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900 employees, including regular ... strict parental leave welfare
Yeoeok year 1100 sales accounted ... "to share with the fruits of growth"
Suh reporter
»Avalon virtuous cycle of education
['Good business' is a competitive advantage] Avalon Training
Avalon migeum campuses (schools) Chairman Kim Jung Hoon (40) was the dream of true education teacher. In 2000, Mr Kim, an alternative school English teacher resources for various reasons, but three and a half years after the end of the dream was shelved. Driven by circumstances to worry about living in private that he jumped into dong Gangnam. And in June 2004 Avalon Bundang, Gyeonggi Education (CIE schools at the time) met.
"Was like coming back to an alternative school. A family atmosphere to work together with teachers in the hot, serious students. Above all, the teaching philosophy of the CEO was an echo. "
Avalon specializes in training companies in many ways unique. The symbol of a private market, the so-called 'star teacher' look at the access being provided can not be found. Furthermore, 'school teacher said,' there is no contract comes first. Instructors from the school to clean up U.S. workers, ranging from a full-fledged full-time employees are all more than 900 people. Day 5 in Japan keeps you there. 20:50 for elementary students, middle class and 10 at night if you end up without fail. Vacation Islands is too tight. Except for employees annual vacation leave is given the choice of nine days. Everyone should be on vacation. Five years after joining the paid one month can enjoy the rest of Mon. 3 months after childbirth, as well as one year of maternity leave, parental leave is also guaranteed. Avalon campuses across the country just hit 90 people in the 40-50 year parental leave. The results of these operations grew 250 times in the last 10 years has returned.
Holding several questions Vignetted Type Gray (43) met the CEO. Representative Kim's from my mouth, "who are stable and work properly, really can also take a break," said "the cost of full-time employment 1.5 times more deuljiman much more effort for students to become" the words followed.
Until recently, he 300000-400000 won toured the old rent. More than once a personal debt of 30 billion won was jigido. "The money to buy an apartment in Bundang, if the President of 500 million won to 10 and hiring more teachers and to promote more open campus was a dog," "We owe this idea that if you increase the campus," said .
But always in his head, 'growth' that does not mean that thinking about tinkering. Rather than 'sustainability' are hot topic yiyamalro he held. Sustainable businesses to be transparent than what does that mean his creed. Because the CEO of Avalon chinincheokeun There is no single. "The long-term management and the board of directors preparing to separate," said "the fruits of growth to benefit all members of the system is ready," he said.
Another eye-catching passage offered by the Training Center of the Avalon Chief Executive (CEO) and Director of Professional course is a process. Kim represents the "mid-40s to the instructor, in fact, the age to retire," said, "Since life is obliged to prepare systematically," he said.
4 nyeonchain gimsanggil joining our assistant "job for life unkind word to other friends, we feel justified in Avalon," said "'people-oriented management of the companies' philosophy shared by all members because," he said . Written by (知音). Who dedicate themselves are bound to shake things up everything for them.
Suh reporters hermes@hani.co.kr
| 신뢰로 뭉친 강사들이 ‘250배 성장’ 일궈 | |
| 직원 900여명 모두 정규직…육아휴직 등 철저한 복지 작년 매출 1100여억 달해…“성장의 과실 함께 나눠야” | |
[‘착한기업’이 경쟁력이다] 아발론 교육 아발론 미금 캠퍼스(어학원) 김정훈 원장(40)의 꿈은 참교육 선생님이었다. 지난 2000년 김 원장은 한 대안학교 영어교사에 자원했지만 여러 사정 끝에 3년반 만에 꿈을 접어야 했다. 생계를 걱정해야할 처지로 내몰린 그는 강남 대치동의 사교육가에 뛰어들었다. 그리고 2004년 6월 경기도 분당의 아발론교육(당시 CIE어학원)을 만났다. 교육전문기업 아발론은 여러모로 독특하다. 일단 사교육 시장의 상징인 이른바 ‘스타 강사’를 눈씻고 봐도 찾아볼 수 없다. 더군다나 ‘학원강사’라고 하면 맨 먼저 떠오르는 계약직도 없다. 강사에서부터 학원을 청소하는 미화 노동자에 이르기까지 직원 900여명 모두가 어엿한 정규직이다. 주5일제도 꼭 지킨다. 초등학생은 밤 8시 50분, 중학생은 밤 10시면 어김없이 수업을 끝낸다. 휴가 제도 역시 빈틈없다. 직원에게는 여름휴가를 제외하고 연간 9일간의 선택휴가가 주어진다. 누구나 반드시 휴가를 가야 한다. 입사 5년이 지나면 1개월 동안의 유급 안식월을 누릴 수도 있다. 출산후 3개월의 출산휴가 뿐만 아니라 1년간 육아휴가도 보장된다. 전국의 아발론 캠퍼스 90여곳에서 해마다 40~50명이 육아휴가를 떠난다. 이같은 경영의 결과는 지난 10년간 250배 성장으로 돌아왔다. 여러 궁금증을 안고 김명기(43) 대표이사를 만났다. 김 대표의 입에선 “사람이 안정이 되고 제대로 휴식도 취해야 진심으로 일을 할 수 있다”며 “정규직으로 고용하면 비용이 1.5배 더 들지만 그만큼 학생들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하게 된다”는 말이 이어졌다. 그는 얼마전까지만 해도 30만~40만원 짜리 월세를 돌아다녔다. 한때는 30억 원이 넘는 개인 빚을 지기도 했다. 그는 “분당에 아파트 살 돈 5억원이면 학원장과 강사까지 10명을 더 채용하고 승진시킬 수 있는 캠퍼스 1개를 더 열 수 있었다”며 “이런 생각을 하면 빚을 지고라도 캠퍼스를 늘려야 했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그의 머릿 속에 늘 ‘성장’이라는 생각만 틀어박혀 있는 건 아니다. 오히려 ‘지속가능성’이야말로 그가 붙들고 있는 화두다. 기업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투명해야 한다는 게 그의 신조다. 때문에 아발론에는 대표이사의 친인척은 단 한 명도 없다. 그는 “장기적으로 경영진과 이사진을 분리하는 것을 준비중”이라며 “성장의 과실을 모든 구성원들이 누릴 수 있는 체제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한가지 눈길을 끄는 대목은 아발론의 인재개발원에 개설된 최고경영자(CEO) 전문가 과정과 원장 과정이다. 김 대표는 “강사에게 40대 중반은 사실상 은퇴할 나이”라며 “이후의 삶을 체계적으로 준비시킬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입사 4년차인 김상길 본사 대리는 “평생직장이라는 단어를 다른 친구들은 낯설어 하는데, 아발론에서는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며 “‘사람 중심의 기업경영’이라는 철학을 구성원들 모두가 함께 공유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음(知音). 사람은 자기를 알아주는 이를 위해 모든 것을 바치기마련이다. 이태희 기자 hermes@hani.co.kr |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