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kyo AP) correspondent Choong Won incentive Yakult fermented Japanese court Coca-Cola bottles and plastic containers as well as a decision that marks the 17th Yomiuri Shimbun reported Sunday.
Japanese Intellectual Property High Court (Patents Court) on December 16, Saga Japan, Yakult Yakult its commodity plastic yogurt containers dont Patent and Trademark Office to register a trademark lawsuit filed against the "vessel itself is a kind of trademark 'three-dimensional trademark'" said the plaintiff wins ruled.
Nakano Death Hiro (中 野 哲 弘) The presiding judge, "Yakult four containers shaped to the consumer to impress there products to identify the indicators is perceived as" he "present in the gut and started using it since 1968 with over 40 years changing the shape did, especially lactic acid bacteria beverage sales share is high considering that it is necessary, "he said.
The court last year, a research firm surveyed 5,000 people staged a result of more than 98% reported yonggiman Yakult drink that reminds me of that evidence and made decisions.
Yakult live three-dimensional trademark registration system in Japan started to apply for trademark registration in April 1997, but did not receive recognition. Coca-Cola bottle as a trademark since the recognition through litigation in September 2008 When asked to register again.
Yakult bottles genmochi Japan's most famous industrial designer Isamu (剑持 勇 .1912 ~ 1971) was designed by the United States, Germany, India, Brazil, etc. have been registered as trademarks in 45 countries.
Japan and Korea Yakult Yakult, according to four in South Korea in 1975 to design registration for the vessel design, but not after the three-dimensional trademark registration.
日 법원 "야쿠르트 용기는 그 자체가 상표"
일본 법원 "야쿠르트 용기는 그 자체가 상표" (도쿄=연합뉴스) 이충원 특파원 = 일본 지적재산고등재판소(특허법원)는 16일 일본 야쿠르트사가 자사 요구르트 상품인 야쿠르트의 플라스틱 용기를 상표로 등록해달라고 특허청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용기 자체가 상표의 일종인 '입체상표'"라고 원고 승소 판결했다. 사진은 일본 야쿠르트 용기. 2010.11.17 <<국제뉴스부 기사 참조>> chungwon@yna.co.kr |
일본 지적재산고등재판소(특허법원)는 16일 일본 야쿠르트사가 자사 요구르트 상품인 야쿠르트의 플라스틱 용기를 상표로 등록해달라고 특허청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용기 자체가 상표의 일종인 '입체상표'"라고 원고 승소 판결했다.
나카노 데쓰히로(中野哲弘) 재판장은 "야쿠르트사의 용기 모양은 소비자에게 강한 인상을 주고 있어 상품을 식별하는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며 "현재의 용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1968년 이후 40년 이상 모양을 바꾸지 않았고, 유산균 음료 중에서도 판매 점유율이 높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법원은 한 조사 회사가 지난해 5천 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98% 이상이 용기만 보고도 야쿠르트 음료를 연상했다는 점을 판결 근거로 삼았다.
야쿠르트사는 일본에서 입체상표 등록 제도가 시작된 1997년 4월에 상표 등록을 신청했지만, 인정을 받지 못했다. 이후 코카콜라 병이 소송을 거쳐 상표로 인정되자 2008년 9월에 다시 등록을 요구했다.
야쿠르트 병은 일본의 대표적인 산업 디자이너인 겐모치 이사무(劍持勇.1912∼1971)가 디자인한 것으로, 미국, 독일, 인도, 브라질 등 45개국에서 상표로 등록됐다.
일본 야쿠르트사와 한국야쿠르트에 따르면 한국에서는 1975년 용기 디자인에 대해 의장등록을 했지만, 이후 입체상표 등록은 하지 않았다.
chungwon@yna.co.kr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