 'd Won a couple of spare machine to turn up in the night What could be the last person to be ironed? Air fare is expensive for the day is easier, that night?.
There will be little change in the industry. To reduce electricity costs at the factory at night to work for cheaper rates for overtime work during the day than late payments add up to 220% or more should be given to labor. Just trying to conserve electricity companies can be a bitch.
Similarly, the education and general commercial. Classes at night to save electricity costs would also not be trying to save electricity costs a few bucks a night time visitors can not only feel better it pre.
More fundamental problem, as the government claims based on real-time pricing of electricity usage is over 10% low price moves in time, even if it is saving electricity costs and reduce its electricity usage, but it is not.
I examine smart grid-related data in the smart grid electricity consumption by 10 percent savings over the claim that the power market and LS Industrial Systems Division of the loop the smart grid vision to the sessions, which have created is so unscientific and illogical claim. Georgia Power in 1600, they target customers real-time plan, implemented in 1994, 17% load reduction in case of Georgia Power is holding. Also, some U.S. power companies to plan, devised by a certain time, but most of the state paying off claims that the smart meters and real-time dissemination plan should be noted that the adoption of the negative.
Nation to reduc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 the world have implemented the most powerful nujinje. In other countries, or even if the United States nujinje 1.1 times (step 2), Japan, 1.4 times (step 3) as a progressive marginal rate. However, 11.7 times that of Korea (step 6) are operating in nujinje. Charges used in step 1, step 6, if won but a whopping 55.10 per kWh is 643.9 circles. Nevertheless, Mean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has been increasing every year. 300kWh per month exceeds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in 2002 to 12.2 percent but 27.7 percent in 2008, has increased more than doubled.
Increased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higher standards of living because it is natural and inevitable result as the world's most powerful nujinje can not stop the increasing trend.
10% reduction in electricity rates that are right, even if the government claims only only one born between 2000-3000 won per month does this effect is expected to reduce power usage claim that self-enemy is too arbitrary.
▲ economic impact on the smart grid, then maybe you should also think's go.
- The point of blowing the Smart Grid 'Energy, the country to feed the new growth engine' is defined as. Specifically, the size of the domestic market in 2030 to 147 trillion won would generate claims. 147 trillion won, but the smart grid 5 tujagi made in 2030 and hoping tujageumaekil only hope. This 'domestic market creation' is to express the problem. People and businesses are not lining at all to open a new market can be misleading.
And the smart grid, the government 95 trillion in 6000 one hundred million won in 2030 the expected effect of increasing exports to argue that by 2030 it plans to invest all over the world currently occupied by South Korea, divided by the share of the power industry, they're just the actual export potential does not mean that.
U.S., China and other large power equipment modernization projects in order to highlight the fact jungyiraneun but the general areas of smart grid and power plant construction sector to enter the country is also not much choice.
Export key smart grid technologies and operational capabilities of the grid unit is the target of this part of the main export markets in Southeast Asia and the Middle East, power is not a competition to enter the public system because there can be no nation. Smart Grid is based on the end effect is weak exports.
Smart Grid yeoninwon 80,000 in 2030, creating 8,000 jobs, to say that the five areas of job creation, too, hope that the effects of investment in industry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calculated by dividing the actual number in the job, but can not predict how much money no. As well as automated meter reading due to the decrease in aljari about 3,000, according to the power transmission and substation automation of job losses into account, is smart enough job creation effect of the grid seems to be exaggerated.
Only by building a smart grid demonstration effect to attract large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to Jeju Jeju empirical claim that the only thing visible from just wind turbines and electric charging stations I saw how many tourists come to see that this support will be in question. In 1980, the tourism product in the 1990s, might wind turbines, but not now. Destruction of nature and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has long scar on the face is reduced to. Tourism effects are also thought exaggerated.
▲ If so, the smart grid will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s would be wrong to argue?
- The point in building a smart grid, the state Department of CO2 emissions 4100 tons (7 percent of emissions in 2006) claims to be able to cut. However, power consumption can conduct real-time plan itself does not reduce CO2 emissions, reducing or how?
Electric cars would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s more prevalent when the claim is difficult to accept. Because the two primary electrical energy is less efficient. Heat the oil conversion ratio of one quarter of the gasoline is just. That is four times more than electric cars that the amount of gasoline must be going the same distance. With increasing prevalence of electric car you need him to produce electric cars more fuel you need to use a contradiction occurs. At this point I do not think carbon dioxide gas cars and electric cars simply own carbon dioxide emissions compared to only have a problem.
The government of the electric car can be recharged anytime, anywhere easy chadongcha to reduce fuel costs by 90% but 90% claimed that savings can not imagine a man with the highest level of technical development is successful when all the cars have changed the electric car Keep in mind that the process is assumed.
24 hours a day at the same prices for petroleum products and other smart grid system under the electricity price varies over time because you do not charge for late-night time a significantly lower price than gasoline, can not operate. More likely to use rather uncomfortable.
Electric cars actually fell on the horse's real economy so it is inconvenient to use. Cain, the lead country in the field of electric vehicles in Japan, developed by Tokyo Electric Power Charger approximately 5,000 ten thousand won per 5 minutes to charge and may be driving on 40km. Vehicle prices are close to 3 times that of comparable gasoline vehicles.
Submitted by the government 'charger installation cost and profitability analysis,' If you look at materials cost of installing electrical charger is ten thousand won per 7,000 businesses in the daily average maturity of 20 vehicles can recharge jeoksidwae revenue generation is expected to be difficult. 20kWh users to charge for 30 minutes and charges and power charges required the combined 4000 and won the 16km run is enough. Who would use these electric cars?
▲ U.S. and European companies in the power grid, smart grid, led to focus on technology development for intelligent but does not consider any other business. While the Korean nation into a smart grid as well as jeonryeoksaeopman electronics, communications, construction, automotive and industrial convergence across various sectors as defined by the grid, the role of intelligence hwae power company KEPCO seems relatively collapsed.
- Literally, a smart grid, smart grid, the idea that intelligence is a business grid.
California, USA, 2001, 2030, to gauge the situation in backward country under the goal of modernization of power facilities across the country are pushing the power grid Intelligent business.
European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and smart grid for both propulsion and power companies led to focus on technology development for intelligent networks, but does not consider any other business that can.
In fact Korea KEPCO's power utility in charge of facilities construction, operation, management and maintenance have been maintained because `modernization level, intelligence level, are the best in the world. Load factor, voltage regulation, frequency, reten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oss, power outages and other countries, all indicators are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electric power industry.
Incorporation of IT technologies to the grid smart grid sector, ahead of other countries since 2005, electricity came promote IT 10 major tasks for the whole world has been on the highest level. South Korea seondoguk smart grid could also be designated as superior IT skills than other countries as early as the graft from the power of IT is sikyeotgi.
But President Lee presented the topic of green growth and the 4 major rivers since the canal project, which sealed the green business being promoted as a variety of electric power industry and related industries to participate in the Smart Grid Business Promotion sealed with Korean Smart Grid being. Korean businesses, not just the smart grid electrical power, electronics, communications, construction, automotive, battery, covering areas such as Financial Fusion is defined as an industry. Accordingly, carriers, heavy electrical equipment companies, consumer electronics manufacturers, meter manufacturers, battery manufacturers, car manufacturers, oil companies involved to have electricity and many are trying to drive the business.
Korea Electric Power Industry to the mountain kind of bureaucracy would be very worried.
LS Industrial Systems Inc., Smart Grid Meter Manufacture Center led to my appointment minute hyperphosphorylation Vision and Roadmap Subcommittee and also led the Council on the smart grid as a business in the center of four can have a genius to figure that strange picture, Stinky is the picture.
Electricity Act in accordance with Article 35 for operating the electricity market and power system, established firm Power Exchange Roadmap Committee staff in five minutes of the two agencies led to the Roadmap, which also can not understand this. Market operations and the Power Exchange getongunyoungyiraneun just do gisulgineungman `What policies have the ability to project that vision that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 foreign power companies and what the network and experienc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hat led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division you want to. Roadmap for smart grid power market oper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has granted more than what I want to ask why.
▲ smart grid is active participation of private companies active in government funded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been backed. But research and development funding has been argued that simply is not fair.
- The point blowing past June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ystem challenges, the smart meter was ordered development challenges. LS Industri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Inc., two power meters produced jointly perform the task and this task-based power industry in the national hyeolsein 8.5 billion in funding support for 6000 has been won.
Electric power industry based funds as part of the electricity bill for the power sector to public service should be used.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benefit of the people, not the whole company back to the private companies developing the technology to support government funding is undesirable.
Just another demonstration of Jeju in the power industry based on building project is expected to fund. The power companies in other countries they try to test the technology developed by its own funds to build positive and only Japan only, because even though it takes a lot of money so the power company is reluctant to build a demonstration only. While our government or led by Raman toxic build demonstration projects to promote just here to participate in a private company is supporting 50% of project cost.
Construction of demonstration only five million public sector organization of the Smart Electricity Service performed by KEPCO and the Power Exchange and Smart Place, Smart Transportation, Smart Renewable and only three sectors to participate fully private sector companies and the heavy electrical sector articles participation Smart Powergrid will. The private sector they are adequate to test the business plan needs government support, why I have a budget.
And last August the government expand the existing power of IT Center for 'Smart Grid Group' launched the Agency ordered a fully private organization supported by the Fund is operating a power. Division 1 Room, 3 team's staff and systems are civilians. For themselves in the statute that the smart grid to manage your business, but the agency is not installed on the basis of legislation. Nevertheless, the point of blowing billions Power Fund 100% of operating expenses are supported. Private organization that oversees a large national project also can not understand the government support agencies operating in the sense that it is better.
The point necessary legal department in the smart grid, regardless of evidence or the nature of the target organ unconditional power is supported by the Fund.
Power Fund and the national tax money goes. Ssamjitdon like this anywhere in your pocket should not be writing. Evidence supports the law approved by Congress only a portion should be spent getting.
▲ sure there are problems in funding?
- '2030 Years building the world's first national smart grid '. A goal that is really in the interests and people debate whether to increase benefits, not to mention big business saying what money I have no idea. Final roadmap is not confirmed yet because the government requires a total funding does not know how much you confirm the report, but takes trillion '68 national project ', '147 trillion domestic market creation' and approximately 100 trillion won by the expression level required can assume that.
Currently the government pay 50% of the various expenses and financial payments to be about 50 trillion won as can be seen. Smart Powergrid and Smart Electricity Service to give the field an important role in the other three areas have to be at least 10 trillion won, KEPCO investment pandoendanda be needed.
Downturn in tax revenues and the rich which decreases packed in four major rivers such as the green giant national project snowballing budget deficit ballooned proceeded too much exceeded 400 trillion won. KEPCO also rapidly deteriorating financial condition of 3 trillion deficit in last year and greatly increase electricity rates in the future does not look hard for a turnaroun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tomach and whose recognition is not clear what the Smart Grid for the business again in the astronomical budget, it is undesirable to commit. Due to the government and KEPCO's financial situation to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mart Grid business intelligence hwae confine myself to fit the grid should be carried out.
▲ Smart Grid business alteration, distortion, as th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are required, in principle, should be pursued carefully whether saeopman?
- Intelligent smart grid means the power grid as the original power plant technology is developing all the core and the government in the name of the smart grid in the field of power industry and is trying everything you want.
Our competition is the Smart Grid, Price Reform,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as a means of `will became exceedingly numerous. Even a lot of renewable energy in four major rivers around the low CO2 emissions will be sold to power various types of electric vehicles used to create the city of Green City is to move. Something is going on behind closed doors seem to have a massive conspiracy.
Last February, green growth promoting national electricity grid, an intelligent challenge to the VIP after reports in March 'smart grid deployment Promotion Committee configuration and establishment of an intelligent grid roadmaps ceremony, held in May established the Smart Grid Association, just a groundbreaking ceremony in August in Jeju, and demonstrate Smart Grid Center Installation, September empirical challenges in the competition after just five daebunya November roadmap is pushing final completion and railroad. In this process, a parliamentary report on which ones did not.
68 trillion won by 2030 to be put into a large country, while promoting the project without a feasibility study without public discussion of the astronomical work in this way, these taxpayer money should not be used in the business. Driving speed is too fast, so that aggression can not understand why the country now is the world's highest levels of the smart grid that can not understand this rush.
Confirm the final plan in November to present a roadmap that when I thought that maybe even a little slow in a straight direction, stepped on the procedure correctly must faithfully hold the content.
Must be between 5 months or even years by field operations through the public discussion of the feasibility study and action plan should be finalized. Congress held hearings on the formal and adequacy of budgets should be discussed in depth issues.
"Hyeong news>
| 어떤 문제점들이 있는지 지식경제위원회 민주당 최철국 의원(경남 김해 을)을 만나 스마트 그리드 추진의 허와 실 그리고 추진방향 등에 대해 들어봤다<편집자 주>. - 지난해 이명박 대통령은 8`15 경축사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을 화두로 제시한 이후 지식경제부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를 2030년 11%로 설정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에서 나오는 전기는 출력제어와 출력예측을 할 수 없는 저품질이다. 신재생에너지 전원의 보급량 확대와 전기품질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신재생에너지 전원이 5%만 되어도 기존의 전력망은 마비된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 전기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전력망 지능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지능형 전력망, 똑똑한 전력망)라는 이름으로 전력망 지능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그리드의 핵심이 전력설비 신기술개발이 아닌 실시간요금제로 변질되고 전력망 지능화와 직접 연관이 없는 사업들이 많이 추가되고 있으며 민간사업자들이 너무 깊숙이 개입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업효과가 너무 크게 과장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스마트 그리드와 전력산업구조개편은 별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스마트 그리드를 국책사업으로 추진하자 구조개편 추진론자들이 다시 전면에 등장해 “스마트 그리드를 구축하려면 전력산업이 소매경쟁 단계로 나가야 한다”는 주장을 공공연하게 하고 있다. 현재 전기위원회 위원인 산업연구원 고동수 선임연구원은 지난 6월 ‘녹색성장 구현을 위한 지능형 전력망 도입’ 논문을 통해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전기의 판매시장에서 경쟁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며 한전의 판매부문을 여러 개로 쪼개서 경쟁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전력거래소 김성학 운영본부장은 지난 7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주요 선진국에서는 이미 끝난 전력산업구조개편이 우리는 아직도 완성하지 못했다. 스마트 그리드로 대표되는 차세대 전력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구조개편을 둘러싼 소모적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으면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제주 실증단지를 보더라도 실제로 다양한 요금제도와 전력판매시스템을 테스트할 계획인 만큼 스마트 그리드가 궁극적으로는 판매경쟁을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미국을 보면 미국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의 사라 매킨리 대외담당관은 “스마트 그리드는 시장화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 한국에서 왜 그런 주장이 나오는지 모르겠다”며 한국의 스마트 그리드에 물음표를 던지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현행 전력산업 구조에서도 스마트 그리드를 훌륭하게 추진할 수 있다’, ‘외국의 경우도 기존 전력산업구조(독점, 경쟁체제)와 관계없이 국가별 특성에 따라 스마트 그리드를 추진하고 있다’며 구조개편과 연결 짓지 말아달라고 하고 있다. 하지만 제반 상황은 이미 5년 전에 관 속에 들어간 구조개편방안이 다시 부활한 것이 아닌가라는 우려를 갖게한다. 특히 통신업체와 IT업계에서 스마트 그리드를 새로운 수익창출의 기회로 보고 판매망 개방을 통한 부가서비스 확대로 방향을 왜곡하고 정부가 이에 편승하는 듯하다. 세계는 이미 영국과 캘리포니아 사태를 통해 전력산업에 강제적으로 판매경쟁을 도입할 경우 가격이 급등하고 공급안정성도 흔들린다는 값비싼 교훈을 얻은 바 있으며 이를 잊어서는 안 된다. 한전은 매출액의 99%가 전기판매수익이다. 한전에서 판매부문을 분리하자는 주장은 한전을 해체시키자는 주장과 다를 바 없는 무책임한 발상이다. 현재 지경부와 교감하는 사람들로 공인된 학자나 공기업 직원들이 ‘스마트 그리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판매경쟁을 해야 한다’, ‘구조개편을 계속 진행해야 한다’는 취지의 주장을 계속하게 되면 정부의 순수성이 의심받게 되며 소모적인 논쟁으로 또다시 국론이 분열되는 만큼 정부는 전력산업에 판매경쟁을 도입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 ▲ 실시간 요금제가 스마트 그리드 성공의 열쇠라는 주장도 있다. - 현행 용도별 요금체계를 원가반영 실시간 요금제로 개편하는 것이 몇 년 내에 가능한지 또한 바람직한 일인지 의문이다. 정부는 2001년에 전력산업구조개편을 추진하면서 소매경쟁 단계에 들어서기 전까지 즉 2008년까지 현행 용도별 요금체계를 원가반영 전압별 요금체계로 개편하겠다고 했지만 손도 대지 못했다. 용도별 요금체계가 수십년간 정책적 필요에 의해 개발되고 정착된 요금제도이기 때문에 바꿀 수 없었기 때문이다. 실시간 요금제를 위해서는 원가반영 요금체계와 함께 실시간 연료비 연동제도 실행해야 하는데 전기요금이 일단위, 월단위로 바뀌는 상황을 국민이 납득할지 의문이다. 또 원가이하로 공급하는 산업용, 농사용 요금은 올려야 한다. 장애인 및 유공상이자, 기초생활수급자, 독립유공자, 사회복지시설, 3자녀이상가구 등에 대한 20% 할인 등 국가정책적 필요에 시행하고 있는 모든 전기요금 할인제도도 유지할 수 없다. 무엇보다 전기요금을 시장원리에 따라 결정할 경우 요금인상은 불 보듯 뻔하다. 특히 민간회사인 KT, SKT 같은 통신업체들이 임의로 통신비를 높게 책정할 경우 상상할 수 없는 수준으로 전기요금이 올라갈 수도 있다. 또한 실시간 요금제는 이명박 정부의 친서민정책에 역행하는 것이며 산업경쟁력도 약화될 수 밖에 없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요금 자체가 지금보다 서너 배 정도 올라갈 수 있다. 이런 점을 유념해 신중하게 추진돼야 한다. ▲ 그러나 정부에서는 스마트 그리드를 통해 전기소비 절감효과가 클 것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는가? - 정부는 전기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스마트 그리드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주장한다. 실시간 요금제를 도입하고 스마트 미터를 보급하면 가정용 전기의 경우 11~15%를 절감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는 전기사용량을 10%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정의 경우 스마트 미터를 이용해 가전기기를 요금이 싼 시간대에 가동해 요금을 절감하게 된다고 하는데 정부가 원하는 실시간 요금과 사용량이 표시되고 양방향 정보교환이 가능한 스마트 미터의 가격이 현재 30만원 수준이다. 사용 전력량만 표시되는 계량기는 4~5만원, 실시간 요금 표시가 가능한 계량기는 15만원선, 양방향 전송이 가능한 계량기는 30만원 수준이다. 여기에 통신비도 별도로 납부해야 한다. 여기서 문제는 스마트 미터 설치비용을 누가 부담해야 하는가이다. 소비자가 직접 부담을 하던, 정부나 한전, 전력산업기반기금을 이용하든 어느 것이나 궁극적으로는 국민 부담이고 전기요금이 인상되며 눈꼽만큼의 절약효과에 비하면 너무 큰 금액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주택용 전력의 월평균 사용량은 229kWh로 전기요금은 평균 2만5,000원이다. 스마트미터와 실시간 요금제에 따라 싼 시간대에 가전기기를 사용해서 전기요금을 10% 절감했다고 해도 월 2,500원에 불과하다. 그러나 10%가 절약될 것이라는 주장도 현실성이 없다. 월 2,500원이면 하루에 80원 꼴인데 이 돈을 아끼겠다고 TV, 컴퓨터, 냉장고, 김치 냉장고, 에어컨, 전등 켜는 시간을 조절할 사람이 있겠는가? 몇 원 아끼겠다고 한 밤중에 일어나 세탁기를 돌리고 다리미질을 할 사람이 있겠는가? 낮에 요금이 비싸다고 에어컨을 밤에 돌리겠는가?. 산업계도 거의 변화가 없을 것이다. 공장에서 전기요금을 줄이려면 요금이 싼 야간에 일을 해야 하는데 잔업수당에 심야수당까지 합하면 낮에 일하는 것보다 인건비를 220%나 더 줘야 한다. 전기요금 조금 아끼려다 기업이 망할 수도 있다. 교육계와 일반상업용도 마찬가지도. 전기요금을 절약하겠다고 수업을 밤에 할 수도 없으며 전기요금 몇 푼 아끼려고 손님이 없는 심야시간대에만 영업할 수는 없는 것 아닌가. 더욱 근본적인 문제는 정부 주장대로 실시간 요금제에 따라 전기사용량의 10% 이상이 가격이 저렴한 시간대로 옮겨간다 하더라도 그것은 전기요금 절약 효과는 있을지 몰라도 전기사용량 자체를 감소시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스마트 그리드 관련 자료를 조사하다 보니 스마트 그리드의 전기사용량 절감 효과가 10%가 넘을 것이라는 주장은 전력거래소와 LS산전이 중심인 스마트그리드사업단의 비전분과에서 만들어 낸 것으로 이는 너무나 비과학적이고 비논리적인 주장이다. 이들은 조지아 파워1,600 고객 대상으로 1994년부터 실시간 요금제 시행, 17%의 부하 감소한 조지아 파워의 사례를 들고 있다. 또 일부 미국의 전력회사가 실시간 요금제를 시행해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대부분의 주정부는 스마트 미터 보급과 실시간 요금제 채택에 부정적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주택용 전기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누진제를 시행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누진제가 없거나 있는 경우에도 미국 1.1배(2단계), 일본 1.4배(3단계)처럼 누진율이 미미하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11.7배(6단계)의 누진제를 운영하고 있다. 사용요금이 1단계의 경우 kWh당 55.10원인데 6단계는 무려 643.9원이나 된다. 그럼에도 가구당 평군 전력사용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월평균 300kWh 초과가구 비중도 2002년에 12.2%였으나 2008년에는 27.7%로 두 배가 넘게 증가했다. 전력사용량 증가는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자연스럽고 필연적인 결과이기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누진제로도 증가추세를 막지 못하고 있다. 전기요금이 10% 절감된다는 정부의 주장이 맞다고 하더라도 고작 한 달에 2,000~3,000원 차이밖에 나지 않는데 이런 효과를 기대하고 전력사용량 자체를 줄일 것이라는 주장은 너무나 자의적이다. ▲ 그렇다면 스마트 그리드에 대한 경제적 효과 또한 짚어 봐야 할 것 같은데. - 지경부는 스마트 그리드를 ‘녹색성장시대에 우리나라를 먹여 살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규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2030년까지 147조원 규모의 내수시장을 창출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147조원은 스마트 그리드 5대 분야에서 투자기 이뤄지길 바라는 2030년까지의 희망 투자금액일 뿐이다. 이것을 ‘내수시장 창출’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문제다. 내막을 모르는 국민과 기업들은 전혀 새로운 거대시장이 열리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 또 정부는 스마트 그리드 분야에서 2030년까지 95조6,000억원 수출 증대 효과가 기대된다고 주장하는데 이것은 세계 각 국의 2030년까지 투자계획을 현재 우리나라가 차지하고 있는 전력산업계의 비중으로 나눈 것일 뿐 실제 수출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미국, 중국 등지에서 대규모 전력설비 현대화 프로젝트가 발주 중이라는 사실을 강조하지만 이 분야는 스마트 그리드가 일반 전력설비 건설분야이고 우리나라가 진출할 여지도 별로 없다. 스마트 그리드 수출관건은 그리드 단위의 기술 및 운용능력인데 이 부분의 주요 수출대상인 동남아 및 중동 전력시장은 경쟁체제가 아닌 공기업체제이기에 우리나라가 진출할 여지가 없다. 결국 스마트 그리드 수출 효과도 근거가 미약하다. 스마트 그리드 분야에서 2030년까지 연인원 8만8,000개 일자리가 창출한다는 주장도 일자리 창출 효과 역시 5대 분야의 희망 투자금액을 업종별 고용유발계수로 나누어 산출한 수치일 뿐 실제는 일자리가 얼마나 창출될지 알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검침 자동화로 인한 검침 분야에서 약 3,000명의 알자리 감소, 송배전 및 변전 자동화에 따른 일자리 감소는 계산에 넣지도 않은 만큼 스마트 그리드의 일자리 창출효과는 다소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 그리드 실증단지 구축으로 제주도에 국내외 관광객 유치효과가 클 것이라는 주장도 제주 실증단지에서 눈에 보이는 것은 고작 풍력발전기와 전기 충전소뿐인데 이런 것을 보려고 오는 관광객이 몇 명이나 될 지 의문이다. 1980년, 1990년대에는 풍력발전기가 관광상품이었을지 몰라도 지금은 아니다. 자연을 훼손하고 환경을 파괴하는 흉물로 전락한지 오래다. 관광효과 또한 과장됐다고 생각한다. ▲ 그렇다면 스마트 그리드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시킬 것이라는 주장도 잘못된 것인가? - 지경부는 스마트 그리드 구축에 따라 국가 CO2 배출량 4,100만톤(2006년 배출량의 7%)을 감축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실시간 요금제를 실시해도 전력 사용량 자체가 줄어들지 않는데 CO2 배출량이 어떻게 감소하나? 전기자동차가 많이 보급되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줄어들 것이라는 주장도 동의하기 어렵다. 전기는 2차 에너지이기 때문에 효율이 낮다. 석유환산비율 즉 발열량이 휘발유의 4분의 1에 불과하다. 즉 전기차는 휘발유보다 4배나 많은 양이 있어야 같은 거리를 갈 수 있다. 전기차 보급이 늘어날수록 그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더 많은 1차 연료를 사용해야 하는 모순이 발생한다. 이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휘발유차와 전기차만의 이산화탄소 배출량만을 비교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정부는 전기차를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충전할 수 있고 차동차 연료비를 90%까지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90% 절감 효과는 인간이 상상할 수 있는 최고 수준으로 기술개발이 성공하고 모든 자동차를 전기차로 바꾸었을 때를 가정한 가공의 수치일 뿐이다. 하루 24시간 가격이 똑같은 석유제품과 달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하에서 전기는 시간대별로 가격이 달라지기 때문에 심야시간대에 충전하지 않는 한 휘발유에 비해 현격하게 저렴한 가격으로 운영할 수 없다. 오히려 더 불편하게 이용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전기차는 말은 그럴듯한데 너무나 경제성이 떨어지고 이용에 불편하다. 전기차 분야의 선두국가인 일본 동경전력이 개발한 충전기는 대당 약 5,000만원이며 5분간 충전해야 40km를 주행할 수 있다. 차량가격도 동급 가솔린 차량의 3배 가까이 된다. 정부가 제출한 ‘충전기 설치비용 및 수익성 분석’ 자료를 보더라도 전기충전기 설치비용은 대당 약 7,000만원인데 사업 성숙기에 일일 평균 20대 차량을 충전해도 수익발생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고 적시돼 있다. 이용자는 30분 동안 20kWh를 충전하는데 이용요금과 전력요금을 합해 4,000원이 소요되고 16km정도를 달릴 수 있다. 누가 이런 전기차를 이용하겠는가? ▲ 미국과 유럽에서는 전력회사들이 스마트 그리드를 주도하고 전력망 지능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집중할 뿐 다른 비즈니스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한국형 스마트 그리드로 전력사업만 뿐만 아니라 전자, 통신, 건설,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 산업으로 정의되면서 전력망 지능화에 전력회사인 한전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축소된 것 같은데. - 스마트 그리드는 말 그대로 똑똑한 전력망을 만들자는 전력망 지능화 사업이다. 미국은 2001년 캘리포니아 사태를 계기로 2030년까지 낙후된 자국의 전력설비를 현대화하겠다는 목표 하에 전 국가적으로 전력망 지능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은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스마트 그리드를 추진하고 있으며 모두 전력회사들이 주도하고 망 지능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집중할 뿐 다른 비즈니스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사실 우리나라의 전력설비는 공기업인 한전이 책임지고 건설, 운영, 관리, 유지`보수를 해왔기에 현대화 수준, 지능화 수준이 세계 최고다. 부하율, 전압변동률, 주파수 유지율, 송배전손실율, 정전시간 등 모든 지표가 다른 나라의 전력산업보다 훨씬 우수하다. 전력망에 IT기술을 접목시키는 스마트 그리드 분야도 다른 나라보다 앞서서 2005년부터 전력IT 10대 과제를 추진해 왔기에 대체로 세계 최고 수준에 올라 있다. 한국이 스마트 그리드 선도국으로 지정될 수 있었던 것도 IT기술이 뛰어나고 또한 다른나라 보다 일직부터 전력에 IT를 접목시켰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명박 대통령이 저탄소 녹색성장을 화두로 제시한 이후 대운하 사업이 4대강 살리기, 즉 녹색사업으로 포장돼 추진되고 있듯이 전력산업과 관련없는 다양한 업종이 스마트 그리드 사업에 참여하고 한국형 스마트 그리드로 포장돼 추진되고 있다. 한국형 스마트 그리드는 전력사업만이 아닌 전기, 전자, 통신, 건설, 자동차, 배터리, 금융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융합 산업으로 정의되고 있다. 이에 따라 통신업체, 중전기기업체, 가전업체, 계량기 생산업체, 배터리 생산업체, 자동차 업체, 정유사까지 참여해 전기를 가지고 여러 가지 사업을 추진하려 하고 있다. 이러다 한국의 전력산업이 산으로 가지 않을까 심히 걱정된다. 계량기 제작업체인 LS산전이 스마트 그리드 사업단 내 선임분과인 비전분과를 주도하며 로드맵 작성을 주도하고 또 스마트 그리드 협회 회장사로서 비즈니스에서도 중심이 돼 있는 것은 누가봐도 이상한 그림, 냄새나는 그림이다. 전기사업법 제35조에 따라 전력시장 및 전력계통 운영을 위해 설립된 기관인 전력거래소가 로드맵 분과위원회 5개 중 2개 분과에서 간사기관으로 로드맵 작성을 주도하고 있는데 이것 역시 이해할 수 없다. 시장운영과 게통운영이라는 단순한 기술기능만 수행하고 있는 전력거래소가 무슨 정책`기획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비전 수립을 주도하는지 그리고 외국의 전력회사들과 무슨 네트워크가 있고 국제협력 경험이 있다고 국제협력 분과를 주도한다는 것인지. 스마트 그리드 로드맵 작성 작업에 전력거래소에 한전 보다 중요한 역할을 부여한 이유가 무엇인지 묻고 싶다. ▲ 스마트 그리드에 민간기업의 참여가 활발하며 정부도 연구개발에 적극적인 재정지원으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하지만 연구개발자금 지원이 공정하지 못하다는 의견도 있다. - 지경부는 지난 6월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시스템 구축 과제, 즉 스마트 계량기 개발과제를 발주했다. 계량기 제작업체인 LS산전이 전력연구원과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 과제에 국민 혈세인 전력산업기반기금에서 85억6,0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전력산업기반기금은 전기요금의 일부로 전력분야 공익사업을 위해 사용해야 한다. 기술개발의 이익이 국민 전체가 아닌 개발업체에 돌아갈 민간 대기업의 기술개발자금을 정부가 지원하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않다. 또 제주 실증단지 구축 사업에도 전력산업기반기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다른 나라는 전력회사들이 자신들이 개발한 기술을 테스트해보려고 자체 자금으로 실증단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일본만 하더라도 워낙 자금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전력회사들이 실증단지 구축에 소극적이다. 반면 우리나라만 유독 정부 주도로 실증단지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여기에 참여하는 민간회사들에게 사업비의 50%를 지원하고 있다. 실증단지 구축의 5대 분야 중 Smart Electricity Service만 공공기관인 한전과 전력거래소가 수행하며 Smart Place, Smart Transportation, Smart Renewable 등 3대 분야는 완전히 민간회사들만 참여하는 분야이고 Smart Powergrid 분야도 중전기기사가 참여하게 된다. 민간기업이 자기들이 구상하는 사업이 적절한지 테스트하는데 필요한 예산을 왜 정부가 지원해줘야 하나. 또 정부는 지난 8월 기존의 전력IT 사업단을 확대해 ‘스마트그리드사업단’을 발족시켰는데 완전 민간기구인 사업단운영비도 전력기금에서 지원하고 있다. 사업단은 1실, 3팀 체제인데 직원 모두 민간인이다. 자기들 스스로 정관에 스마트그리드 사업 전반을 관리한다고 하고 있지만 법령에 근거해 설치된 기관이 아니다. 그럼에도 지경부는 수십억원의 운영비 100%를 전력기금에서 지원하고 있다. 민간기구가 대형 국가 프로젝트를 총괄 관리하는 것도 납득할 수 없지만 기관 운영비를 정부가 지원하는 것은 더욱 말이 안 되는 일이다. 지경부는 스마트 그리드에 필요하다면 법적 근거나 대상기관의 성격에 관계없이 무조건 전력기금에서 지원하고 있다. 전력기금은 국민이 낸 세금과 마찬가지다. 이것을 주머니 속 쌈짓돈처럼 아무 데나 써서는 안 된다. 법령에 지원 근거가 있는 부분에 한해 국회의 승인을 얻어서 지출해야 한다. ▲ 재원조달에 있어 문제점은 없는지? - ‘2030년 세계 최초의 국가단위 스마트 그리드 구축’. 이 목표가 과연 국익에 부합하고 국민편익을 증대시킬 것인지 논의는 차치하더라도 무슨 돈으로 이런 거대 사업을 하겠다는 것인지 도무지 알 수 없다. 아직 로드맵 최종안이 확정되지 않아서 정부가 총 필요재원이 얼마인지 확정적으로 보고하지는 않고 있지만 ‘68조원이 소요되는 국가프로젝트’, ‘147조원의 내수시장 창출’ 등의 표현을 통해 대략 100조원 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현재 정부가 각종 사업비의 50% 정도를 부담하고 있기에 재정부담액은 50조원 정도로 볼 수 있다. Smart Powergrid와 Smart Electricity Service 분야를 주다하고 다른 3대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는 한전도 최소 10조원 이상의 투자비가 필요한 것으로 판된단다. 경기침체와 부자감세로 세입은 줄어드는데 4대강 살리기와 같은 녹색으로 포장한 초대형 국가프로젝트를 너무 많이 진행해 재정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 400조원을 넘어섰다. 한전 역시 재정상태가 급속하게 악화돼 지난해 3조원의 적자가 발생했고 앞으로도 전기요금을 크게 인상하지 않는 한 흑자전환이 힘들어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누구를 위하고 무엇을 위한 사업인지도 분명하지 않은 스마트 그리드에 또다시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하는 것은 바람직스럽지 않다. 정부와 한전의 재정상황을 감안해 스마트 그리드 사업을 본래 목적에 맞게 전력망 지능화에 국한해 추진해야 한다. ▲ 스마트 그리드 사업이 변질, 왜곡되고 있는 만큼 선택과 집중 원칙으로 반드시 필요한 사업만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것인가? - 스마트 그리드는 본래 전력망 지능화라는 의미로서 전력설비 기술개발이 핵심이자 전부인데 정부에서는 스마트 그리드라는 이름으로 전력산업 분야에서 하고 싶은 모든 것을 다 하려 하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가 판매경쟁, 요금체계 개편,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한 것이다. 심지어 4대강 주변에 신재생에너지가 많고 CO2 배출량이 적고 다양한 형태로 전력이 판매되며 전기자동차도 많이 사용하는 도시인 Green City를 조성하려는 움직임까지 있다. 밀실에서 뭔가 거대한 음모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지난 2월 녹색성장 국가전력과제로 지능형전력망 추진이 VIP에게 보고된 이후 3월 ‘지능형 전력망 구축 추진위원회’ 구성과 지능형 전력망 로드맵 수립 발대식 개최, 5월 스마트 그리드협회 창설, 8월 제주 실증단지 착공식과 스마트 그리드 사업단 설치, 9월 실증단지 5대분야 과제공모에 이어 11월 로드맵 최종안 완성 등 일사천리로 밀어붙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어느 것 하나 국회에 보고되지 않았다. 2030년까지 68조원이 투입돼야 하는 대형 국가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타당성 조사도 없이 공론화 작업도 없이 천문학적인 혈세를 이런 방식으로 이런 사업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 추진 속도가 너무 빠르고 이렇게 밀어 붙이는 이유를 납득할 수 없으며 지금도 우리나라의 스마트 그리드 수준은 세계 최고인데 이렇게 서두르는지 이해할 수 없다. 현재 11월에 최종 로드맵을 확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 시기를 다소 늦추는 한이 있더라도 절차를 제대로 밟아서 방향을 똑바로 잡고 내용도 충실히 해야 한다. 반드시 5대 분야별로 수개월 혹은 수년간의 타당성 검토와 공론화 작업을 거쳐 실행계획을 확정해야 한다. 국회에서 정식으로 공청회를 개최하고 예산 투입의 적정성 문제도 심도있게 논의해야 한다. |
| <박재형 기자>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