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January 5, 2011

Motgabon length is more beautiful

Motgabon length is more beautiful
That night party litotes
Published 2010
Information form Hardcover, 268P
ISBN
Price ₩ 12,000
Order / Inquiry 1354
 

Oil hardening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Suddenly one day when he can look back. Who Are You. I have a good living. This question is only the age of conflict and distress, or would do in such a painful situation that you believe is the most. However, as wealth and prestige in the eyes of others, have just had a feeling about it, a respected novelist sets off confidently say this.

"Motgabon occurring to a foolish way is a senile, is obsessed. (Omitted) Who am I? You're not sleeping at night, suddenly looked at me like other people have never been asked. I stopped growing for twenty years is the soul. 80 placed in front of us is old. "(P26)

'Stop growing at twenty, 80 years old' said he to the ground by lowering the financial well-known novelist, this writer just so, bakwanseoda. Imposition him to write the name without the honorific seats enough to go a masterpiece of the authors country. 'Feminine' in the word, just one behind all the personality Star (性) only to separate people feel reluctant to use the word, giving my time, but nowadays a comedy writer from the horse, 'Women Where is the arrogance, raising children and household chores had to take care of ol 'bravely' novelist 'to go into the world - the author's image of our times is dominated by people looking over my mother - was a brave Innovator. Reputation as a novelist, as well as, two minutes, unless it was a bold move to lead Korea these days, many women writers of literature have emerged a little later and you may wonder why did not.
If the author's masterpiece, "You are still dreaming," "The winter of that year ttatteuthaetne", "That's her house," "Who ate that did it to all the singah", "friendly bokhuissi" and get used to the endless number of stories come to mind some time ago to his everyday life and writings containing pyeonaetda essay. Recently, I wrote mainly on the works of the old enclosed area or mainly for children of a beautiful fairy tale He took a book written by the author and the fact that the bookstore waiting for her fans were welcomed to the explosion. And in the Preface of the book, the authors have yet to show without disappearing sharing some happy fact that 'manly to' lay off.

Turn the page to feel as an adult I see who is the first fun thing eoreunil same author, it is part of a moralist is not to say. I am myself 'stop growing at the age of twenty, 80 years old novelist called naeboyineun own title in the author's candor muteonanda intact. "Motgabon length is more beautiful," not the end of 'still want to go', the've never been more on the way to go for the inconvenience, and I want to feel a vague commitment. Of the young age of 80, not 20 years old will oechimin.

"Went the length of not more beautiful than the road went like a dream that I missed so much poorer than the success achieved in reality you're seeing can not help it." P25

At this point in the growth of twenty authors meomchwoteulkka Why, what happened to the twenty-gu was curious to see how the story can also find the book.

"University entrance ceremony was the beginning of June. (Omitted) hosted the ceremony does not carry a couple of days there was a 6.25. The house of a man miserable and unjust death, starvation, bombing and gun Sosa, cut off from the extreme cold, even in the midst of the Left Right 右 左 NYA NYA, depending on the ideological divide and blood and family, neighbors and relatives, and colleagues have now accuse each other, prating against become sworn enemies, who sheds idea I ness, not ideology, personality, or who reigned over the postwar climate of fear, (omitted), a power behind his identity secret in the dark without lights shoot willy-nilly, we touched on the face ppalgaenginji fifty thousand and one interrogator asks whether the backlash, I do not know who should answer the important thing to survive was more important when going through the land lost my identity ... (omitted) "

So tell us the story of the author is not only a 6.25. The whole body to face the upheaval of the economic boom generation as it did when the author also had chest pain when swallowing, screaming, a rare human urge to find out where it wanted to scream heartily sick two together could never be like me.

"In retrospect, as I age, salahnaen world, as the head, even love, common sense things I was also able to understand." (P31)

Three days would come up well, but his brother wounded in the war, the family died, his son had died from his wounds, the depth of perhaps 386 generations of wandering, from 880,000 won three of the desperation and will vary. The good news this fall in a deep wound is not buried, the story to the world and to communicate successfully. So the era of the author's work, the reality of the pain and alienation and to gain the sympathy in the lira holds.

The authors tell us of their bitter past deomdeomhi is not serious. Put your pictures and photos on your blog, like the young, particularly in the book depicts his daily life is trivial. This would give this book fun to second. The authors note that these days spend most of the day in a nice yard. Guri, Gyeonggi in the residential, day to day living gakkumyeo yard will draw a 80-year-old day special. Then the author comes to the reader more intimately. Well-known novelist, is not an ordinary neighbor's grandmother.
"In the morning opens her eyes went out in the yard at 10 burya burya come eat breakfast. It's none so tremendous, not always at the yard one endless, vegetable cultivation galjul know less than the grass is much hand (p13) "had planted the grass, the grass is easier said than done aneuni gardening, always coming up tall weeds and akchakgateun complain that wrestling, really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ir mothers and their readers.
Yet when you lay on the grass and feel the dirt against the resilience of the living feel about the wonders life has been about 80 convey a serene life of a man with an orderly and novelist feels a delicacy.

"If you lie down on your back, soft and comfortable on the grass and dirt that something deep like that versus the wiggle seems resilient. Things just to make a living these arrive, does it come from the soil, does come from seeds. Both will be no one. He can not separate the soil and never much thought. The goods arrive, the soft soil seed ttasupda. Seumil in my body, thinking that even death is not scary. "(P15)

Is it great as a bookcase Hundreds more of the nobleness, as a person of humility will meet more frequently. The Netherlands is one of the authors keuroelreo - happened when I went to Mueller Museum. Van Gogh's painting went heartily into thinking the authors suggested a Mac rather than motchul fatigue is felt. This' weak to strong mental mind the hustle and sequelae hwidulrigo I called was expressed. And then, especially "The Potato Eaters> Gogh left for the following quote should reflect on himself by endlessly.
"I lit the lamp is eating potato stuck on the plate in the hands of people, like myself in their hands, apparently trying to show that the earth was dug. The hand, manual labor, earned by honest effort is suggested to eat. "(P235," Van Gogh and the soul of the letter (sinseongrim translating, yedam) ") .. but the book touches on the road selling donpuneul Some made the sign of asking readers to learn that, I start to pay me if I own a sufficient amount of GB cod for the day seemed to be. "

The authors of the Bible, even a miracle is realized at the time of Jesus, rather than the dramatic parts, regardless of the identity of people you invite to your table to explain that passage should like best. Man, consisting of a prostitute at the time untouchable underclass invite, I get treated equally with, and comfort and grace are the best part is that it falls. Simple and routine, rather than flamboyance picture gives you a great score on the author's propensity for a particular layer of the novel, but the whole nation can be read as sympathetic to write a novel would have been the most successful drivers.

Humility, comes to feel there is no limit of the target. With 80 years has lived according to the laws of the world writers tell us in the face of everyday life are constant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gives a deep impression on the reader.
"Today is my big breakfast and sickle birds. Cornus jjodeon red berries in the back of your neck rests a bird caught a moment when I have to pick a jinbap choking on a sip of soup tteoneotgoneun jeothinda neck back. And I mean to mokmege jinbap deokke of years but have lived so far, twat with ridiculously heavy, lumbering body nuchuhago expanse dare dream of the freedom to realize a vain desire .. "(p192)
In a lecture teacher gangsinju philosophers' I do not think the crime.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if you do not think anyone can be a criminal. ', Saying there is no self-reflection and reflection on the life of modern man had been displayed at the news. In this sense, the author has been a role model for the modern man. Reflect, reflect, rather than playing to yell, just picture it shows itself. And it looks like just the fact that people live mulheureudeut is to let us know.

We are seeing a lot of business, economics, cheosesul, look for books on leadership emphasizes both the technical aspects. Living the principles of capitalism to survive in the 'non-existence' is the same feeling. Bad words like drug dealer 'Try two weak, no better way to do' seems to shouting. However, these principles and techniques to learn, however, we do not have a life seems to make much progress. The reason for all humanity, and because access to the castrated state Is not. So we laugh, we cry, their ups and forgetting to the present, all that is reasonable and rational choice based on the actions that may be reported to a consumer. Recent popular as a meetings and the Humanities in the interest also of this falsification expects that. "Humanities advertising is the author of" bakung present themselves in the work of the human condition for the study of, the humanities, the importance of noting the same time we Anthropology emphasizes that truly need to know. 'Our people are impressed with the altruistic gene is an animal, we all said' I've mentioned, If you read this book, the author also in line with this philosophy, you can see that we have.
In addition to turf grasses in the life of the author pulled killing looks and selfish, attention and affection felt for the weeds to see both shows altruistic. Namdaemun arson case, revealing the anger, without fail, the Japanese people's friendly and unfriendly people in our country about the exact tweaks. Neogeureoul just like an image, unlike the slightest slip in this passage, but rather bewildered readers should highlight this point the book. We are usually old man, or a great person to be altruistic to infinity, I think, boy, but in the end it is the fact that we have created prejudice. With age, becoming rather timid, angry, as saying that, anyone who has broken up a complex exists in black and white is straightened. A good writer, too. While conforming to all things that live, but eventually the first man to think he is a selfish person would. But dying for my lawn for weeds and was having ansseureoum. So, for lawn grass field rather than outside the bloom bodeumeo jundaneun gyareukhage thinking of having one mind. We are so conflicting that there are many minds the world better understand each other rather than hadabomyeon will ease.
'Anyone thinking of himself first, and each has his own wounds, so each one has a story. I think it's not even plausible. I have no reason to. 'He would admit. The authors regard it did not really want to convey the message.

"Life is what is dignified, even at this age I do not know what a cad."
80 to life, I do not yet live a life that sounds like the truth rather than listen to him. Yes. Who will be able to define life in a word. Can not even live a life lived and life, afraid that it would tuseongin. The answer for those who want to get my hands on something, this book may have to be inappropriate. This book does not teach anything since. But how to live your life, other people want to know what to think, not an autumn landscape leaves the rest to the soul that wants to barabodeut people think is quite appropriate. You can feel the fragrance of life is sincerity. In addition, many different kinds of circumstances, if motgabon length, leaving the way through the book again now will be able to get the courage.









못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
저 자박 완서
발행일2010
형태사항Hardcover, 268P
ISBN
가 격₩ 12,000
주문  / 조회 1,354
 
 
유 경화 (삼성경제연구소)


어느 날 문득 자신을 돌아볼 때가 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잘 살고 있는가. 이런 질문은 갈등과 번민의 나이에만, 혹은 그런 고통스러운 상황에서만 할 것이라고 믿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남들이 보기에 부와 명성같은, 가질 것은 다 가졌다고 생각이 드는, 한 명망 높은 소설가는 이런 말을 당당하게 털어놓는다.

“못가본 길에 대한 새삼스러운 미련은 노망인가, 집념인가. (중략) 나는 누구인가? 잠 안오는 밤, 문득 나를 남처럼 바라보며 물은 적이 있다. 나는 스무살에 성장을 멈춘 영혼이다. 80을 코앞에 둔 늙은이다.” (p26)

‘스무 살에 성장을 멈춘 80세 노인’이라며 자신을 바닥으로 낮춰 재정의한 이 작가는 바로 너무도 유명한 소설가, 박완서다. 존칭 없이 이름 석 자를 쓰는 것이 민망할 정도로 저자는 우리나라의 대표작가다. ‘여성 특유’의 라는 말은, 모든 개성은 뒤로 한 채 단지 성(性)으로만 사람을 분리하는 느낌을 줘서 필자로서는 사용하기 꺼리는 단어지만, 저자는 요즘 유행하는 개그에서 나오는 말처럼, ‘여자가 어디 건방지게, 아이나 키우고 집안일을 돌봐야 했던 시절’에 용감하게 ‘소설가’라는 세계로 뛰어든 - 저자의 이미지가 우리 시대의 어머니상으로 보는 분들이 지배적이지만 - 용감한 이노베이터였다. 소설가로서의 명성은 물론이고, 이분의 용감한 행보가 없었다면 요즘 한국문학을 이끌어가는 수많은 여성작가들의 등장도 조금은 늦어지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저자의 대표작하면「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그 해 겨울은 따뜻했네」,「그 여자네 집」,「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친절한 복희씨」등 귀에 익숙한 수많은 소설들을 끊임없이 떠오르는데, 얼마 전에는 자신의 사소한 일상을 글들을 담은 에세이집을 펴냈다. 최근엔 주로 예전에 썼던 작품들을 묶어서 내거나, 아이들을 위한 아름다운 동화들을 주로 쓰는 저자가 책을 냈다는 사실은 서점가와 그녀를 기다리던 팬들에게 폭발적인 환영을 받았다. 그리고 책의 머리말에서, 저자 역시 아직 사라지지 않고 노익장을 과시한다는 사실이 기쁘다고 ‘털털하게’ 털어놓는다.

책장을 넘기면서 느끼는 첫 번째 재미는 누가 봐도 어른에 어른일 것 같은 저자가, 그렇게 성인군자는 아니라고 말하는 부분이다. 스스로 본인은 ‘스무 살에 성장을 멈춘, 80세 소설가’라고 자신을 내보이는 저자의 솔직함은 이 책의 제목에서도 고스란히 묻어난다. “못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는 말에서는 ‘아직도 더 가고 싶다’는, 가보지 못한 길에 대한 아쉬움과 더 가고 싶다는 아련한 의지가 느껴진다. 80세가 아닌 20세 젊은이의 외침인 것이다.

“가본 길 보다는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다운 것처럼 내가 놓친 꿈에 비해 현실적으로 획득한 성공이 훨씬 초라해 보이는 건 어쩔 수가 없다.” p25

이 대목에서 저자는 왜 스무살에 성장을 멈췄을까, 스무살에 대체 무슨 일이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번지는데, 그 사연 역시 책에서 찾을 수 있다.

“대학입학식은 6월 초에 있었다. (중략) 입학식을 치르고 며칠 다니지 않아 6.25가 났다. 집안 남자들의 비참하고 억울한 죽음, 굶주림, 폭격과 기총 소사, 혹한의 피난길, 그 와중에서도 좌左냐 우右냐 하는 이념에 따라 혈육과 가정이 분열하고, 이웃과 친척, 직장 동료끼리도 서로 헐뜯고 고발하고 불구대천의 원수가 되는, 사람 나고 이념 난 게 아니라 이념이 인격이나 사람다움 위에 군림하던 전후의 공포분위기, (중략) 전깃불 뒤의 어둠에 자신의 정체를 숨긴 채 다짜고짜 우리 얼굴에 불빛을 쏘아대며 빨갱인지 반동인지를 묻는 오만한 심문자, 내가 누구인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떻게 대답해야 살아남을 수 있는지가 더 중요했던 시기를 거치면서 잃어버린 내 정체성...(생략)“

이렇게 털어놓는 저자의 사연은 6.25뿐이 아니다. 격동의 경제성장기를 온몸으로 부딪쳐야 했던 당시 세대가 그랬던 것처럼, 저자 역시 가슴통증으로 비명을 삼킬 때도 있었고, 인적 드문 곳을 찾아 실컷 소리를 지르고 싶었던 충동이 뭉쳐 병이 날 것 같은 적도 있었다는 것이다.

“돌이켜 보면 내가 살아낸 세상은 연륜으로도, 머리로도, 사랑으로도, 상식으로도 이해 못할 것 천지였다.” (p31)

요즘 세대는 잘 와닿지 않겠지만, 전쟁으로 자신의 오빠가 다치고, 가족이 죽고 아들까지 죽었다면 아마 그 상처의 깊이는 386세대의 방황, 88만원 세대의 자포자기와는 또 다를 것이다. 다행인 것은 이런 깊은 상처에 빠져서 매몰되지 않고, 이야기로 세상과 소통하는 데 성공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의 작품들은 시대의 아픔과 소외와 현실을 담고 있어서 많은 공감을 얻는 것이리라.

자신의 뼈아픈 과거를 덤덤히 털어놓는 저자는 심각하지 않다. 블로그에 사진과 사진을 올려놓는 젊은이들처럼, 이 책에 자신의 소소한 일상을 낱낱이 그려내고 있다. 이 것이 이 책이 주는 두 번째 재미다. 저자는 요즘은 양지좋은 마당에서 하루의 대부분을 보낸다. 경기도 구리의 주택가에서, 날마다 마당을 가꾸며 살아가는 그리 특별할 것 없는 80세의 일상. 그런 저자는 독자에게 더욱 친근하게 다가온다. 유명한 소설가가 아니라 평범한 이웃집 할머니인 것이다.
“아침에 눈을 뜨자 마당에 나갔다가 10시쯤 들어와 부랴 부랴 아침을 먹는다. 그리 거창한 일도 아닌데, 늘 마당일은 한도 끝도 없다든지, 채소를 가꾸는 것보다 잔디가 훨씬 손이 덜 갈줄 알고(p13)“잔디를 심었는데, 잔디 가꾸기가 말처럼 쉽지 않으니, 늘 쑥쑥 올라오는 잡풀들과 악착같은 씨름을 한다는 하소연은, 정말 독자들의 어머니와 별반 다르지 않다.
그러면서도 잔디밭에 등을 대고 누웠을 때 느껴지는 흙속의 탄력, 살아있는 것에 대해 느끼는 경이로움은 80인생을 살아온 한 인간의 전하는 담담한 인생 순리와 함께 소설가적인 섬세함이 느껴진다.

“잔디밭에 등을 대고 누우면 부드럽고 편안하고 흙속 저 깊은 곳에서 뭔가가 꼼지락대는 것 같은 탄력이 느껴진다. 살아있는 것들만이 낼 수 있는 이런 기척은 흙에서 오는 걸까, 씨앗들로부터 오는 것일까. 아니 둘 다 일 것이다. 흙과 씨는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을 적이 많다. 씨를 품은 흙의 기척은 부드럽고 따숩다. 내 몸이 그 안으로 스밀 생각을 하면 죽음조차 무섭지 않아진다.”(p15)

그런가하면 책장을 넘기다보면 거장으로써의 당당함 보다, 인간으로써의 겸손함을 더 자주 만나게 된다. 한번은 저자가 네덜란드의 크뢸러 - 뮐러 미술관에 갔을 때의 일이다. 고흐의 그림을 실컷 보자는 생각으로 갔던 저자는 오히려 맥을 못출 만큼 피로감을 느꼈다고 한다. 이를 ‘강력한 정신에게 허약한 정신이 한바탕 휘둘리고 난 후유증이’라고 표현했다. 그리고 나서 특히 <감자 먹는 사람들>에 대해 고흐가 남긴 다음과 같은 말을 인용하면서 자신을 끝없이 반성한다.
“나는 램프 불빛 아래서 감자 먹고 있는 사람들이 접시에 내밀고 있는 손, 자신을 닮은 그 손으로 땅을 팠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주려고 했다. 그 손은, 손으로 하는 노동과 정직하게 노력해서 얻은 식사를 암시하고 있다.” (p235,「반 고흐, 영혼의 편지(신성림 옮김, 예담)」)는데..책을 팔아 돈푼을 만지고 길에서 알아보고 사인해달라는 독자도 더러 생기게 되니, 내가 무슨 대가라도 된 양 자족하는 자신에 대해 욕지기가 날 것 같았다.“

저자는 성경에서조차 기적을 이뤄내는 극적인 부분보다는 예수가 당시 사람들을 신분에 관계없이 당신 식탁에 초대한 대목을 가장 좋아한다고 설명한다. 병신, 창녀들로 구성된 당시 최하층 천민들을 초대해서, 본인과 동등하게 대접을 받게 하고, 위로와 은총을 내리는 그 부분이 가장 좋다는 것이다. 화려함 보다는 소박하고 일상적인 풍경에 점수를 후하게 주는 저자의 성향은 특정계층을 위한 소설이 아니라, 온 국민이 공감하면서 읽을 수 있는 소설을 쓸수 있었던 가장 큰 원동력이었을 것이다.

겸손을 느끼는 데에 있어서는 대상의 제한이 없다. 더불어 세상의 순리에 맞춰 살아온 80세 소설가가 사소한 일상을 겪으면서 털어놓는 끊임없는 자기반성과 성찰은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준다. 
“요즘 나의 아침상은 새와 겸상이다. 산수유 붉은 열매를 쪼던 새가 목을 뒤쪽으로 젖히는 순간을 포착하면 나는 진밥을 먹다가도 목이 메어 된장국 한 모금을 떠넣고는 목을 뒤로 젖힌다. 그리고 나를 목메게 하는 건 진밥이 아니라 여태까지 살아온 세월의 더께, 터무니없이 무거운 돌대가리와, 누추하고 육중한 몸으로 감히 창공의 자유를 꿈꾼 헛된 욕망이라는 걸 깨닫는다..“(p192)
한 강의에서 철학자 강신주 선생은 ‘생각하지 않는 것은 범죄다. 특히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못하면 그 누구도 범죄자가 될 수 있다.’고 말하면서 자기반성과 성찰이 없는 현대인들의 생활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시했었다. 그런 점에서 저자는 현대인들에게 모범이 되고 있다. 성찰하라, 반성하라고 호통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그냥 그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모습이 바로 사람이 사는 모습이라는 사실을 물흐르듯이 알려주는 것이다.

우리가 자주 보는 경영, 경제, 처세술, 리더십에 관한 책들을 보면 모두 기술적인 부분을 강조한다. 자본주의 생활원리 속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생존비기’같은 느낌이다. 심하게 말하면 약장수처럼 ‘이 약하나 먹어봐, 낫지 않는 방법이 없어’라고 외치는 듯하다. 하지만 이런 원리와 기술을 아무리 익혀도 우리의 삶은 별 진전이 없어 보인다. 그 이유는 인간적인 면모를 모두 거세한 상태에서 접근하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그래서 우리는 우리 자신들이 희노애락에 울고 웃는 존재라는 것을 잊어버리고, 모든 것을 합리와 이성에 근거해서 선택하고 행동하는 소비자로 보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최근 인기처럼 번져가는 인문학에 대한 관심 역시 이에 대한 반증이라 생각한다.「인문학으로 광고하다」의 저자 박웅현은 자신의 저서에서 인간의 조건에 대해 탐구하는 학문, 즉 인문학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동시에 우리가 진정 알아야 할 것은 인간학이라고 강조한다. ‘우리 사람은 이타적인 유전자를 가진 감동적인 동물이다, 우리 모두가 말이다’라고 언급했는데, 이 책을 읽다보면 저자 역시 이와 일맥상통한 철학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저자는 생활 속에서 잔디 외에 들풀들을 뽑아 죽이는 이기적인 모습과, 그 잡풀들에게 관심과 애정을 느끼는 이타적인 모습을 동시에 보여준다. 남대문 방화사건에 대한 분노도 어김없이 드러내는가 하면, 일본사람들의 친절과 우리나라 사람들의 불친절에 대해서도 정확히 꼬집는다. 마냥 너그러울 것만 같은 이미지와는 다른 이런 대목에서 자칫 당황하는 독자들도 있겠지만 오히려 이런 점이 이 책을 돋보이게 한다. 우리는 보통 노인이란, 혹은 훌륭한 사람들이란 무한대로 이타적일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결국 그것은 우리가 만들어낸 선입견이라는 점이다. 오히려 나이 들수록 소심해지고, 노여워한다는 말도 있는 것처럼, 사람은 누구나 흑백으로 반듯하게 나누어지지 않은 복잡한 존재이다. 훌륭한 작가도 마찬가지다. 모든 것에 대해서 순응하면서 살아가지만, 결국 인간은 자신을 먼저 생각하는 이기적인 사람이라는 것. 하지만 내 잔디를 위해서 죽어가는 잡풀에 대해서 안쓰러움을 가지고 있다는 것. 그래서 잔디 밭 외에서 피어난 들풀에 대해서는 오히려 갸륵하게 생각하고 보듬어준다는 마음을 갖는다는 것. 이렇게 우리에겐 서로 상반되는 다양한 마음이 존재한다고 서로를 이해하다보면 오히려 세상은 더욱 편해질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를 먼저 생각하고, 저마다 자신의 상처가 있고, 그래서 저마다 사연이 있다. 그것이 내가 생각하기에 그럴싸하지 않더라도. 그럴만한 이유는 있다.’고 인정하는 것. 그것이야말로 저자가 진정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아니었을까.

“삶이란 존엄한 건지, 치사한 건지 이 나이에도 잘 모르겠다.”
80인생을 살아도 아직 인생을 모르겠다는 저자의 말은 오히려 진리처럼 들린다. 그렇다. 누가 삶을 한마디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인가. 살다 살다 살아도 모를 일 투성인 것이 바로 인생이 아닐까. 뭔가 손에 잡히는 해답을 원하는 분들에게는 이 책은 부적절할지 모른다. 이 책은 아무 것도 가르쳐주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하는지, 다른 사람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고 싶은지, 가을날 낙엽지는 풍경을 바라보듯이 영혼에 휴식을 주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꽤 적당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삶의 진솔한 향기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사정으로 못가본 길이 많은 분들이라면, 이 책을 통해 지금 다시 길을 떠날 수 있는 용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