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December 8, 2010

Samsung promotes 8 foreign executives

Samsung promotes 8 foreign executives 

Youngest of Lee Kun-hee's children now executive vice president

By Kim Yoo-chul

Samsung Group has doubled the number of foreign executives in its latest management reshuffle, a move aimed at fostering its global expansion.

Chairman Lee Kun-hee’s third kid, Seo-hyun, was also promoted to executive vice president.

Her two older siblings were already among those recently promoted to president.

On Wednesday, Samsung promoted eight foreigners to senior- and mid-ranking executive positions, increasing the total number at the executive-level to 24. Last year, four foreign executives got promoted.

``Samsung is strengthening the role of its foreign employees,’’ said Rhee In-yong, chief communication officer at Samsung in a background briefing.

``We will hire more talented foreigners,’’ Rhee said.

Wang Tong from Samsung Telecommunication Research Center in China got promoted a notch to senior vice president (VP) for playing a role in Samsung keeping the lead in China’s TD-SCDMA market.

Omar Khan, the chief strategy officer of Samsung Telecommunications America, became VP for his contribution to boost Samsung’s position in the U.S. mobile phone market, Samsung said in a statement.

Le Jiaming from Samsung’s China affiliate was rewarded for assisting in the rise of Samsung’s shares in China’s GSM handset market to 20 percent.

John Cerrato and James Politeski from its U.S. affiliate were also both promoted to VP after their contributions to increased sales in memory chips and home appliances.

Hans Wienands from its Germany unit, Arnut Changtrakul at the Thailand affiliate and Dipesh from the Indian unit also joined the ranks to reach the VP level, according to Samsung.

The move is in contrast to rival LG Electronics’ recent downsizing of its top foreign executives.

In the overhaul, Samsung Chairman Lee Kun-hee’s younger daughter Seo-hyun was promoted one level to the executive vice president of Cheil Industries, the group’s textile unit.

Seo-hyun's promotion was widely expected as Samsung has already confirmed its aim to further tighten the owner family’s grip over the conglomerate by promoting the chairman’s only son Jae-yong and Jae-yong’s sister Boo-jin to the president position, respectively.

``Seo-hyun’s promotion is no surprise with Samsung hoping to speed up the ``generational shift’’ by giving more roles to the top family scions,’’ said Lee Jong-su, a media critic from Seoul’s Hanyang University.

Seo-hyun was one of 490 executives promoted in the group’s biggest ever reshuffle, the statement said.

As another noticeable change in the management revamp, three under 40 were promoted to VP in a symbolic move to show off the conglomerate’s efforts to make it younger.

39-year-old Yang Joon-ho became VP for his role in boosting Samsung’s design leadership in televisions, while Lee Min-hyuck ― a 38-year-old ― from the telecommunication division - was made VP for his work in the sleek and stylish designs for the Galaxy S smartphone and Galaxy Tab.

``Design has emerged as the top factor to gauge the competitiveness of products. Samsung will invest more resources to maintain `design leadership’ amid the shift in consumers to software-related things,’’ said the chief communication officer Rhee.

Samsung’s affiliates will review next year’s detailed business plans for the follow-up move. Samsung officials said a record facility investment plan is likely to widen its lead in key businesses in strategic markets.



삼성, 외국인 임원 8명 .. `더 확대’

삼성의 글로벌 경영이 속도를 내고 있다.

사상 최대 규모의 외국인 임원 승진이 이뤄진 것.

삼성은 8일 발표된 정기 임원 인사에서 8명 (전무 1명, 상무 7명)의 외국인을 본사 임원으로 승진시켰다. 이는 작년 4명에 비해 두 배 늘어난 것.

외국인 임원의 이 같은 승진은 삼성 특유의 `성과 제일주의’의 결과로 향후 글로벌 경쟁에서 보다 강력한 힘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커뮤니케이션팀의 이인용 부사장은 ``외국인 임원에 대해 보다 많은 권한을 주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삼성은 향후에도 검증된 외국인 임원에 대해 국경, 나이에 상관없이 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먼저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존 세라토 상무 (반도체 SSI법인 메모리영업담당). 지난 97년 입사 후 줄곧 휴렛패커드(HP), 델, 애플 등 삼성전자의 북미 대형 거래선 영업을 담당해왔다.

그는 발빠른 거래선 관리와 북미시장 매출 확대에 대한 공로로 `2010년 자랑스런 삼성인상’을 수상한 뒤 곧바로 승진했다.

오마르 칸 상무 (북미총괄 STA범인 휴대폰전략담당) 역시 핵심 시장인 북미에서 매출확대와 시장 1위 달성에 기여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제임스 폴리테스키 상무 (북미총괄 SEA법인 생활가전담당)는 지난 2005년 삼성에 합류한 이후 경기침체에도 생활가전 매출을 4년만에 7배로 성장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

또 러지아밍 상무 (중국전자총괄 중국판매법인 휴대폰영업담당)는 휴대폰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인정받았다. 그는 모토로라와 노키아에서 18년간 근무한 정통 `휴대폰 맨’ 으로 08년 삼성 입사 후 휴대폰 매출을 2년만에 2배로 성장시켰다.

이 밖에 구주총괄 독일법인의 한스 상무와 인도연구소 무선통신담당 디페시 상무 역시 시장 개척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본사 임원으로 당당히 승진했다.

이 외에도 왕통 상무 (DMC연구소 북경통신연구소장)이 전무로 승진해 눈길을 끌었다. 왕통 전무는 중국시장 휴대폰 개발 및 중국 이동통신 표준화, 상용화 개발 등을 주도했다.

삼성의 이 같은 외국인 임원 대거 발탁은 라이벌인 LG전자와 비교된다. LG전자는 하드웨어에 올인한다는 전략하에 기존 외국인 임원들과 계약을 해지했고 아직 계약기간이 남아있는 외국인 임원들과도 계약을 조기 해지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와 더불어 삼성전자 이건희 회장의 차녀인 이서현 제일모직 전무가 예상대로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신임 이 부사장은 제일모직에서 패션부문 사업을 진두지휘 해왔다. 이 부사장은 이번 승진으로 제일모직과 제일기획에서 확고한 입지를 굳힐 수 있게 됐다.

한양대 신문방송학과의 이종수 교수는 ``이서현 전무의 승진은 놀랍지 않다’’며 ``오너일가를 승진시킴으로써 삼성의 3세 경영으로의 전환이 속도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yckim@koreatimes.co.k

No comments:

Post a Comment