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ELW 하이라이트 |
맥쿼리 600H10 기아차 콜 / 맥쿼리 600H37 대우조선해양 콜 |
2010-12-30 맥쿼리 600H10 기아차 콜은 맥쿼리증권이 발행하고 유동성을 공급하는 ELW로 행사가격은 59,000원 (12월 29일 기아차 종가 51,300원), 패리티 86.94%의 외가격 상태임. 본 ELW의 최종거래일은 맥쿼리 600H37 대우조선해양 콜은 맥쿼리증권이 발행하고 유동성을 공급하는 ELW로 행사가격은 40,000원 (12월 29일 대우조선해양 종가 36,650원), 패리티 91.62%의 외가격 상태임. 본 ELW의 최종거래일은 * 이 정보는 투자 참고용이며 해당일에 특징주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W를 잔존만기와 패리티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 것으로 해당종목의 추천의 의미는 아닙니다. |
국내주요뉴스 |
2010-12-30 29일 코스피는 전날보다 0.5%(10.17포인트) 오른 2043.49로 장을 마감했다. 개인은 967억원 순매수했으며 기관은 498억원, 외국인은 207억원을 순매도했다. 프로그램 매매는 1449억원 순매도를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기계, 증권, 유통, 건설, 화학 등의 분야에서 1~3%대로 상승했으며 통신, 은행, 종이목재, 음식료 등의 업종은 약세로 마감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기아차와 신한지주, LG화학이 나란히 2%대의 강세를 보였고 현대모비스, 현대차, LG 등도 올랐다. SK텔레콤은 4% 떨어졌으며 포스코, 삼성생명, 현대중공업 등 일부 종목들은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7.36포인트(1.49%) 상승한 502.31에 거래를 마쳤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동서를 제외한 셀트리온, 서울반도체, SK브로드밴드, CJ오쇼핑, 포스코 ICT, 메가스터디, OCI머티리얼즈, 다음, 네오위즈게임즈, 포스코켐텍 등이 일제히 상승했다. |
해외주요뉴스 |
2010-12-30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대비 9.84포인트(0.09%) 상승한 11,585.3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 앤 푸어스(S&P) 500지수는 전일보다 1.27포인트(0.10%) 오른 1,259.78을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05포인트(0.15%) 뛴 2,666.93에 마감했다. 경기 낙관론과 원자재 값 고공 행진에 힘입어 에너지·원자재주가 상승했다.할리버튼은 2.1%,몬산토가 3.2% 올랐다.K마트를 운영하는 시어스홀딩스가 6.2% 급등하며 소매업종 상승세를 이끌었다.소매업종 지수는 이날0.5% 올랐고 올 들어 26% 급등해 긍정적인 경기 전망을 반영했다. 미국 3위 도매 체인 BJ 홀세일 클럽은 레오나드그린앤드파트너스가 적대적 인수를 추진할 것이라는 뉴욕포스트의 보도에 7.1% 가량 치솟았다. 시어스는 온디맨드 비디오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소식에 6% 넘게 올랐다. 에너지업체 노블에너지는 가스전 발견 소식에 힘입어 2.5% 뛰었다. 노블에너지는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 연안에서 새로운 천연가스전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셰브론, 엑슨모빌, 코노코필립스, 마라톤오일 등 생산 및 서비스 업체들과 머피오일, 데본에너지, 아파치 등 유전개발 업체들이 모두 올랐다. █ 경제지표(환율, 국제유가 동향) 2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60원 내린 1146.40원에 마감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전일대비 0.54포인트(0.13%) 내린 411.20을 기록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는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현물은 0.37달러(0.40%) 하락한 배럴당 91.12달러로 거래를 마쳤고 금 현물가격은 온스당 7.90달러(0.56%) 상승한 온스당 1,413.50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발틱해운지수(BDI)는 22포인트(1.23%) 하락한 1,773을 기록했다.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 옵션거래소(CBOE)의 S&P500 변동성지수 VIX는 전날대비 0.24 포인트(1.37%) 하락한 17.28를, VKOSPI는 전일대비 0.86포인트 하락한 16.19포인트를 기록했다. |
ELW 트레이딩 팁 |
2010-12-30 내재 변동성(Implied Volatility) 내재변동성은 의미대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ELW 의 가격을 바탕으로 역으로 산출한 변동성입니다. 따라서 내재변동성은 시장 참여자들이 보편적으로 예상하는 수치를 반영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ELW 는 주식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될수록 가격이 상승합니다. 일반적으로 내재변동성이 역사적 변동성보다 높으면 시장이 대상자산의 변동성이 미래에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내재변동성은 ELW 상품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를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서로 조건이 같은 ELW의 경우 내재변동성이 낮은 상품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