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October 23, 2010

Kawasaki disease ,가와사키병 심혈관(Cardiovascul /

심혈관(Cardiovascul (14)
Kawasaki disease ,가와사키병  심혈관(Cardiovascul /
Kawasaki disease ■ Introduction: Disease usually occurs in young children, fever with skin, eyes, lips and mouth and hands and feet, etc. The disease is associated with abnormalities. Children with rheumatic fever and is one of the most common acquired heart disease. ■ Synonyms: Mucocutaneous lymph node syndrome ■ Definition: 1) fever lasting five days with more than two) hands, feet red, pour the keratin peeling 3) of the lips to crack and buleojimyeo 4) eyes are bloodshot red and whites. 5) a rash all over my body is healing as yeolkkot 6) around the neck, swollen lymph nodes palpable in the prayers. These five kinds of six kinds of symptoms appear or if the sickness will diagnose Kawasaki.
Main symptoms include high fever, including defining the item described in the six kinds of common symptoms showing, in general pediatric patients bochaemyeo attitude seems nervous. Kawasaki disease, so the visible signs of systemic disease in addition to several findings are invisible. ■ Symptoms: Diarrhea, vomiting, abdominal pain, gastrointestinal symptoms, such as an increase in white blood cell count and platelet count increased and the findings show that the same blood.Cough,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runny nose, urine, proteinuria, and leukocytosis, increased CSF cells, such as facial nerve palsy and arthritis, may receive a variety of symptoms and findings. Sign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include more than 60% of the pediatric patients showed findings of tachycardia, the heart beats faster, the heart failure is 20%. Accordingly, abnormalities in auscultation, ECG findings and may indicate. ■ Cause / pathogenesis: Gyeonggwana treatment and complications of the disease is identified, etc., but did not identify the exact cause yet. Child and family when the illness occurs in 12 other brothers and rare to be seen from the simple, epidemics such as non-infectious or genetic disease is thought to be.
Mostly children under 5 years from the handsome, male to female ratio to 1.3 or 1.5 to 1 degree in the lot of the boys, sometimes about 2-3% of patients may recur. Jeokeuroneun pathological findings indicate systemic vasculitis. ■ Jean-only: Kawasaki disease is described in front of more than five kinds of six kinds of main symptoms when the diagnosis is made on this. As in the case of the hepatitis B blood test can confirm the degree of one kind of way is not currently. Therefore, the diagnosis is to see kids be off by a pediatrician, and is admitted to X-ray, electrocardiogram and several other tests, including echocardiography and the patient's condition and associated complications, and know a little more detail will be performed to.
Visible symptoms and appropriate treatment, the columns continued doedeon acute ahgeupseonggiwa recovery following over the course of the past is the most aggressive.
 
■ course / prognosis: However, for some patients, the coronary arteries to nourish the heart to the left side effects which, consequently, the prognosis is determined. Did not establish a method of treatment period, 2% higher mortality rate in the appropriate treatment according to the current 0.1% is below the lower state. ■ Complications: Inflammation of the heart muscle myocarditis, pericarditis yeomjeungin of the pericardium surrounding the heart, heart valve disorders, and arrhythmias also can come of the operation, but disappeared within 5-6 weeks does not continue. However, the weakened portion of the coronary artery walls bulge like a balloon jimyeo acini represent the shape is different from the case of a coronary artery. These aneurysms occurring after the illness begins to appear after 1-2 weeks, most will cause a dalgyeongkkaji. 20% incidence in the past, but the proper treatment, about 3-5% can be reduced to. Coronary aneurysm burst, if the problem is rare, with the passage of time as opposed walls of the coronary arteries are thickened, whether the thrombus has occurred, or the narrowing of the coronary arteries are clogged and can see the pattern of myocardial infarction. The incidence of coronary aneurysms and to evaluate progress with echocardiography assessment is essential, even in severe cases to coronary angiography. ■ Therapist: Antiinflammatory drug by reducing hospital infections and intravenous gamma globulin therapy will be conducted, and after discharge to prevent blood clots in the coronary arteries will continue taking them. Echocardiography were normal in about two months if the termination of treatment with medication, but in case of coronary artery medication should be continued. ■ Prevention: So far, no known specific prevention, the healing continues without coronary artery sequelae occurred namgeona depending on the crowd to restrict the movement might be. ■ belts to your doctor: If you are still in the coronary artery, according to physician discretion is essential to have regular tests and checks. 






가와사끼 병

■ 개 요 :
어린 아이에서 주로 생기는 병으로, 고열과 함께 피부, 눈, 입술과 입안 및 손과 발 등에 이상 소견이 동반되는 병입니다. 류머티스성 열과 더불어 어린이의 제일 흔한 후천성 심장병 중의 하나입니다.
■ 동의어 :
피부점막 임파절 증후군
■ 정 의 :
1) 5일 이상 지속되는 열과 함께 2) 손, 발이 붉게 부으면서 각질이 벗겨지고 3) 입술이 붉어지며 갈라지기도 하고 4) 눈의 흰자가 빨갛게 충혈됩니다. 5) 온몸에 열꽃 같은 발진이 돋고 6) 목 주변의 임파선이 커져 만져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여섯가지 증상 중에서 다섯가지 이상을 보이게 되면 가와사끼 병이라고 진단하게 됩니다.

주요 증세로는 정의 항목에서 기술된 고열을 포함한 여섯 가지 증상을 흔히 보이며, 전반적으로 소아 환자는 보채며 신경질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가와사끼 병은 전신적인 질환이므로 눈에 보이는 증세 외에도 눈에 보이지 않는 여러 가지 소견이 있습니다.
■ 증 상 :
설사, 구토, 복통과 같은 소화기 계통의 증상과 백혈구수의 증가 및 혈소판수의 증가와 같은 혈액 소견을 보이기도 합니다. 기침, 콧물과 같은 호흡기 증세, 소변의 단백뇨 및 백혈구 증가, 뇌척수액의 세포 증가, 안면 신경마비 및 관절염 등의 다양한 증세와 소견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장혈관 계통의 이상 징후로는, 60% 정도의 소아 환자에게서 심장이 빨리 뛰는 빈맥 소견을 보이고, 20% 에서는 심부전을 입니다. 이에 따라 청진 소견 및 심전도 검사에서 이상 소견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원인/병태생리 :
이 병의 경과나 치료 방법 및 합병증 등은 규명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아이가 이 병에 걸렸을 때 가족 내의 다른 형제에게서 발생하는 일이 극히 드문 것으로 보아 단순 전염병과 같이 전염되거나 유전되는 병은 아닌 것으로 생각됩니다.

주로 5세 이하의 어린아이에게서 잘 생기고, 남녀 비는 1.3 내지 1.5 대 1 정도로 남자아이에서 많고, 간혹 2~3% 정도의 환자에게서 재발할 수도 있습니다. 병리학적으로는 전신적인 혈관염의 소견을 나타냅니다.
■ 진 단 :
가와사끼 병은 앞에 기술된 여섯 가지 주요 증상 중에서 다섯 가지 이상이 있을 때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 B형 간염의 경우와 같이 피검사 한 가지 정도를 하여 확진할 수 있는 방법이 현재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진단은 아이를 보게 되는 소아과 전문의에 의해 내려지게 되며, 입원시 하게 되는 X선 검사, 심전도 및 심초음파 검사를 포함한 여러 가지 다른 검사들은 환자의 상태 및 동반된 합병증 유무 등을 좀 더 상세하게 알기 위하여 시행하는 것입니다.

눈에 보이는 증상들과 계속되던 열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급성기를 지난 다음 아급성기와 회복기를 거치면서 대부분 호전됩니다.
 ■ 경과/예후 :
그러나 일부 환자에게는 심장에 영양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후유증이 남게 되는데, 이에 따라 예후가 결정됩니다. 치료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던 시대에는 사망률이 2% 정도로 높았으나 현재에는 적절한 치료에 따라 0.1% 이하로 낮아진 상태입니다.
■ 합병증 :
심장의 근육에 염증이 생기는 심근염,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심낭의 염증인 심낭염, 심장 판막의 작동 장애 및 부정맥도 올 수 있으나, 5~6주 이내에 사라지고 계속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관상동맥의 혈관벽 일부분이 약해져서 풍선과 같이 부풀어지며 꽈리 모양을 나타내게 되는 관상동맥류의 경우는 다릅니다. 이러한 관상동맥류는 병이 생기고 나서 1~2주 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한 달경까지 대부분 발생하게 됩니다.
예전에 발생빈도는 20% 정도 되었으나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3~5% 정도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류가 터져서 문제가 되는 경우는 드물고, 반대로 세월이 감에 따라 관상동맥의 벽이 두꺼워진다든지, 혈전이 생김에 따라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어 심근경색증의 양상을 보일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관상동맥류의 발생 및 경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심초음파를 사용한 평가는 필수적이며, 심한 경우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 치 료 :
입원하여 염증을 줄이는 항염제와 감마글로부린 정맥주사 요법을 실시하게 되며, 퇴원 후에도 관상동맥 내의 혈전 방지를 위하여 약 복용을 계속하게 됩니다. 심초음파 검사가 정상인 경우에는 2달 정도의 약물치료로 치료가 종결 되지만, 관상동맥류가 발생한 경우 약물치료가 계속되어야 합니다.
■ 예방법 :
현재까지 알려진 특별한 예방법은 없으며, 관상동맥류가 치유되지 않고 계속 남거나 후유증이 생긴 경우 정도에 따라 무리가 되는 운동을 제한 해야 될 경우도 있습니다.
■ 이럴땐 의사에게 :
관상동맥류가 계속 남아 있는 경우에, 담당 의사의 판단에 따른 주기적인 검사와 체크가 필수적입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