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January 5, 2011

Jobs make the order of the world's leading companies (industrial juken story)

Jobs make the order of the world's leading companies (industrial juken story)
Author Matsuura motooh
Published 2010
Shape matters Paperback, 224P
ISBN
Price ₩ 13,000
Order / Inquiry 2157
 

Times union senior researcher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Increasingly competitive society, the award is to reflect the adoption of new hires that will peuroseseuil. Japan was the United States was not different from the students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 learning that cold bitterness of frustration.

Juken industry first for the company jeophaetdeon likes their own unique way the story was a so-called 'first come first served Jobs', respectively. Typical of general business documents, recruiting system away from the incident through interviews supported the hiring that the order of the likes waiting. View Jobs geujieopneun along the way must have been absurd not to. Employing people who eat rice as soon as the Japan Computer 'as soon as the story of those who ate the rice, though a competent and that the President bujireonhal important' injaegwan 'might have been a reflection.

Of course, juken industry that made famous 'first come first served Jobs' containing the stories of their philosophy as well, as the leader of a small plastics manufacturer to develop a view that would be difficult to gauge. Paradoxically, the idea of nationality, race, gender, education regardless of the so-called 'somebody' to come in correctly in the organization and their role within the organization to help immerse you own motivators juken industry, and held before the incident, even if that knowledge micheon Small parts of the world's leading manufacturing organization that can grow as a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of their own may want to look at. Maybe a little juken industry executive with a strong company in general has several times the responsibility of the company's executive management risks and risk factors, most of their burdens, while number of employees who work in the company of their dreams and visions free spread the '场' offer may have been.

In this book review juken Matsuura, president and founder of the industry as a character, starting with an introduction, the motivation own unique way juken industry, the company can focus on business systems and cultur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towed juken importance of technology for management is to organize. And book reviews to be completed in the last topic of creative management and industrial relations juken implications and lessons for the points is proposed.


■ juken industry and the founder president of Matsuura

The name juken resin (树脂), the plastic of the week (树), research (硏 究) Ken (硏) into the compound, 'the company of plastic' is a very straightforward name of the company. Matsuura, president of five years work experience changeopjeon based juken industry established in 1965 and expands the business out enthusiastically. Japan's high growth business early, ride the wind, the qualifications of contractors based on the steady growth of the company went out and secured. But from the very beginning their goal was not quantitative growth. Rather than outline the growth of technology that enable sustained growth and was promoted to focus on securing substantial. The whole world was suffering from recession in the early 70s, juken industry 'can be machined with cutting tools in the world to the smallest part manifesto' under the slogan of the current annual sales of nearly 3 billion yen in the field of plastic micro-precision components, the world's leading companies were grown. From the emphasis on entrepreneurship and in quantities that were 'small and strong company' s philosophy of being sustained, even 98 people, including employees of the contractor should be just.


■ Industrial juken own humanistic approach: the company where you can rest assured that should

As mentioned earlier, the adoption of juken 'arrival Jobs' is. The mystery behind Japan's rapid economic growth tremendously small businesses in the employee because the applicant is employed by one person, one applicant was a sad situation, all four won a hard job for you penicillines sinks that are said to be derived. In the first CEO to come and gave a volunteer position that is shaped like a gomawotdeon. Recent large as written tests, interviews, and through a few times over the number of applicants to determine the mass of the contestants that were impossible to introduce such a system. To borrow his words, being hired through a screening process that people are polite and well-ttareuna personality rather than the company, joined by uniformed personnel as possible, even President seems willing to adopt. Quantitative such reasons, the company's larger scale these days, even the adoption of these arrival continued.
In the past, rather than any president has done more than we do with the importance of motivation has always emphasized. The President of the mind that was filled with young uiyokman 'Get yourself to grow given the experience comes without conditions, and the area's young people now raising that as an adult had been in the past to pay in advance for new employees to the idea of the length Jobs is said to.
Matsuura, as well as president likes to have retired in terms of the unique beliefs. He three '60, to celebrate sixty days of age are unemployed. 30-40 employees, seeing the departure of seniors ever loyalty or affection for the company could have a 'throw the question. In conclusion, the retirement age is juken. If you can work even if you buy eighty are working. Also welcome are reentering the apostles. A female employee left the company due to marriage and childbirth as well as other companies come back if yijikhan employeescan welcome aboard without hesitation.
Our long-term, particularly since the financial crisis that the IMF consistently good performance, faithful to the vision, and shareholder dividends and executive officer for the blue chip companies, as good managers to assess the American management system has collapsed. Of course the economy is playing as well as Minister for profit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tself can be. However, Matsuura, president of the American management style that has raised a strong issues. Recently toured with the young people to work part-time jobs rather than (the so-called peurita), stable employment, regardless of the reason staff also realizes that because anxiety is the point. Juken Matsuura, president of the employees, no matter what was considered they would not give up. This humanism enhance employees' sense of confidence, and eventually led to the voluntary commitment and is not always unity.


■ Work to focus on the environment: Work Smart

Matsuura, president of 'extra rules decreasing productivity.' Has a strong belief. So, if a little exaggerated, but does not create any rules in juken emphasis. Do not write in juken chulgeunbu. Therefore, the number of days to see chulgeunbu do not need to calculate the payroll figure out. In addition, the adoption will take steps overseas settlement expenses, reporting and does not own. First, the travel expenses, accommodation and meals for each of the separate items of the credit card being used is not a separate settlement. Report also is not compulsory in local telephone, email, instead of all that is. What is more than this is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ir new products. First, do not bother with the development plan. From the beginning, the plan does not exist. Second is the development director. Anyone taking the time to develop my spare time will be highlighted. Development often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third. I was planning on making a submarine out the plane and so forth. Finally, the budget also has no plans. Run out of money it is giving up. In this way, because it is under development, anyone can participate and everyone the freedom to speak it to them to make a new commitment to research and development can be called the background.
President Matsuura in the same vein about the working hours are as follows: to say. 'Salary is less labor time is long, small-time enterprises.' Speaking of the quantitative work, but for short periods of time and commitment to quality work seven hours a day, including the process of creating systems of work patterns and the environment has made many efforts in making a free and smart.


■ juken only way to maintain a competitive edge: technology-oriented management policy of the clear

Juken industry as well as other Japanese companies the oil shock of 1973, and since the '90s has experienced a prolonged recession. But despite such external changes to the financial crisis that there were industrial juken Matsuura president has stressed. The reason was an effort to constantly change. Do not settle for success do not expect the government through continued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roduce marketable goods that there was only a highlight.
They say the technology's development, especially the growth of the company that clearly was aware that mortgage. Matsuura, the president of my heart, even if production is moved overseas juken juken of the core technology assets of a sustainable comparative advantage would remain in the country was considered to continue. Country level, the higher production costs in Japan, but in the 21st century era of global competition can not compete on price alone can win not only to develop more skills were thought to be a way to compete. Extremes of the current technology which is called a millionth 그램 gear wheel boss also gave birth to the idea of a consistent emphasis on technology development can be attributed. Addition to this is not. Even if the next recession like the plague outbreak emphasizes cutting-edge technology only to survive the recession phase of the rain is pouring over it the only way to develop new technologies and this role, the mission of small businesses such as juken industry has strongly. In particular, Japan's future population decline in the days 'high precision techniques such as' core technology for future generations to leave the mission of Japan stressed that SMEs were often.


■ samples of creative management, industrial juken

Matsuura's perspective is so clear. People with support to unleash the infinite potential that is consistent logic. Individual differences are important but I do not think big. Even the people in his background, any style, anyone who has their own organs and skills that are clearly recognized. Matsuura, beginning with humanistic management is a talent management. Iranian president likes to arrival as an expression of 'the applicant did not have to' would not. By default, the respect for others and have expectations. Everyone has the right executive for your abilities and your homes long-term motivation for the opportunity to clarify.
We had considered the correct management for increasing efficiency, through competition with each other can not ignore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by objectives, but Matsuura and the 'small and strong organizations' management of the humanist view of the inside would be a good opportunity.










선착순 채용으로 세계 최고 기업을 만들다(주켄공업 이야기)
저 자마츠우라 모토오
발행일2010
형태사항Paperback, 224P
ISBN
가 격₩ 13,000
주문  / 조회 2,157
 
 
배 노조 수석연구원 (삼성경제연구소)


경쟁이 심화되는 사회상을 제대로 반영하는 것이 바로 신입사원의 채용 프로세스일 것이다. 미국이던 일본이던 다르지 않을 그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사회의 냉혹함을 배우고 좌절도 맛본다.

주켄공업이라는 회사에 대해 처음 접했던 이야기는 그들만의 독특한 채용방식이었던 소위 ‘선착순 채용’이었다. 일반 기업의 서류전형, 면접을 통한 채용방식에서 벗어나 입사 지원한 순번으로 인력을 채용한다는 선착순 채용. 보기에 따라서 황당하기 그지없는 채용방식임에 틀림이 없다. 밥을 빨리 먹는 사람을 채용한 ‘일본전산’의 이야기는 그래도 밥을 빨리 먹은 사람이 유능하고 부지런할 것이라는 사장의 중요한 ‘인재관’은 반영된 것이 아닌가.

물론, 주켄공업을 유명하게 만들었던 ‘선착순 채용’은 그들의 경영철학을 담은 이야기일 뿐, 소형플라스틱 제조의 선두주자로 발전하게 된 계기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역설적으로 생각하면 국적, 인종, 성별, 학벌에 관계없이 소위 ‘아무나’ 들어와도 조직에서 자기 역할을 제대로 하고 조직 내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주켄공업만의 동기부여 요인과, 입사 전에 보유한 지식이 미천하다고 하더라도 조직 내에서 세계최고의 소형부품 제조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그들만의 양성시스템을 살펴봐야 할지 모른다. 어쩌면 주켄공업이라는 작고 강한 회사는 일반적인 경영자가 가지고 있는 몇 배의 책임감을 가진 경영자가 회사경영의 리스크나 위험요인을 경영자 자신이 대부분 짊어진 반면, 회사에서 일하는 다수의 종업원에게는 자유롭게 자신의 꿈과 비전을 펼칠 수 있는 ‘場’을 제공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본 서평에서는 주켄공업의 창업과 마쓰우라 사장의 인물됨에 대한 소개를 시작으로, 독특한 주켄공업만의 동기부여 방식,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사내 시스템과 문화, 그리고 지속적인 주켄공업의 발전을 견인한 기술중시의 경영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서평마무리에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창조경영과 주켄공업의 관계에 대한 시사점과 교훈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주켄공업과 창업자 마쓰우라 사장

주켄이라는 이름은 수지(樹脂), 즉 플라스틱의 주(樹), 연구(硏究)의 켄(硏)의 합성어로 ‘플라스틱을 연구하는 회사’라는 지극히 직설적인 이름의 회사이다. 마쓰우라 사장은 창업전 5년간의 직장경험을 기반으로 1965년 주켄공업을 설립하고 의욕적으로 사업을 전개해 나간다. 사업초기 일본의 고도성장 바람을 타고, 하청업체의 자격으로 꾸준히 회사의 성장기반을 다져나갔다. 하지만 그들의 목표는 애초부터 양적성장이 아니었다. 오히려 외형의 성장보다는 지속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력과 내실의 확보를 중점적으로 추진하였다. 전 세계가 불황에 신음하던 70년대 초반, 주켄공업은 ‘절삭 공구로 가공할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부품을 만들자’는 슬로건 하에 현재 연 매출 30억 엔에 달하는 플라스틱 극소정밀부품 분야의 세계최고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양적으로는 창업 시 부터 강조되었던 ‘작고 강한 기업’의 철학이 지속되고 있어, 직원은 계약직을 포함해도 98명에 불과하다고 한다.


■ 주켄공업만의 인본주의 방식 : 회사는 안심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주켄의 채용은 앞서 말했듯이 ‘선착순 채용’이다. 그 배경에는 거창함보다는 일본의 고도 성장기에 영세기업에 채용지원자가 없기 때문에 직원 한 명 한 명이 아쉬운 상황이었고 지원자가 혹시 찾아오면 사원전체가 열심히 입사를 권유한 것에 유래하고 있다고 한다. 우선 사장입장에서는 찾아와 준 지원자가 그렇게도 고마웠던 모양이다. 최근 대기업처럼 필기시험, 몇 차례에 걸친 면접시험 등을 통해 지원자를 결정하고 다수의 탈락자를 양산하는 그런 시스템은 도입자체가 불가능했다. 그의 말을 빌리자면 그러한 심사과정을 통해 채용되는 사람은 예의바르고 회사에 잘 따르나 개성보다는 획일화된 인력들이 입사하게 됨에 따라 가능하더라도 사장은 채택하고 싶은 마음이 없어 보인다. 그러한 연유로 회사의 양적규모가 커진 요즘에도 이러한 선착순 채용은 지속되고 있다.
사장은 과거에 어떠한 일을 했다기보다는 앞으로 함께 할 의욕이 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항상 강조했다. 이러한 사장의 마음은 ‘의욕만 충만했던 젊은 시절’에 자신을 조건 없이 받아서 키워 준 경험에 유래하며 이제 이 지역의 청년들을 어엿한 어른으로 키워내는 것이 예전에 받았던 은혜에 보답하는 길이라는 생각으로 신입사원을 채용한다고 한다. 
마쓰우라 사장은 채용뿐만 아니라 퇴직차원에서도 독특한 신념을 가지고 있다. 그는 ‘60세, 환갑을 축하해야 할 나이에 실업의 날이 된다. 30대~40대 사원들이 선배들의 퇴사하는 모습을 보면서 과연 회사에 대한 충성심이나 애정을 가질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던진다. 결론적으로 주켄에는 정년이 없다. 여든 살까지라도 일할 수 있으면 일하면 된다. 또한 재입사도 환영하고 있다. 결혼과 출산 등으로 퇴사하는 여직원뿐만 아니라 다른 회사에 이직한 사원들도 다시 돌아오겠다면 주저 없이 입사를 환영한다.
우리는 장기간, 특히 IMF라는 금융위기 이후에는 좋은 실적을 지속적으로 시현하고 주주에 대한 배당에 충실한 경영자를 우량기업, 유능한 경영자로 평가하는 미국식 경영시스템에 함몰되어 왔다. 물론 경제논리상 이윤추구가 당연하며 그 자체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일 수 있다. 하지만 마쓰우라 사장은 그러한 미국식 경영스타일에 강한 문제점을 제기했다. 최근의 젊은이들이 취업보다는 아르바이트에 전전하는(소위 프리타) 이유 역시 직원들을 안정적 고용관계 없이 불안에 떨게 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주켄의 마쓰우라 사장은 무슨 일이 있어도 직원을 버려서는 안 된다고 여겼다. 이러한 인본주의 사상이 직원들의 안심감을 제고하고 결국 자발적인 몰입과 일체감을 이끌어 낸 것이 아닐까.


■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 Work Smart

마쓰우라 사장은 ‘불필요한 규칙은 생산성을 떨어뜨린다.’는 강한 신념을 보유하고 있다. 그래서 조금 과장인지 모르지만 주켄에서는 어떠한 규칙도 만들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주켄에서는 출근부를 기록하지 않는다. 따라서 출근부를 보고 일수를 따져 급여를 계산할 필요가 없다. 또한, 해외채용을 가더라도 경비정산, 보고서 작성 등을 따로 하지 않는다. 우선 경비는 교통비, 숙박비, 식비의 별도의 신용카드로 항목별로 사용하고 별도의 정산은 하지 않는다. 보고서 역시 강제가 아니며 현지에서의 전화, 이메일로 모든 것을 대신한다. 이 보다 더한 것은 그들이 신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우선 개발 계획서를 쓰지 않는다. 계획서는 애초부터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둘째 개발책임자가 없다. 개발은 누구나 시간을 내서 틈틈이 하는 것임을 강조한다. 셋째 개발 방향은 수시로 바뀐다. 잠수함을 계획했는데 만들어 보니 비행기가 나오는 식이다. 끝으로 예산 역시 계획이 없다. 돈이 떨어지면 그만 둔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되기 때문에 누구나 참여가능하고 누구나 발언할 수 있는 자유 이것이 이들을 새로운 연구개발에 몰입하게 하는 배경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으로 마쓰우라 사장은 근무시간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급료가 적고 노동시간이 길면 삼류기업이다.’라는 말인데 양적 업무시간이 아니라 단시간에 질적으로 몰입하고 하루 7시간 노동체제를 만드는 과정 등 업무형태 및 환경을 자유롭고 스마트하게 만드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 경쟁력을 유지하는 주켄만의 방식 : 기술지향의 명확한 경영방침

주켄공업은 일본의 다른 기업과 마찬가지로 1973년의 오일쇼크, 그리고 90년대 이후의 장기불황을 경험했다. 하지만 그러한 외부변화에도 불구하고 주켄공업에 경영위기는 없었다고 마쓰우라 사장은 강조하고 있다. 그 이유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자 하는 노력이었다.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정부에 기대하지 않고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팔리는 상품을 만들어 내는 것밖에 없었다고 강조한다.
특히 그들은 기술개발이야 말로 회사의 성장을 담보하는 것임을 명확히 인식하고 있었다. 마쓰우라 사장의 내심에는 생산이 해외로 이전되더라도 주켄의 핵심기술은 주켄의 지속적인 비교우위 자산은 계속 본국에 남을 것이라고 여겼다. 일본 본국 생산이 비용차원에서는 높을 수 있으나 21세기 글로벌 경쟁시대에 가격경쟁만으로는 이길 수 없으며 더욱 기술을 개발하는 것만이 경쟁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현재 기술의 극한이라 일컫는 100만분의 1그램 기어 휠을 탄생시킨 것도 사장의 일관된 기술개발 중시사상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다. 향후 불황이 전염병처럼 번진다고 하더라도 최첨단기술 만이 살아날 길임을 강조하고 불황국면을 넘어가는 유일한 방법은 신기술개발이고 이러한 역할을 맡은 것은 주켄공업과 같은 중소기업이라는 사명감도 강하게 가지고 있다. 특히, 일본의 향후 인구감소 시대에 ‘초정밀 기술’과 같은 핵심기술을 후세에 남기는 것이 일본 중소기업의 사명이라고 역설하기도 하였다.


■ 창조경영의 표본, 주켄공업

마쓰우라의 관점은 너무나 명료하다. 사람이 가진 무한한 잠재력을 발휘되도록 지원한다는 일관적인 논리이다. 개인 차이는 있을 것이나 크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어떠한 스타일의 사람일지라도 그의 배경에는 누구나 사람은 자신만의 장기와 특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 인본경영으로 시작되는 마쓰우라의 인재관이다. 선착순 채용이란 것이 사장의 표현대로 ‘지원자가 없어서’는 아닐 것이다.기본적으로 사람에 대한 존중과 기대를 가지고 있다. 올바른 경영자는 누구나 가지고 있는 그러한 능력과 장기를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동기부여 함을 명확히 한다. 
우리가 정답이라고 여겼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관리, 상호간 경쟁을 통한 목표관리 등의 중요성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마쓰우라라는 ‘작고 강한 조직’의 인본주의적 경영자의 내면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