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November 16, 2010

Jeju Air's success, `Price caught two rabbits `` safe '

Jeju Air's success, `Price caught two rabbits `` safe '

Jeju Air, this year celebrated the 4th anniversary of the flight. Aekyung Group in January 2005 and as co-founder of Jeju, Jeju Air launched its introduction in the domestic low-cost airline (LCC · Low Cost Carrier), respectively. Jeju Air is the reaction of people when it first appeared 'half anticipation and half worry about was'. Some people "would be before he left," Iran has often castigated.

Jeju Air, in spite of these concerns I have today is furious. Serves 250,000 people in 2006 in the first year of 1.51 million people last year surpassed the number of passengers geuchyeotdeon, the average annual growth of 84% was high-. Already this year 1.21 million people (by the end of July) and carried three quarters of the year is expected to break through the performance of transport.

Sales also changed noticeably. Last year, 87.8 billion won from 11.7 billion won first-year history. All sales of 66.4 billion won in the first half of last year grew 81.3 percent over the same period. Jeju Air, which this year is looking to sell 150 billion won. Jeju Air's success story was the subject across the sea in Japan. Last June in Japan, including NHK, Fuji TV broadcast country, including major Japanese media outlets have covered the exploitative went to Jeju Air. LCC does not have the success of Japan's Jeju Air is the benchmark model tteoolratgi.

These days, business was on track to enter the Jeju Air is listening to evaluate the promotion business was never really gone. Flight after flight, while soaring oil prices early in the project hit difficulties. Here too harsh on the selected vendors' checks. KAL and Asiana Airlines, Jeju Air's yard in a row against jineeo, Air Busan, was established. The year 2007 was the biggest high. With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sharp drop in demand for flu because the spins travel.

But cheap fares and a variety of product development and aggressive marketing representative with a high load factor of 85-90 percent, marking the front of the recession and surpassed. Here, thanks to international operations in July 2008 began. Currently in Japan and Thailand, two countries, four cities, including all international scheduled flights to 5 was opened.

Jeju Air's success is a far lower air fares. Currently the company level, 70-80% of the existing airlines (domestic standard) and the fare is priced. Penalty only if the price on a plane rather large low-cost airlines are likely pressed. Jeju Air, which spent more attention to safety. Caused by the perception that low-cost airline passengers to relieve the anxiety of the same safety and equipped with a large airline to have continued investment. As a result, 10,003 years after the flight safety has built its own operating system. Jeju Air, the safe operation of the system in April last year, 230 airlines around the world to participate as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Transport Association (IATA) from the IOSA (IATA Operation Safety Audit) certified.

Jeju Air is the first year of growth in the year. Aekyung Group Life Purpose, vice president of Aviation in an interview with the daily economic newspaper "as early as next year to start later this year on an annual basis operating profit realization may be possible," he said. Vice President in the "Jeju Air's growth and development will focus on all competencies. By the end of this year from 20 to 30 billion won in capital to the size of the capital increase conducted at 80 billion won from 100 billion to 110 billion won increase in the level will create a solid financial structure, "he said.

Also established an aggressive management policy later this year. 5 units are currently operating two additional aircraft jeungpyeonhal leading international avi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Following the end of October, Incheon - Manila, Incheon - Hong Kong, Busan - details including plans to commence a new route.

[Gimchungil reporters loyalkim@mk.co.kr]

[This article Maekyung Economy






제주항공의 성공비결, `가격``안전` 두 마리 토끼 잡았다
제주항공이 올해로 취항 4주년을 맞았다. 2005년 1월 애경그룹과 제주특별자치도의 공동 설립으로 출범한 제주항공은 국내에서 처음 선보인 저비용항공사(LCC·Low Cost Carrier)였다. 제주항공이 처음 등장했을 때 사람들의 반응은 ‘기대 반 걱정 반’이었다. 일부에선 “뜨기도 전에 질 것”이란 혹평을 하기도 했다. 

이런 우려에도 불구하고 제주항공은 요즘 펄펄 나는 중이다. 2006년 취항 첫 해 25만명에 그쳤던 탑승객 수는 지난해 151만명을 돌파, 연평균 84%의 고공 성장을 했다. 올해만 이미 121만명(7월 말 기준)을 수송해 3분기 중 지난해 수송실적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매출도 눈에 띄게 달라졌다. 첫해 117억원에서 지난해 878억원을 기록했다. 올 상반기에만 664억원의 매출을 달성,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1.3%나 증가했다. 올해 제주항공은 매출 1500억원을 내다보고 있다. 제주항공의 성공스토리는 바다 건너 일본에서도 화제였다. 지난 6월 일본 방송국인 NHK를 비롯해 후지TV 등 일본 주요 언론 매체들이 앞다퉈 제주항공을 취재해갔다. LCC가 없는 일본에서 제주항공의 성공은 벤치마킹 모델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요즘 사업이 본궤도에 진입했다는 평가를 듣고 있는 제주항공이지만 사업추진은 결코 순탄치 않았다. 취항 직후 국제유가가 급등하면서 취항 초기부터 사업은 난관에 부딪쳤다. 여기에 선발업체들의 견제도 심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제주항공의 대항마로 잇따라 진에어, 에어부산을 설립했다. 가장 큰 고비는 2007년이었다. 미국발 금융위기와 함께 신종인플루엔자가 돌면서 여행 수요가 급감했기 때문. 

하지만 저렴한 운임과 다양한 상품개발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85~90%대의 높은 탑승률을 기록하면서 불황을 정면 돌파했다. 여기에 힘입어 2008년 7월부터 국제선 취항을 시작했다. 현재 일본과 태국 등 2개국 4개 도시에 모두 5개의 국제선 정기노선을 개설했다. 

제주항공의 성공비결은 단연 저렴한 항공 운임이다. 현재 회사는 기존 항공사의 70~80% 수준(국내선 기준)으로 운임을 책정하고 있다. 가격으로만 승부했다면 오히려 대형 항공사의 저가 비행기에 밀렸을 가능성이 높다. 제주항공은 안전에 더 신경을 썼다. 저가항공이라는 인식 때문에 생기는 승객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대형 항공사와 똑같은 안전성을 갖추려고 지속적으로 투자했다. 그 결과 취항 만 3년 만에 안전운항시스템을 독자적으로 구축했다. 제주항공의 안전운항시스템은 지난해 4월 전 세계 230개 항공사가 회원으로 참여하는 국제민간항공운송협회(IATA)로부터 IOSA(IATA Operation Safety Audit) 인증을 받았다. 

제주항공에 올해는 성장 원년이다. 안용찬 애경그룹 생활·항공 부문 부회장은 매일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르면 올해 하반기를 시작으로 내년에 연간 기준으로 영업이익 실현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안 부회장은 “제주항공의 성장과 발전에 모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올해 말까지 200억~300억원 규모의 증자를 실시해 자본금 규모를 800억원에서 1000억~1100억원 수준으로 늘려 튼실한 재무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올 하반기 공격적인 경영방침도 세웠다. 현재 5대를 운용하는 항공기를 2대 추가로 늘리고 국제 항공선도 증편할 예정이다. 오는 10월 말 인천-마닐라, 인천-홍콩, 부산-세부 등 신규 노선을 취항할 계획이다. 

[김충일 기자 loyalkim@mk.co.kr]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