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gzhou = Sensing news sbkim@chosun.com
Type: 01.31.2011 03:00 / Revision: 31/01/2011 03:03
"领先 半步" (Yeongseon half, half a step to be successful, go ahead)
Established 42 years, borrowing money, the crack in retail outfit worn to work in an office
"Korea beverages, 中 appetite for successful localization requires more illogical ..."
China's rich are wearing the right sleeve of the cardigan was worn haejyeo. There was one office, the walls slightly cracked, the walls were peeling chilkkaji over here too. 13.54 trillion won the richest man in China too has the property of the office of his attire was a surprise.
The past 26 days, Zhejiang, China (浙江省) Hangzhou (杭州), China's largest beverage company Wahaha on (娃哈哈) met in our jjungchingheowoo (宗庆后 66) said: "Our office building and a waste to spend money to fix "said," If I plant jitgetda money, "he said.
▲ China's leading beverage companies rich 'Wahaha' s jjungchingheowoo (宗庆后) president. Jjung President "followed by others, and pursued them so much that can not succeed But ahead, consumers can walk away," he introduced a successful business know-how. / Gettyimages multi-WITZ
Jjung president's position in China to investigate the rich COMPILER (胡润) Research published last year 's signed rank' personal property from 80 billion yuan (about 13.54 trillion won) was ranked as one. Forbes magazine published by the American rich, the richest man in China, took his place in the standings.
China 'richest' right to the testimony, he replied, "Ranking the rich does not mean much," said "Most of the money to invest once thought," he said. Chairman of the Chinese stand yeonhyuin jjung chunje (春节) period, the company would continue to have to work. "The ease with which they have to breathe other people can not win," he said.
Bottled water, carbonated beverages, dairy products, such as selling more than 100 companies and thousands of Wahaha nanriphae in the Chinese beverage market, with approximately 20% of the share has been maintained.
The company's revenue last year, 54.9 billion yuan (9.3 trillion won), which rose 27.1 percent over the previous year. Last year, the largest of private companies in China 10 billion yuan (1.7 trillion won), tied for the benefit.
In China, 'Great drinks, known as is his typical self-made businessmen.
Born in Hangzhou in 1945 until he attended junior high school. He could not afford to afford homes and farms and stop studying tea (茶) manufacturing plant, has worked at the company e-meter.
That the company was founded in 1987 at the age of 42. He along with a retired teacher and two 14 manwianeul borrow from the bank and started up a company in Hangzhou. Drinks and ice cream, was to supply stationery to the school. Today, it's motaeda Wahaha. 'Wahaha (娃哈哈)' The name of the firm 'children (娃) the laughter of the' derived from.
Penny each in 1000 to sell the products sold close to 10 trillion won of corporate officials what the secret?
"To succeed in business you'll not actually follow behind others. But so hard to get ahead, the market's response. More than half a step ahead of competitors (领先 半步 Yeongseon half) is more likely to succeed."
Jjung 1989 became chairman of Wahaha's footsteps and has developed a nutritional drink for children. Time for a lot of companies that make nutrition a child-focused, but it was the first time. The result was a great success. "The reform and opening people's incomes increase, since there is only one parent for a child to spend more money as they thought," he said.
For a lot of factories in China, as concerns about water pollution and clean areas such as northwestern China accused of making bottled water then there was his idea. Skipping breakfast, noted that the increasing number of people, breakfast meals, and laid out to drink, functional beverages had revenue of more than 10 billion yuan last year.
Wahaha in 1998 the 'peyichang (非常) Coke' With the launch of Coca-Cola and Pepsi-Cola in the market was dominated plunged. President jjung attacking from the front without hitting a strategy in terms of (侧翼 进攻 cheukikjingong) chose to. Focusing on the city government focused on marketing, foreign companies and from other rural areas will pagodeun. Jjung said: "As lifestyles change in rural areas the demand for foreign cola drink, I saw that," he said. Chinese Coke Cola page window accounted for 16 percent of the market.
58 locations throughout China, Wahaha has production plants and wholesale worth tens of thousands, was to build a sales network. "China is also looking into a market that is not"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business strategy should be (入 鄕 随俗 iphyang procedures)," he said. '领先 半步' (half feet out ahead) '' 侧翼 进攻 '(flank)' 入 鄕 随俗 '(hyeonjimilchakhyeong marketing), chairman of the jjung is the famous three management strategies.
He still is known to all payments directly. Strong leadership is also emphasized. But that seems to be good for the employee benefits. All employees (30,000 people) can only take a trip each year, city workers tolerable level of 3,000 yuan a month's salary to be paid. Employees are from out of town to clear out of the house elementary students with children makes grants to employees.
He in the future 'a well' plans to sell. "I do not know, like real estate as the field will not advance," said "over the future of China as a global beverage company to raise goals," he said.
Food companies with a presence in China, South Korea When asked for advice, "local artists need more," he said. "(Korea Food and beverage) taste somehow does not fit Chinese tastes. Former president of South Korea SMEs around with their Chinese employees the news about it in the image shown is a good side. Staff truly embrace the effort is required. "
中 음료업체 '와하하'의 쭝칭허우 회장을 만나다… 노동자에서 최고부자 된 비결
"領先半步"(영선반보·성공하려면 반 걸음만 앞서 가라)
42세에 돈 빌려 창업, 소매 닳아 해진 옷 입고 금 간 사무실에서 일해
"한국음료, 中 입맛 안맞아… 성공 위해 현지화 더 필요"
중국 최고 부자가 입고 있는 카디건의 오른쪽 소매는 닳아 해져 있었다. 집무실 한쪽 벽엔 살짝 금이 가 있었고, 벽 여기저기엔 칠까지 벗겨져 있었다. 13조5400억원 재산을 가진 중국 최고 부자라고 하기엔 그의 옷차림도 사무실도 뜻밖이었다.지난 26일 중국 저장성(浙江省) 항저우(杭州)에 있는 중국 최대 음료업체 와하하(娃哈哈) 본사에서 만난 쭝칭허우(宗慶後·66) 회장은 "본사 건물과 사무실 고치는 데 돈을 쓰는 것은 낭비"라며 "그럴 돈이 있으면 공장을 짓겠다"고 했다.
- ▲ 중국 최고 부자인 음료업체 ‘와하하’의 쭝칭허우(宗慶後) 회장. 쭝 회장은 “남들 뒤를 쫓아가서는 성공할 수 없고 그렇다고 너무 많이 앞서나가도 소비자가 외면할 수 있다”며 사업 성공 노하우를 소개했다. /Gettyimages멀티비츠
'중국 최고 부자'에 오른 소감을 묻자 그는 "부자 순위는 큰 의미가 없다"며 "번 돈은 대부분 투자를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쭝 회장은 중국의 설 연휴인 춘제(春節) 기간에도 회사에 계속 출근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남들 쉴 때 같이 쉬어서는 그들을 이길 수 없다"고 말했다.
생수·탄산음료·유제품 등 100여 가지 제품을 팔고 있는 와하하는 수천개 회사가 난립해 있는 중국 음료시장에서 약 20%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이 회사의 작년 매출은 549억위안(9조3000억원)으로, 전년보다 27.1% 증가했다. 지난해 중국 민영회사 중 최대 규모인 100억위안(1조7000억원)의 이익을 거뒀다.
중국에서 '음료대왕'으로 불리는 그는 대표적인 자수성가형 기업인이다.
1945년 항저우에서 태어난 그는 중학교까지만 다녔다. 가정 형편이 넉넉하지 못했던 그는 학업을 중단하고 농장과 차(茶)생산 공장, 전자계량기 회사 등에서 일했다.
회사를 창업한 것은 42세 되던 1987년. 그는 퇴직 교사 2명과 함께 은행에서 14만위안을 빌려 항저우에 회사를 차렸다. 음료수와 아이스크림, 문구류를 학교에 납품하는 일이었다. 그것이 오늘날 와하하의 모태다. '와하하(娃哈哈)'라는 회사명은 '어린이(娃)의 웃음 소리'에서 따왔다.
개당 1000원도 안 되는 제품을 팔아 매출 10조원에 가까운 기업을 일군 비결은 무엇일까?
"사업에서 성공하려면 남들 뒤를 따라가서는 안 되겠죠. 그렇다고 너무 앞서나가면 시장의 호응을 얻기 힘듭니다. 경쟁자보다 반 걸음만 앞서나가도(領先半步·영선반보) 성공할 가능성이 큽니다."
1989년 쭝 회장은 와하하의 발판이 된 어린이 영양음료를 개발했다. 당시 영양음료를 만드는 회사는 많았지만 어린이에게 초점을 맞춘 것은 처음이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그는 "개혁·개방 이후 사람들의 소득이 증가하면서 하나밖에 없는 자식을 위해 부모들이 더 많은 돈을 쓸 것으로 생각했다"고 말했다.
중국에 공장이 많이 들어서면서 수질오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중국 서북부 등 깨끗한 지역의 물로 생수를 만들기로 한 것도 그의 아이디어였다. 아침 식사를 거르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에 주목, 아침식사 대용으로 마실 수 있는 기능성 음료를 내놓아 지난해 100억위안 이상의 매출을 올렸다.
1998년 와하하는 '페이창(非常)콜라'를 출시하면서 코카콜라와 펩시콜라가 장악하고 있던 콜라 시장에 뛰어들었다. 쭝 회장은 정면에서 부딪히지 않고 측면에서 공략하는 전략(側翼進攻·측익진공)을 택했다. 대도시를 중심으로 마케팅을 펼쳤던 외국 회사와 달리 농촌부터 파고든 것. 쭝 회장은 "생활방식이 변하면서 농촌에서도 외국 음료인 콜라에 대한 수요가 있다고 봤다"고 말했다. 페이창콜라는 중국 콜라 시장의 16%를 차지하고 있다.
와하하는 중국 전역에 58곳의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고, 수만개에 달하는 도매·영업망을 구축했다. 그는 "중국은 하나의 시장으로 봐서는 안 된다"며 "각 지방 특성에 맞는 영업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入鄕隨俗·입향수속)"고 말했다. '領先半步'(반 발만 앞서나간다)' '側翼進攻'(측면공격) '入鄕隨俗'(현지밀착형 마케팅)은 쭝 회장의 유명한 3대 경영 전략이다.
그는 아직도 모든 결재를 직접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강력한 리더십을 강조한다. 하지만 직원에 대한 복지혜택은 좋은 편이다. 모든 직원(3만명)이 해마다 여행을 다녀올 수 있도록 웬만한 도시 근로자의 한 달치 월급 수준인 3000위안을 지급한다. 외지에서 온 직원에게는 집을 마련해주고 초등학생 자녀를 둔 직원에게는 학자금을 지원한다.
그는 앞으로도 '한 우물'을 팔 계획이다. 그는 "부동산업처럼 잘 모르는 영역으로는 진출하지 않을 것"이라며 "앞으로 중국을 넘어 세계적인 음료업체로 키우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 식품회사에 대해 충고를 부탁하자, "현지화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 식품과 음료는) 어딘지 모르게 맛이 중국 사람 입맛에 딱 맞지 않습니다. 예전에 한국 중소기업 사장들이 중국 직원들을 함부로 대한 게 뉴스로 나와 이미지가 안 좋은 측면도 있습니다. 직원을 진심으로 끌어안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