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November 4, 2010

무좀 athlete

무좀 athlete 
(Athlete)
-------------------------------------------------- ------------------------------
  
■ Overview: Athlete of the horny layer of the skin, hair, fingernails, toenails and dead skin cells only attack the organization, the disease caused by parasitic cure skin (dermatophytes) by a superficial fungal molds (Note: The skin on the outside of the means occurring fungal) infections is.
Certificate cure ringworm of the skin head, face and the body itch, wanseon (tinea cruris), ringworm sujokbu, jogap itch (tinea unguium), etc. Divide. Athlete's foot (ringworm sujokbu) is the most common form of pibusasanggyunjeung jiganhyeong (Note: between fingers and toes), gwagakhwahyeong (Note: The changes being thicker keratin) such divides.
Select the correct diagnosis of drug therapy, lesions of the state, and range of infection sites, two primary bacterial infection, and other resistance (Note: do not listen well to drug therapy characteristics) the emergence of fungi, the patient's health status and other factors determined by is.
Topical liniment (Note: The topical drug) use of the lesions as well as the surrounding areas, including the top must be applied. Are taking the antifungal sonbaltop head itch and ringworm, the infection is too extensive area of the liniment or when topical treatment fails to cure chronic skin can be used in the certificate.
Most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side effects of low dopoyong antifungal topical treatment alone and geodulsu satisfactory because of possible abuse of oral antifungal should not be.
People, animals, soil, and removal of infected cattle, including disinfection is important, even one of them causes the body to the chronic over-friendly or block the spread of fungal elements woninjeok be removed, and the most humid conditions baekseongyun proliferation, so it is possible that maintaining a dry state.

■ synonyms:
Pibusasanggyunjeung (dermatophytosis), ringworm (tinea)
■ Chung's:
Skin mycosis (dermatomycosis) skin disease caused by a fungus from all the big malyimyeo simjaeseong mycosis superficial mycosis and divide. Athlete of the horny layer of the skin, hair, fingernails, toenails and dead skin cells only attack the organization, and parasitic diseases that cause the skin to cure (dermatophyte) a typical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caused by fungi, the most common skin disease is one.
Athlete's foot during the term of the skin caused sasanggyunjeung Foot itch (tinea pedis) and mechanical insect caused the head to head itch (tinea capitis) and, in part caused the body sobeojimeun chegan itch (tinea corporis) and ilkeotneunde, ultimately cure skin diseases in both the scope of the certificate belongs to the same.
■ Symptoms:
The skin to cure skin lesions caused by these attacks on body parts because they represent a unique skin, skin symptoms, itch cure certificate the head, face and the body itch, wanseon (tinea cruris), ringworm sujokbu, jogap itch (tinea unguium) and as a divide.

1. Sujokbu itch (tinea manuum & tinea pedis)

The most common form of skin sasanggyunjeung commonly known as athlete's foot. Jiganhyeong Athlete's foot (interdigital type), sosupohyeong (vesicular type), gwagakhwahyeong (hyperkeratotic type) divided into inter-type most common in hot and humid summer byeonghyeong the toes, fingers between the skin cells that occur or crack This fault appears to be out jimyeo jitmureuge will stink.
You have small blisters on his feet sosupo one or several dogs raised together and teotteurimyeon filled with clear yellow liquid, and when the reddish-brown or represent a ticket can be transformed into keratin. In the most acute itching simhana sosupo type and response to treatment is very good, while almost no itching gwagakhwahyeongeseoneun chronic, often refractory adults. However, this is clearly a difficult time byeonghyeong many different byeonghyeong complex appears to be common.

  
Primarily as an athlete appears on the palm or the back of the hand sosupo brother and brother has a lot of abandonment. Usually occurs after jokbaekseone athlete is not so elsewhere, such as athlete's foot lesions on the palm of your hand even though you gave me to look at the other pibujilhwaneu. <上 - gakhwahyeong, 下 - sosupohyeong "
  
Between your toes in the water as the fire is heoyeotge. If you rip the skin revealed a dense, red flesh and the skin is dry branches jimyeonseo are two ways. Symptoms include severe itching stinky smells.
  
Feet, toes on the size of a grain of rice to form small blisters. In vain did the yellow jeomaekseong serum 2 've said this after the ticket is created or dry gangrene that will burst. When creating smoke that is itching.
  
Feet thick, the entire abandonment doemyeonseo tiny feet do not have dandruff kkimyeo increasingly are split.Almost no itching.
2. Wanseon (tinea cruris)

This byeonghyeong the groin, genital skin cure to occur around the certificate is unknown how long the resulting doeeotneunjineun was wrong, but the majority of patients with eczema corticosteroid hormones, a lot of abuse when the lesions to heal, but rather a chronic case hwahaneun can often be observed.
The appearance of lesions such as eczema can occur, but obviously wanseon cure skin infections are caused by. Lesions covered with dead skin cells to start with erythema around the edge of logic and look around I see is more than a bump.
Many young men are raised to the perineum, femoral internal, eummobu, anus and buttocks, and often symmetrically raised from peojilsu one example of the scrotum and penis are extremely rare in the skin occurs.

  
Red papules, forming plate. Doemyeonseo heal the increasingly dark brown center edition. Dandruff.Primarily spread balmujomeseo
3. Jogap itch Occur in the skin, fingernails and toenails cure ringworm lesions sujokbu certificate from the most chronic disease is the gradual transition. Chimbeomdoen parts are missing hwangbaek glossy colors byeonhamyeo jimyeo surface irregularities become thickened nails, claws of the terminal area is characterized by being easily fragile.

  
The skin under your hands, claw keratin proliferation of nail polish to lose the guest of jimyeo, the surface becomes uneven, the ends of the nails are fragile. Infections of the nails in the first one but over time the whole of the hands, claws are infected. It happens a lot of nails rather than claws.
  
Shown similar symptoms, but jogap jogap itch itch, as opposed to a lot of nails rather than claws occurs.
 
  
  
Jogapha jogap geunwiseong mycosis (Proximal subungal onychomycosis): Chronic Hand in hand, claw, claws yapahjim surrounding tissue. Geochileojim surface. (Mostly the thumb claw)
  
Khandi Castle jogap mycosis (Cadida paronychia): First, claw hand, causing chronic inflammation in the surrounding tissue, gradually spread throughout. Erythema, swelling, pain. Agricultural emissions, hobal nails. (Mostly stop)
4. The body and face itch This happens early in the keratin raised red spots and spread to the periphery while the periphery is characterized by a sharp little bumps.

  
The painting was called often swell neck, arms, legs, torso area the size of a coin in a single or multiple lesions 윤상 happens. On the edge of lesions, and dandruff, papules and sosupo rises into the circle to draw.Sometimes, in the center of the lesion appears when new lesions can draw concentric circles.
  
Painting sores, papular lesions 윤상 the size of a coin. Sosupo, dandruff, bump into
  
Recent variations seuteroyideuje abuse and clinical symptoms vary with lesion appearance.
5. Head itch

Byeonghyeong hair to occur, the half circle of gray hair keratin occurs in areas chimbeomdoen exhibit symptoms of hair loss, breaks out. Lately, often accompanied by severe inflammation is. Most of the hakdonggi age for children and adults is very rare to frequent.

  
Clear boundaries, dandruff, hair loss Linda. _ Has symptoms of dead bacteria, but avoiding contact with people using shampoos containing _Ketoconazole
■ Cause / pathophysiology:
Woningyunin in the world of athlete's foot cure skin strains are widely distributed, but some strains have only a limited observation area will be IDENTIFIED. Therefor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skin cure the geographical, climatic, or cultural requirements,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local and social customs, hygiene, life changes, such as the economic level, and frequent exchanges with foreign countries, trade, immigration and population movements due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in the same area.
Self-antigens or virulence of the skin, as well as cure, temperature, humidity, hygiene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and host immune status or their skin to cure the patient's immunological response, depending on the symptoms appear differently. Therefore, hospital sex strong presence in this high-density to cure skin frequently exposed to the environment even if all the people exposed are not necessarily infected.
Itch sujokbu the public baths, swimming pools, etc. where people are crowded baldakgae, apart from God or from the floor or when the patient will be infected through skin cells. Wanseon the temperature, humidity, sweating, obesity, with the mechanical friction in closer and is an important factor, diabetes, leukemia, adrenal cortex hormones and by the long-term chronic abuse can continue.
■ Jean-only:
Skin lesions and woodeudeung (Wood light) examination, gwasanhwakalryumaek (KOH) can be diagnosed as Microscopy direct smear examination or skin biopsy and fungal culture are also available. Direct KOH smear screening test of all superficial fungal infection is the underlying Microscopy.
■ Complications:
Streptococcus (streptococci), Staphylococcus (staphylococci) and bacteria can not be the path of the intrusion of the phlegmon (cellulitis: a kind of bacterial infection of the skin) may occur. Gram eumseonggyun rare, especially Pseudomonas aeruginosa (pseudomonas) infection may also occur.
■ cure:
Even with a powerful sterilizer for mujomgyun cream should not ignore even the basic principles of treatment can be effective, rather than the cause of the lesion is often worse. The choice of drug therapy based on the following factors to determine the effect can be achieved.


An accurate diagnosis Cure the symptoms of skin and other skin diseases may have similar appearance of the skin lesions alone is often difficult to diagnose. The lesions of ringworm sujokbu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rritant contact dermatitis, hanpojin, nongposeong psoriasis, sujangjokjeo gakhwajeung, segyunjin, maedokjin fleet nongpijeung, arsenic gakhwajeung, nongpijeung, similar breakthrough, because such attention at diagnosis is required.

Lesions of the state Acidosis is a big blister cure skin gangrene occurring acute flowing brother, the skin and silvery white duteopge abandonment of the keratin is dried deopyigo crack formation can be divided into a chronic type. In the acute type of preparation to yongaekhyeong, yeongohyeong preparation for the chronic type is selected.

Infected areas and ranges Applying the drugs to infected areas or difficult areas, and extensive preparation to take the jeonsinyong is better.

2nd infection Teleconference of the skin cracks and erosion-type athlete's foot (Note: The skin will fall due to inflammation of the outer layer), the common, primarily because these two are exposed throughout the area will be invaded by bacteria. At this point the 2nd treatment for bacterial infection must be followed, or the combination of a simple dose of antifungal own phlegmon, rimpeugwanyeom severe complications, such as is thrown.
The emergence of other resistant fungi, the patient's health status must be determined by such factors.

Guksohyeong antifungal
The horny layer of the skin and cure skin oecheukin cause disease, because the only break of the topical antifungal coating alone most of the skin a natural cure is being treated well certificate. Therefore, the general treatment of superficial skin mycosis is primarily one of guksohyeong antifungal is administered to the principles.
Article 2 of the cream before World War II include benzoic acid, salicylic acid and a weak acid, gentian violet, Castellani's paint, such as phenolic dye, White field Ointment (6% benzoic acid & 3% salicylic acid), thymol, resorcin, sodium hydroochloride, iodine, ammoniated mercury and was used, these medications for fungal skin disinfection or jeonggyun than work to cure the disease restricted to the horny layer caused by a constellation in the horny layer of this idea taking off in terms of treatment effect using soluble keratin has been. In addition to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se two drugs, however, primarily because it causes irritation and contact dermatitis in recent years do not use them alone.
Undecylenic acid, tolnaftate, 2.5% selenium sulfide, nystatin (mycostatin) polyene antibiotics and Revelation have a great effect on certain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and are currently being used sometimes. However, each of these drugs cure the skin, jeonpunggyun, yeast and antifungi represents only one branch has its drawbacks.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most recently in fungi and some bacteria, even with a wide range of antifungi we began the development of antifungal drugs. And as the corresponding drug haloprogin, imidazole derivatives, sodium pyrithione, ciclopirox, allylamines include.
The many types of dual-imidazole derivatives have also been used frequently at this time the drug belongs miconazole, clotrimazole, econazole, sulconazole, tioconazole, isoconazole, ketoconazole, bifonazole and more.They do not have a big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antifungal yakjegan sasanggyunjeung skin must be selected based on differences in individual patients
The use of topical liniment lesions as well as the surrounding areas, including the top should be applied, and scalp ointment, rather than copy the gel (gel) yongaekhyeong preparation to use or recommend. The severe acute inflammation must be accompanied by a geupseonghyeong mycosis aluminum acetate, potassium permanganate, etc. every 15-20 minutes 3-4 times a lesion to dry packing solution phase-type solid preparation, starting with zero Starting to change therapy must be a solid gwagakhwahyeong of chronic athlete's foot antifungal skin's keratin in the keratin beotgyeonae mixed solvent is effective to use.
Systemic antifungal

Absolute indications include itch and Head itch is sonbaltop. Consists of a special keratin hair or sonbaltop because topical medications applied to fungal entry alone may not be possible to reach a jeonsinjeok dose is preferable. Relative indications include infection is too extensive area of the liniment or when topical treatment fails to cure chronic skin can be used in the certificate.
Representing the majority of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is still a life-threatening fungal infection of the deadly disease, certainly not enough. That is the purpose of treatment of diseas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s not an overstatement to say.
Most superficial fungal infections side effects of low dopoyong antifungal topical treatment alone and geodulsu satisfactory because of possible abuse of oral antifungal should not be. Especially given the long-term costs, such as mycosis jogap the fingernail, toenail mycosis trying to fix a fatal liver and kidney damage caused must be careful to avoid even more.
The patient also suffered from other internal diseases, diseases due to any of the other drugs you are taking, drug interactions caused by the unexpected does not have serious side effects, according to the dosing instructions of a specialist is recommended.
Griseofulvine in 1930, developed a relatively safe drug to cure the skin high on the quality certificate to show the effect has been used until today. However, the patients who should not be used gwanggwaminseongyi skin other than mycosis cure that does not work at all.
These shortcomings as a supplement to the extensive antifungal drug ketoconazole has got power to cure the skin, including the certificate is being used in various mycosis. However, this drug could make a rare, but sometimes gandok can cause severe liver disease. Therefore, when using this drug always follow the instructions of the doctor it is safe to use.
Recently, itraconazole, fluconazole, terbinafine and a relatively strong effects of medications, fewer side effects, etc. are widely used.

■ Prevention:
People, animals, soil, and removal of infected cattle, including disinfection is important, and passed them on to someone that causes chronic human affinity to block the spread of fungal or remove jueoah woninjeok elements, and the most humid baekseongyun growth conditions, so it is possible that maintaining a dry state.
If you itch, and jogap baekseonin sujokbu public baths, swimming pools, etc. where people are crowded baldakgae, shoes, or on the floor, away from the patient from becoming infected with bacteria containing keratin, or when it is absorbed and well-ventilated shoes well sindorok socks and shoes while using several pairs of alternating dry conditions is recommended to keep the skin of patients with cure certificate shoes, towels, socks, and should not be mixed.
Which occurs in the groin wanseon humid climatic conditions, heavy sweating, obesity, and the friction factor is closer abroad with diabetes, leukemia, adrenal cortex hormones by the abuse can continue as a chronic, the inspection and treatment and it is recommended not to wear tight clothes. Head itch and Facial itch is an infection from a cat, so woningyunin many cases, cleaning up around the suspected animal, or a comb, a towel to avoid such a mix.
■ a doctor you might want to:
The first diagnosis cure all skin is the most important certificate. Therefore, for accurate diagnosis must be direct KOH smear examination should be conducted mujomgyun must be verified after the treatment started.The claw of the mujomin sonbaltop is not a better athlete than this because the wrong diagnosis if you do not need to take medication long term occurs. So just do not think the professional athlete of the first to receive recommended care
  



(무좀)

■ 개 요 :
무좀은 피부의 각질층, 모발, 손톱, 발톱 등의 각질 조직에만 침입, 기생하여 질병을 유발하는 피부 사상균(dermatophytes)이라는 곰팡이에 의한 표재성 진균(주: 피부 가장 바깥부분에 생기는 곰팡이균이라는 의미) 감염증입니다.
피부 사상균증은 두부 백선, 안면 및 체부 백선, 완선(tinea cruris), 수족부 백선, 조갑 백선(tinea unguium) 등으로 나눕니다. 무좀(수족부 백선)은 피부사상균증 중 가장 흔한 형태이며 지간형(주: 손가락, 발가락 사이), 과각화형(주: 각질이 두꺼워지는 변화) 등으로 나눕니다.
치료 약제의 선택은 정확한 진단, 병변의 상태, 감염 부위 및 범위, 2차 세균 감염, 기타 내성(주:약물치료에 잘 듣지 않는 성질) 진균의 출현, 환자의 건강상태 등의 요인에 의해 결정해야 합니다.
국소 도포제(주: 바르는 약)의 사용 방법은 병변 부위뿐 아니라 주변 정상 부위를 포함하여 도포해야 합니다. 복용하는 항진균제는 손발톱 백선 및 두부 백선, 감염 부위가 너무 광범위한 때나 국소 도포제의 치료에 실패한 만성 피부 사상균증의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표재성 진균 감염증은 부작용이 적은 국소 도포용 항진균제만으로도 만족할 만한 치료 효과를 거둘수 있으므로 가급적 경구용 항진균제를 남용해서는 안 됩니다.
사람, 동물, 토양 등 감염소의 제거, 소독 등이 중요한데, 그중에서도 사람에게 만성적 경과를 야기하는 인체 친화성 진균의 전파 경로를 차단하거나 원인적 요소를 제거해 주어야 하며, 대부분의 백선균은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증식하므로, 가급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동의어 :
피부사상균증(dermatophytosis), 백선(tinea)
■ 정 의 :
피부 진균증(dermatomycosis)은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질환을 모두 이르는 말이며 크게 표재성 진균증과 심재성 진균증으로 나눕니다. 무좀은 피부의 각질층, 모발, 손톱, 발톱 등의 각질 조직에만 침입, 기생하여 질병을 유발하는 피부 사상균(dermatophyte)이라는 곰팡이에 의한 대표적인 표재성 진균 감염증으로, 가장 흔한 피부 질환 중의 하나입니다.
무좀이란 용어는 피부 사상균증 중 발에 생기는 족부 백선(tinea pedis)을, 기계충은 머리에 생기는 두부 백선(tinea capitis)을, 소버짐은 체간부에 생기는 체부 백선(tinea corporis)을 일컫는데, 궁극적으로 모두 피부 사상균증이라는 동일한 질환의 범위에 속합니다.
■ 증 상 :
피부 사상균이 침입하여 피부 병변을 유발한 신체 부위에 따라 독특한 피부 증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피부 사상균증은 두부 백선, 안면 및 체부 백선, 완선(tinea cruris), 수족부 백선, 조갑 백선(tinea unguium) 등의 형태로 나눕니다.
1. 수족부 백선(tinea manuum & tinea pedis) 
피부 사상균증 중 가장 흔한 형태로 흔히 무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무좀은 지간형(interdigital type), 소수포형(vesicular type), 과각화형(hyperkeratotic type)으로 나눌수 있는데 지간형은 고온 다습한 여름에 가장 흔히 발생하는 병형으로 발가락, 손가락 사이에 각질이 일어나거나 균열이 나타나고 허물이 벗어지며 짓무르게 되고 악취가 납니다.
소수포형은 발바닥에 작은 물집이 하나 혹은 여러 개가 모여서 발생하고 터뜨리면 맑은 황색 액체로 가득 차 있으며 진행되면 적갈색 딱지를 나타내거나 각질로 변화됩니다. 소수포형에서는 가려움증이 심하나 대부분 급성이며 치료에 대한 반응이 매우 좋은 반면 과각화형에서는 가려움증이 거의 없으며 만성, 난치성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런 병형은 명확하게 구분이 어려운 때가 많으며 여러 병형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흔합니다.
주로 손바닥이나 손등에 나타나는 무좀으로서 소수포형과 각화형이 많습니다. 대개 족백선에 이어 발생하므로 다른 곳에 무좀이 없는데도 손바닥에 무좀과 같은 병변이 생겼을 때는 다른 피부질환으 로 보아야 합니다. <上-각화형, 下-소수포형>
발가락 사이가 물에 불은 것처럼 허옇게 됩니다. 피부가 벗겨진후 붉게 살이 드러나는 경우와 피부가 건조해 지면서 갈라지는 경우 두가지가 있습니다. 악취가 나고 심한 가려움 증상이 있습니다.
발바닥, 발가락에 쌀알 크기의 작은 수포를 형성합니다. 수포내에는 노란색의 점액성 장액이 들어차는데 후에 이것이 마르면서 딱지를 만들거나 터져서 진물이 납니다. 수포를 만들때 가려움증이 있습니다.
발바닥 전체가 두껍게 각화되면서 미세한 비듬이 끼며 점점 말라 발바닥이 갈라집니다. 가려움증은 거의 없습니다.
2. 완선(tinea cruris) 
이 병형은 사타구니, 음부 주위에 발생하는 피부 사상균증인데 언제부터 유래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대부분 환자들이 습진으로 잘못 생각하여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남용하는 경우가 많아 병변이 치유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만성화하는 경우를 흔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병변의 모양이 습진처럼 나타날 수는 있으나 완선은 분명히 피부사상균에 의한 감염증입니다. 병변은 각질이 덮인 홍반으로 시작하여 주위로 퍼지면서 가장자리는 주변보다 융기되어 있는 모양을 보입니다.
대부분 젊은 남자에게 발생하고 회음부, 대퇴내부, 음모부, 항문 및 둔부까지 퍼질수 있으며 흔히 대칭적으로 발생하나 음낭과 음경피부에 발생하는 예는 극히 드뭅니다.
붉은 구진, 판 형성. 판의 중심부는 점점 치유되면서 암갈색. 비듬. 주로 발무좀에서 전염
3. 조갑 백선 
손톱 및 발톱에 발생하는 피부 사상균증으로 대부분 만성 수족부 백선의 병변으로부터 서서히 이행하여 발병합니다. 침범된 부위는 황백색으로 변하며 광택이 소실되고 두꺼워지며 표면은 불규칙해지고 손톱, 발톱의 말단 부위가 쉽게 부스러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손·발톱밑에 있는 피부조직의각질이 증식하여 손톱이 광택을 잃고 두터워지며, 표면은 울퉁불퉁해지고, 손톱의 끝부분이 부스러집니다. 처음에는 하나의 손톱에 감염되나 시간이 경과하면 손·발톱의 전부가 감염됩니다. 손톱보다는 발톱에 많이 일어납니다.
조갑백선과 비슷한 증세를 나타내지만 조갑백선과는 반대로 발톱보다는 손톱에 많이 일어납니다.
 
근위성 조갑하 조갑진균증(Proximal subungal onychomycosis) : 손·발톱 주위조직에 만성 손·발톱 얇아짐. 표면 거칠어짐.(주로 엄지발톱)
칸디다성 조갑진균증(Cadida paronychia) : 먼저 손·발톱 주위조직에 만성 염증 초래, 점차 전체로 퍼짐.홍반,부종,통증. 농 배출, 손톱에 호발. (주로 중지)
4. 체부 및 안면 백선 
초기에는 각질이 일어나는 붉은 반점이 발생하며 주변부로 퍼져나가면서 주변부는 뚜렷하고 다소 융기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흔히 도장부스럼이라고 불리우는 것으로 목,팔·다리, 몸통부위에 동전크기의 윤상병소가 하나 혹은 여러개 생깁니다. 병변의 가장자리는 구진과 소수포와 비듬들로 융기된 원을 그립니다. 때로 병변의 중앙부에 새로운 병변이 동심원을 그리며 나타날 때도 있습니다.
도장부스럼, 동전크기 윤상 병소 구진. 소수포, 비듬으로 융기
최근 스테로이드제 남용등으로 병변모양 변형으로 임상증상 다양.
5. 두부 백선 
모발에 발생하는 병형으로, 원형의 회색반이 각질이 일어나며 침범된 부위의 털이 끊어지거나 빠져 탈모 증상을 보입니다. 최근엔 심한 염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 학동기 연령의 소아에게 빈번히 발생하며 성인에게는 매우 드뭅니다.
경계 분명, 비듬, 머리카락 윤택소실. 끊어짐 _증상 없으나 균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함 _Ketoconazole함유 샴푸 사용
■ 원인/병태생리 :
무좀의 원인균인 피부 사상균은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균종도 있으나 일부 균종은 특정된 지역에서만 국한되어 관찰됩니다. 따라서 피부 사상균의 분포 양상은 지리적, 기후적, 또는 문화적 요건에 따라 지역간에 뚜렷한 차이가 있으며, 사회적 관습, 위생 관념, 생활 경제적 수준 등의 변화와 외국과의 빈번한 교류, 교역, 이민 등에 의한 인구 이동에 따라 동일 지역에서도 시대적으로 변화합니다.
피부 사상균 자체의 항원이나 병원성뿐 아니라, 온도, 습도, 위생 상태 등의 환경적 요인 및 숙주 자신의 면역 상태나 피부 사상균에 대한 환자의 면역학적 반응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병원성이 강한 피부사상균이 고밀도로 존재하는 환경에 빈번히 노출될지라도 노출된 모든 사람이 반드시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수족부 백선은 공동목욕탕, 수영장 등 사람이 군집하는 곳의 발닦개, 신 또는 마룻바닥에 환자로부터 떨어져 나온 때나 각질을 통하여 감염됩니다. 완선은 고온, 다습, 발한, 비만증, 밀착된 내의와의 기계적 마찰 등이 중요한 요인이며, 당뇨병, 백혈병, 부신피질 호르몬제의 남용 등에 의해서도 장기간 만성적으로 지속될 수 있습니다.
■ 진 단 :
피부 병변과 우드등(Wood light) 검사, 과산화칼륨액(KOH) 직접도말 검사법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진균 배양 검사나 피부 조직 검사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KOH 직접도말 검사법은 모든 표재성 진균 감염증의 기본이 되는 검사법입니다.
■ 합병증 :
연쇄상구균(streptococci), 포도상구균(staphylococci) 등 세균의 침입경로가 될 수 있으므로 하지의 봉소염(cellulitis:피부의 세균성감염의 일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 그람 음성균, 특히 녹농균(pseudomonas)에 의한 감염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치 료 :
무좀균에 대해 아무리 강력한 살균력을 갖는 무좀약일지라도 기본적인 치료 원칙을 무시해서는 효과가 없을 수 있고, 오히려 병변의 악화를 초래할 때가 많습니다. 치료 약제의 선택은 다음의 요인에 따라 결정해야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1. 정확한 진단
    피부사상균증의 증상은 다른 피부질환과 비슷하게 나타날 수 있어 피부병변의 모양만으로는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수족부 백선의 병변은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자극성 접촉 피부염, 한포진, 농포성 건선, 수장족저 각화증, 세균진, 매독진, 선단 농피증, 비소 각화증, 농피증, 약진 등과 흡사하기 때문에 진단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2. 병변의 상태
    피부사상균증은 크게 물집이 생기고 진물이 흐르는 급성형과, 피부가 두텁게 각화되며 은백색의 각질이 덮이고 건조되어 균열이 형성되는 만성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급성형에서는 되도록 용액형 제제를, 만성형에서는 연고형 제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3. 감염 부위 및 범위
    감염부위가 약을 바르기가 어려운 부위이거나, 광범위한 경우에는 전신용 제제를 복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4. 2차 세균 감염
    지간형의 무좀은 피부의 균열이나 미란(주:피부외층이 염증 등으로 상하는 것)이 흔하기 때문에 이런 노출된 부위를 통하여 2차적으로 세균이 침입하게 됩니다. 이때는 2차 세균 감염에 대한 치료가 반드시 선행 또는 병행되어야 하며 단순한 항진균제만의 투여는 봉소염, 림프관염 등의 심한 합병증을 발생시키게 합니다.
기타 내성 진균의 출현, 환자의 건강상태 등의 요인에 의해 결정해야 합니다.
국소형 항진균제
피부 사상균은 피부의 가장 외측인 각질층만을 침입하여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에 항진균제의 국소 도포만으로도 대부분의 피부 사상균증이 잘 치료되는 것은 당연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표재성 피부 진균증의 치료에는 1차적으로 국소형 항진균제를 투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무좀약으로는 benzoic acid, salicylic acid와 같은 약산, gentian violet, Castellani's paint와 같은 phenolic dye, White field 연고(6% benzoic acid & 3% salicylic acid), thymol, resorcin, sodium hydroochloride, iodine, ammoniated mercury등이 사용되었는데, 이들 약물은 진균에 대한 살균 또는 정균 작용보다는 피부 사상균이 각질층에만 국한되어 질병을 유발하는 성상에 착안하여 각질층을 벗겨내어 치료하는 각질 용해 작용의 측면에서 이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이들 약물은 치료효과 외에 2차적으로 자극성 접촉 피부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근래에는 이들 단독으로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Undecylenic acid, tolnaftate, 2.5% selenium sulfide, nystatin(mycostatin) polyene계 항생제 등이 있어 특정한 표재성 진균 감염증에 효과가 우수하여 현재도 가끔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약물은 각각 피부 사상균, 전풍균, 효모균 등 어느 한 가지에만 항균력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근래 대부분의 진균 및 일부 세균에까지도 항균력을 갖는 광범위 항진균성 약제들이 개발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해당하는 약제들로서 haloprogin, imidazole 유도체, sodium pyrithione, ciclopirox, allylamines 등이 있습니다.
이중 imidazole 유도체의 종류가 가장 많고 또 흔히 쓰이고 있는데 이에 속하는 약제로서는 miconazole, clotrimazole, econazole, sulconazole, tioconazole, isoconazole, ketoconazole, bifonazole 등이 있습니다. 이들 약제간 항진균력에는 커다란 차이가 없어 피부 사상균증 환자 개개인의 차이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국소 도포제의 사용 방법은 병변 부위뿐 아니라 주변 정상 부위를 포함하여 도포해야 하고, 두피부에는 연고보다는 젤(gel) 또는 용액형 제제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중증의 급성 염증이 동반된 급성형 진균증에는 반드시 aluminum acetate, potassium permanganate등으로 매일 15~20분간 3~4회 습포하여 병소를 건조시킨 다음 용액형의 제제부터 시작해서 단계적으로 고형제로 바꿔 가면서 치료해야 하며, 과각화형 만성 무좀에는 고형의 항진균제에 피부의 각질을 벗겨내는 각질 용해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전신성 항진균제 
절대적 적응증으로는 손발톱 백선 및 두부백선이 있습니다. 모발이나 손발톱은 특수한 각질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국소적 도포만으로는 침입한 진균까지 약물이 도달하지 못하여 전신적 투여가 바람직합니다. 상대적인 적응증으로는 감염 부위가 너무 광범위한 때나 국소도포제의 치료에 실패한 만성 피부 사상균증의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진균 감염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표재성 진균감염증은 아직까지는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치명적인 질환은 분명 아닙니다. 즉 이 질환의 치료 목적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대부분의 표재성 진균 감염증은 부작용이 적은 국소 도포용 항진균제만으로도 만족할만한 치료 효과를 거둘수 있으므로 가급적 경구용 항진균제를 남용해서는 안 됩니다. 특히 조갑 진균증과 같이 장기적 투여를 요하는 경우에는 손톱, 발톱 진균증을 고치려다 치명적인 간, 신장의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내적 질환을 앓고있는 환자나, 어떤 질병으로 인해 다른 약제들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 약물상호작용에 의해 예기치 않은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투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Griseofulvine은 1930년대에 개발된 약제로 비교적 안전성이 높고 피부 사상균증에 우수한 효과를 보여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광과민성이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해서는 안 되며, 피부 사상균 외의 다른 진균증에는 전혀 효과가 없습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한 약제가 ketoconazole로서 광범위한 항진균력을 갖고 있어 피부사상균증을 비롯한 각종 진균증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약제도 드물기는 하지만 간독성이 있어 때로는 중한 간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약제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최근엔 itraconazole, fluconazole, terbinafine 등의 약물들이 비교적 강력한 효과, 적은 부작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예방법 :
사람, 동물, 토양 등 감염소의 제거, 소독 등이 중요하며, 그중에서도 사람에게 만성적 경과를 야기하는 인체 친화성 진균의 전파 경로를 차단하거나 원인적 요소를 제거해 주어아 하며, 대부분의 백선균은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증식하므로, 가급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수족부 백선 및 조갑 백선인 경우 공동목욕탕, 수영장 등 사람이 군집하는 곳의 발닦개, 신발 또는 마룻바닥에 환자로부터 떨어져 나온 균이 함유된 각질이나 때를 통해 감염되기 때문에 통풍이 잘되는 구두와 흡수가 잘되는 양말을 신도록 하고, 구두는 여러 켤레를 교대로 사용하면서 건조 상태를 유지하 것이 좋으며, 피부사상균증환자의 신발, 수건, 양말 등을 혼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사타구니에 생기는 완선은 고온 다습한 기후조건, 심한 발한, 비만증, 밀착된 내외와의 마찰 등이 중요한 요인이며 당뇨병, 백혈병, 부신피질 호르몬제의 남용에 의해서도 만성적으로 지속될 수 있어, 이에 대한 검사, 치료 및 너무 꼭 끼는 옷을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부 백선이나 안면 백선은 고양이로부터 감염되는 원인균인 경우가 많으므로, 주변에 의심되는 동물을 치우거나, 빗, 수건 등의 혼용을 피해야 합니다.
■ 이럴땐 의사에게 :
모든 피부 사상균증은 우선 진단이 가장 중요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반드시 KOH 직접도말 검사를 시행해야 하며 무좀균이 확인된 후에 치료를 시작하여야 합니다. 특히 손발톱 무좀인 경우 발톱의 이상이 무좀이 아닌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잘못 진단하면 필요없는 약을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단순한 무좀으로 생각하지 말고 전문의의 진료를 먼저 받는 것이 좋습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