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October 26, 2010

중국의 인구민족 분포

중국인구민족
편집은 오픈토리 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
2006년 말 전국의 총인구는 13억 1,448만명으로 전년말 대비 692만명 증가했다. 연간 출생 인구는 1,584만명으로 출생률은 12.09‰이며 사망 인구는 892만명으로 사망률은 6.81‰이다. 자연 증가율은 5.28‰이며 출생 인구의 성별 비율은 119.25이다. 중국에는 도합 56개 민족이 있다. 중국의 여러 민족 간에는 인구의 차이가 매우 크다. 그중 한족(漢族)은 인구가 가장 많고 기타 55개 민족은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습관적으로 ‘소수 민족’ 으로 불리운다.
2005년 전국의 1% 인구를 대상으로 한 샘플 조사에 의하면 55개 소수 민족의 인구는 전국 총인구의 9.44%를 차지하는 1억 2,333만명으로 밝혀졌다. 소수 민족 중 인구가 100만 이상인 민족은 18개이며 그중 쫭족(壯族)은 인구가 가장 많아 1,617만 8,800명이다. 인구가 가장 적은 민족은 뤄바족(珞巴族)으로 단지 3,000명에 불과하다.
한족은 전국 도처에 두루 분포되어 있는데 주로 황하黃河ㆍ양쯔강揚子江ㆍ주강珠江 3대 유역과 松遼 평원에 집중되어 있다. 소수 민족은 인구가 비록 적지만 전국의 60% 이상의 국토에 분포되어 있다. 이제까지의 오랜 기간 한족과 여러 소수 민족 간에는 광범한 정치ㆍ경제 연계와 문화 교류 관계를 수립했으며 상호 의존, 공동 발전의 민족 관계를 형성했다. 중국의 여러 민족 인민은 모두 통일된 다민족 국가를 창건하고 찬란 유구한 中華 文明을 창조하며 중국 역사의 발전과 진보를 추진하기 위하여 자기의 중요한 공헌을 했다.

각 민족의 개황

한족(汉族): 인구 근 12억으로 중국의 주체 민족이며 주로 黃河ㆍ揚子江ㆍ珠江 유역에 분포되어 있는 외 전국의 대부분 지역에 모두 분포되어 있다. 한어는 한족 및 대다수 소수 민족의 통용어이다.

몽고족(蒙古族): 총인구는 581만 3,900명이다. 주로 네이멍구자치구 內蒙古自治區에 거주하는데 도합 399만 5,300명으로 몽고족 총인구의 68.7를 차지한다. 이밖에 몽고족 인구가 10만 이상인 지역으로는 또 허베이河北省ㆍ랴오닝遼寧省ㆍ지린吉林省ㆍ흑룡강黑龍江省ㆍ신지앙新疆위구르自治區 등지가 있다. 본래 유목 민족이었으나 현재는 대체적으로 정착했다. 본민족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회족(回族): 총인구는 981만 6,800명이다. 주로 닝시아寧夏 회족自治區에 집거하는데 도합 186만 2,500명으로 회족 총인구의 18.9%를 차지한다. 회족 인구가 20만 이상인 지역으로는 또 베이징北京市ㆍ허베이河北省ㆍ네이멍구자치구內蒙古自治區ㆍ랴오닝遼寧省ㆍ안후이安徽省ㆍ산동山東省ㆍ허난河南省ㆍ윈난雲南省ㆍ신지앙新疆 위구르自治區 등지가 있다. 이슬람교를 신앙한다.

티베트족(藏族): 총인구는 541만 6,000명이며 그중 242만 7,200명이 티베트 自治區에 집거하는데 티베트족 총인구의 52.8%를 차지하며 그 나머지는 쓰촨四川省ㆍ간쑤甘肅省ㆍ칭하이靑海省ㆍ윈난雲南省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티베트 불교를 신앙하며 티베트어와 문자를 통용한다.

위구르족(維吾爾族): 총인구는 839만 8,400명이며 그중 新疆위구르自治區에서 생활하는 인구는 834만 5,600명으로 위구르족 총인구의 99.36%를 차지한다.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위구르어와 문자를 통용한다.

묘족(苗族): 총인구는 894만 100명이다. 주로 꾸이저우貴州省에 집거하는데 도합 429만 9,900명으로 묘족 총인구의 48.1%를 차지한다. 이밖에 묘족 인구가 10만 이상인 지역으로는 또 윈난雲南省ㆍ후베이湖南省ㆍ후난湖北省ㆍ광동廣東省ㆍ총칭重慶市ㆍ쓰촨四川省ㆍ광씨廣西 쫭족자치구壮族自治區가 있다. 본민족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이족(彝族): 총인구는 776만 2,300명이며 중국의 가장 오랜 민족의 하나이다. 현재 주로 윈난雲南省ㆍ쓰촨四川省ㆍ꾸이져우貴州省 및 광씨廣西 쫭족自治區 서북부에 분포되어 있으며 대분산ㆍ소집거의 특징을 띤다. 본민족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쫭족(壮族): 중국의 소수 민족 중 인구가 가장 많은 민족으로 총인구는 1,617만 8,800명이며 그중 1,420만 7,100명이 광씨廣西 쫭족자치구壮族自治區에 집거하는데 쫭족 총인구의 87.81%를 차지한다. 이밖에 쫭족 인구가 10만 이상인 지역으로는 또 윈난雲南省ㆍ광동廣東省이 있다. 꾸이저우貴州省ㆍ하이난海南省ㆍ후난湖南省ㆍ후베이河北省의 쫭족 인구도 1만 이상에 달한다. 쫭어ㆍ쫭문과 한문을 통용한다.

부이족(布衣族): 총인구는 297만 1,500명으로 대부분 꾸이저우貴州省 남부에 거주하며 그 나머지는 윈난雲南省ㆍ쓰촨四川省ㆍ광씨廣西 쫭족자치구壮族自治區 등지에 흩어져 거주한다. 부이어ㆍ부이문과 한문을 통용한다.

조선족(朝鮮族): 총인구는 192만 3,800명으로 주로 지린吉林省 延邊朝鮮族自治州에 집거하며 이밖에 흑룡강黑龍江省ㆍ랴오닝遼寧省ㆍ네이멍구자치구內蒙古自治區 등지에도 분포되어 있다. 북한 언어와 글을 사용한다.

만주족(滿族): 쫭족 버금가는 두 번째로 큰 소수 민족으로 현재 인구는 1,068만 2,300명이며 주로 둥베이東北 지구에 분포되어 있는데 랴오닝遼寧省에 가장 많고 일부 大ㆍ中 도시에도 소부분 분산되어 거주한다.

뚱족(侗族): 총인구는 296만 300명이며 주로 꾸이저우貴州省ㆍ후난湖南省ㆍ광씨廣西 쫭족자치구壮族自治區기 인접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뚱어ㆍ뚱문과 한문을 통용한다.

요족(瑤族): 총인구는 263만 7,400명이며 주로 광씨廣西 쫭족자치구壮族自治區ㆍ후난湖南省ㆍ윈난雲南省ㆍ광동廣東省ㆍ꾸이저우貴州省ㆍ지앙씨江西省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본민족 언어를 갖고 있으며 요어와 한문을 통용 한다.

바이족(白族): 인구는 185만 8,100명으로 대다수가 윈난雲南省 大理 바이족 自治州에 집거하며 소수는 꾸이저우貴州省ㆍ쓰촨四川省ㆍ후난湖南省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불교를 신앙하며 바이어와 한문을 통용한다.

투쟈족(土家族):인구는 802만 8,100명으로 주로 후난湖南省 湘西 투쟈족-묘족 自治州와 후베이湖北省 은시恩施 투쟈족-묘족 自治州에 집거하며 이밖에 쓰촨四川省ㆍ꾸이저우貴州省에도 분포되어 있다. 투쟈어와 한문을 통용한다.

하니족(哈尼族): 윈난雲南省 남부의 홍하紅河와 란창지앙瀾滄江 중간 산지에 집중적으로 집거하는 농경 민족으로 총인구는 약 143만 9,700명이며 ‘梯田 문화’ 를 보유하고 있다. 본민족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카자흐족(哈薩克族): 인구는 125만 500명이다. 주로 신장新疆위구르自治區의 일부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데 카자흐족 총인구의 약 99.57%를 차지하며 그 나머지는 甘肅省]]ㆍ칭하이靑海省의 일부 지구에 분포되어 있다. 이슬람교를 신앙하며 본민족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따이족(傣族): 윈난雲南省의 시쐉반나(西雙版納) 및 기타 일부 지역에 거주하며 총인구는 115만 9,000명이다. 대다수가 소승 불교를 신앙하며 따이어ㆍ따이문과 한문을 통용한다.

리족(黎族): 인구는 124만 7,800명이며 주로 하이난海南省 중남부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리어ㆍ리문과 한문을 통용한다.

리수족(傈僳族): 인구는 63만 4,900명이며 주로 윈난雲南省 북부 및 雲南省과 쓰촨四川省이 잇닿은 지역에 집거한다. 본민족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와족(佤族): 인구는 39만 6,600명이며 주로 윈난雲南省 서남부에 분포되어 있다. 본민족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써족(畬族): 인구는 70만 9,600명으로 주로 중국 동남부의 푸지엔福建省ㆍ저지앙浙江省의 광대한 산간 지대에 거주하며 그 나머지는 지앙씨江西省ㆍ광동廣東省ㆍ안후이安徽省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한어를 통용한다.

고산족(高山族): 타이완臺灣島 내의 주요 소수 민족으로 인구는 40만이다. 주로 타이완臺灣省의 중부 산간 지대와 동부 縱谷 평원에 거주하며 소부분은 대륙의 푸지엔 福建省ㆍ저지앙浙江省 등 연해 지역에 분산되어 거주한다. 본민족의 언어를 갖고 있다.

라후족(拉祜族): 인구는 45만 3,700명이며 주로 윈난雲南省 서남부의 란창지앙瀾滄江 유역에서 생활한다. 본민족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수이족(水族): 인구는 40만 6,900명으로 주로 꾸이저우貴州省 동남부에 집거하며 소수는 광씨廣西 쫭족자치구壮族自治區 서부에 분산되어 거주한다. 수이어와 한문을 통용한다.

나시족(納西族): 인구는 30만 8,800명이며 주로 윈난雲南省 麗江 지역에서 생활한다. 당해 민족이 1000여년 전에 창조한 東巴文은 현재 세계 유일의 보존이 완벽한 상형 문자이다. 나시어와 한문을 통용한다.

둥샹족東鄕族): 인구는 51만 3,800명으로 주로 간쑤甘肅省]]에 집거하며 칭하이靑海省ㆍ닝씨아寧夏 회족自治區ㆍ신지앙新疆위구르自治區의 일부 지역에도 더러 거주한다. 둥샹어와 한문을 통용한다.

징퍼족(景頗族): 인구는 13만 2,100명이다. 당해 민족의 古人들은 원래 靑藏 고원 남부에서 일하며 살았었는데 후에 점차적으로 남쪽으로 이주했다. 현재 주로 윈난雲南省 서부의 일부 지역에 집거한다. 본민족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부랑족(布朗族): 인구는 9만 1,900명으로 주로 윈난雲南省의 시쐉반나 따이족 自治州의 勐海縣 및 부근 지역에 거주한다. 부랑어와 한문을 통용한다.

키르기즈족(柯爾克孜族): 인구는 16만 800명이며 주로 신지앙新疆위구르自治區 서남부에 집거한다. 이 민족은 유목에서 정착으로 바뀌었다. 본민족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투족(土族): 인구는 24만 1,200명이며 주로 칭하이靑海省 동부에 집거한다. 투어와 한문을 통용한다.

따고르족(達斡爾族): 인구는 13만 2,400명이며 주로 둥베이東北 지구의 嫩江 양안 및 新疆위구르自治區의 塔城 지구에 분포되어 있다. 따고르어와 한문을 통용한다.

무로족(仫佬族): 인구는 20만 7,400명이며 90%가 광씨廣西쫭족自治區 북부 산간 지대의 羅成 무로족 自治縣에 거주한다. 무로어와 한문을 통용한다.

챵족(羌族): 오랜 민족으로 3000여년 전의 중국 殷代 갑골문 중에 바로 챵인에 관한 기재가 있다. 인구는 30만 6,100명이며 주로 쓰촨四川省 아바(阿壩) 티베트족-챵족 自治州 茂汶縣에 집거한다. 챵어와 한문을 통용한다.

쌀라족(撒拉族): 인구는 10만 4,500명이며 주로 칭하이靑海省과 간쑤甘肅省ㆍ신장新疆위구르自治區의 일부 지역에 거주한다. 쌀라어와 한문을 통용한다.

타지크족(塔吉克族): 인구는 4만 1,000명으로 신장新疆위구르自治區 서남부의 파미르 고원에 집거하며 목축업을 위주하고 농업도 겸영한다. 타지크어와 위구르문을 통용한다.

모난족(毛南族): 인구는 10만 7,200명이며 주로 광씨廣西쫭족자치구壮族自治區 서북부의 環江縣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모난어와 한문을 통용한다.

거로족(仡佬族): 인구는 57만 9,400명으로 주로 꾸이저우貴州省 務川 거로족 自治縣과 道眞 거로족-묘족 自治縣에 집거하며 그 나머지는 雲南省ㆍ廣西 쫭족 自治區 등지에 분산되어 거주한다. 거로어와 한문을 통용한다.

시버족(錫伯族): 인구는 18만 8,800명이며 주로 신지앙新疆위구르自治區 伊犂 지구의 챱챨(察布査爾) 시버족 自治縣과 랴오닝 遼寧省ㆍ지린吉林省ㆍ흑룡강黑龍江省 등지에 분포되어 있다. 본민족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아창족(阿昌族): 인구는 3만 3,900명이며 윈난雲南省 더훙(德宏) 따이족-징퍼족 自治州의 隴川과 梁河縣에 집거하는데 대부분 따이족ㆍ한족 등 민족과 동네를 갈라 거주한다. 아창어와 한문을 사용한다.

프미족(普米族): 인구는 3만 3,600명이며 주로 윈난雲南省 서북부의 산간 지대에 거주한다. 그 선조는 大西北에서 옮겨 와 중국에서 이주 노정이 가장 먼 소수 민족의 하나이다. 프미어와 한문을 사용한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