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day, November 22, 2010

foot pain

Comfortable shoes because of foot pain to prefer yujingyeong (34) seeds. Enjoy trendy flats now sinjiman foot pain remains. There's a lot of toe pain, especially hospitals, the results found, yussineun 'sogeonmakryu' received a diagnosis.

Sogeonmakryuneun toe in hallux Unlike baking, the roots of toe joints, the friction between the outer and projected as the shoe is a disease that continues to occur.

Lateral toe shoes as well as contact with the toe because the contact area is a protruding red changing phenomenon can be seen.

In most cases, this is a temporary jeungsangman, but inherent in the toe shape, longer than their feet or more, or longer if you wear tight shoes can lead sogeonmakryuro.

Sogeonmakryuneun sprung toe to be associated with hallux is most common in patients with the feet wide. The most important causes of congenital foot shape as well as acquired factors such as the habit of wearing shoes can be counted.

Sitting with legs crossed, especially as our country is a lifestyle more sogeonmakryuga occur. Nonsurgical treatment sogeonmakryuui largely divided into therapy and surgical therapy can be seen.

However, non-surgical therapy using a large shoe insole singeona just going to be treated as the ultimate negative symptoms, there is a limit to eliminate. Therefore, surgical treatment is essential to treat the doubts of experts that are needed.

There are several ways sogeonmakryuui surge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protruding bone resection or hallux on the same principles to return to cutting the bone, there exists a method that resection of the protruding parts hushed has the disadvantage of likely recurrence.

To compensate for these weaknesses are being implemented new surgical repair of the osteotomy is 'right'. Osteotomy for correction of 1 ~ 2cm around the upper part of the toe joints with minimal incision site simply by pushing them into therapy because it may be the ultimate. In addition, the effect of reducing many feet you can see the mob.

Metal objects such as screws or pins in the operative site permanently resulting in negative feelings do not go, nor how much time you're out after a little toe when pinman is simply removed from the foreign.

More importantly, what lifestyle changes will prevent the sogeonmakryureul. To do this, your feet, ignoring the state should not be hanging from excessive walking or jogging. Ignoring the size of the foot to continue to wear narrow shoes habits should be discarded.

※ Help = simdongsik Division (Foot Center, Yonsei Sarang Hospital)










새끼발가락도 위험하다
기사입력 2010.09.03 15:40:50  
발의 통증 때문에 편한 신발을 선호한다는 유진경(34세)씨. 요즘 유행인 플랫슈즈를 즐겨 신지만 발의 통증은 여전하다. 특히 새끼발가락의 통증이 심해 병원을 찾은 결과, 유씨는 ‘소건막류’라는 진단을 받았다.

소건막류는 엄지발가락이 안으로 굽는 무지외반증과 달리, 새끼발가락의 뿌리 관절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면서 신발과의 마찰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새끼발가락 외측 부위는 엄지발가락과 마찬가지로 신발과 접촉되기 때문에 접촉부위가 돌출되고 빨갛게 변하는 현상을 종종 볼 수 있다.

이처럼 일시적인 증상만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선천적으로 새끼발가락 모양에 이상이 있거나 장기간 자신의 발 폭보다 좁은 신발을 신는 경우에는 소건막류로 발전할 수 있다.

소건막류는 엄지발가락이 튀어나오는 무지외반증과 동반된 경우가 대부분이고 발 폭이 넓은 환자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는 발의 선천적 모양뿐 아니라 신발을 신는 습관 같은 후천적 요인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책상다리로 앉는 생활습관을 가진 경우 소건막류가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소건막류의 치료법은 크게 비수술적 요법과 수술적 요법으로 나눠 볼 수 있다.

그러나 비수술적 요법은 큰 신발을 신거나 깔창을 이용하는 등의 소극적인 치료에 불과해 궁극적인 증상을 없애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소건막류의 수술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정도에 따라 튀어나온 뼈만을 절제하거나 무지외반증과 같은 원리로 뼈를 절골하여 돌려주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튀어나온 부위만을 절제하는 것에 그쳐 재발 확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약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새롭게 시행되고 있는 수술이 바로 `절골 교정술`이다. 절골 교정술은 1~2cm 정도의 최소절개를 통해 관절 윗부분에서 새끼발가락 부위를 간단하게 안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궁극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 또한 발 폭도 많이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수술 부위 안에 나사나 핀과 같은 금속물이 영구히 들어가지 않아 이로 인한 거부감도 없으며,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새끼발가락 밖에 나와 있는 핀만 외래에서 간단히 제거하면 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생활습관 변화를 통해 소건막류를 예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본인의 발 상태를 무시한 채로 무리한 걷기나 조깅에 매달려서는 안 된다. 발의 크기를 무시한 채 좁은 신발을 계속해서 신는 습관도 버려야 한다.

※도움말=심동식 과장(연세사랑병원 족부센터)

[이상미 MK헬스 기자 lsmclick@mkhealth.co.kr]

[ⓒ 매일경제 & mk.co.kr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